뇌 탈출증은 뇌 조직의 위치 이탈을 뜻하는 용어다. 이 말은 혈액, 림프관 및 뇌척수액을 동반한 뇌 조직이 비정상적으로 움직인다는 뜻이다. 뇌의 탈장은 환자에게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영향을 받은 부위에 따라 각기 다른 증상을 보일 수 있다.
뇌 탈출증의 가장 흔한 증상

뇌 탈출증을 앓는 환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보일 수 있다.
- 고혈압
- 다양한 강도의 편두통 또는 두통
- 피곤함, 무기력함, 또는 일반적인 피로
- 메스꺼움, 의식 상실, 또는 가장 심한 경우 혼수상태
- 약한 맥박: 심장이 더 이상 뛰지 못하고 맥박이 멈추는 상태를 뜻하는 심장마비로 이어질 위험성이 높은 불규칙적인 심장 박동
- 정상적인 호흡이 어려움: 호흡 주기가 약해지고 일반적인 패턴을 따르지 않는다. 건강 상태가 악화되면 환자가 호흡 정지를 겪을 수 있다.
- 동공 확장: 또한 한 쪽 또는 양 쪽 눈을 모두 움직이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 일반적으로 뇌줄기에서 처리되는 기능 상실: 이 경우 메스꺼움, 빛에 대한 동공의 반응, 또는 심지어 눈 깜빡임 등의 반응을 못하게 된다.
더 읽어보기: 운동이 뇌에 미치는 영향
가능한 원인

아직까지 뇌 탈출증의 과정을 명확하게 밝혀내지는 못 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이 증상이 뇌 부위에 가해진 압력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비정상적인 뇌 내압 증가가 조직의 갑작스런 위치 이탈로 이어진다.
반면에, 연구진들은 가능한 원인 또는 유발인자를 찾아냈다. 그 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뇌 종양의 발달: 뇌 탈출증은 뇌 자체의 문제, 또는 신체 다른 부위의 종양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암을 유발하는 세포가 장기에서 옮겨가 새로운 종양을 생성할 수 있다 (전이).
- 해당 부위의 뇌출혈: 뇌출혈은 혈관이 터지면서 뇌내에 혈액이 고이는 경우다.
- 다른 별개의 증상으로 발생한 뇌 염증 또는 부기: 예를 들어, 뇌졸중 또는 방사선 치료의 부수적 효과
- 기형적 또는 선천적 두개골 구조 변화
- 세균성 또는 곰팡이 감염으로 인한 종기 존재: 그에 따라 고름 및 다른 요소들이 뇌 부위에 축적된다.
- 부종 형성: 부종은 신체 부위에 체액이 비정상적으로 축적되는 것을 말한다. 이 경우 뇌외상이나 뇌졸중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촉발될 수 있다.
- 수두증
더 읽어보기: 뇌전이의 설명과 치료
뇌 탈출증의 진단
우선 전문의가 환자에게 발생한 증상을 확인해야 한다. 이를 위해, 환자의 임상 기록 검토와 함께 다른 신체 검사를 할 수 있다.
추후에, 두개골 내 압력의 증가 원인을 밝혀내야 한다. 일반적으로, 그들은 뇌 영역의 내부 이미지를 얻기 위한 테스트를 한다. 이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이 X선, 자기공명영상 (MRI), 컴퓨터 단층촬영 (CT 또는 CAT 스캔) 이다.
이 글이 뇌 탈출증에 관한 모든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길 바라며, 주저하지 말고 현지 전문가에게 문의하여 이에 대한 더 자세한 정보를 얻기 바란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Johnson, P. L., Eckard, D. A., Chason, D. P., Brecheisen, M. A., & Batnitzky, S. (2002). Imaging of acquired cerebral herniations. Neuroimaging Clinics of North America. https://doi.org/10.1016/S1052-5149(02)00008-4
- Stevens, R. D., Shoykhet, M., & Cadena, R. (2015). Emergency Neurological Life Support: Intracranial Hypertension and Herniation. Neurocritical Care. https://doi.org/10.1007/s12028-015-0168-z
- Dark, P. (2004). Acute Management of Severe Traumatic Brain Injury. Critical Care Medicine. https://doi.org/10.1097/01.CCM.0000098855.15189.29
- Angulo Carvallo, N., Patil, P., & Abello, A. L. (2016). Cerebral herniation. In Critical Findings in Neuroradiology. https://doi.org/10.1007/978-3-319-27987-9_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