땅콩은 식욕을 돋우는 간식으로, 시중에는 땅콩으로 만든 다양한 제품이 판매되고 있다. 하지만 사람들이 먹는 부분은 땅콩의 껍질이 아닌 알맹이다. 그렇다면 땅콩 껍질도 먹을 수 있을까? 이 글에서 땅콩 껍질에 관해 알아야 할 점을 알아보자.
마트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땅콩 간식에는 항산화 효과가 있는 붉은 껍질이 없고 소금만 잔뜩 뿌려져 있다. 땅콩 껍질은 가치가 낮은 부산물로 여겨져 버려지거나 동물 사료로 사용된다.
하지만 땅콩 껍질에는 건강을 증진하는 페놀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지금부터 땅콩 껍질을 먹으면 좋은 점을 살펴보자.
땅콩이란?
땅콩(Arachis hypogaea)은 껍데기로 감싸져 있어 견과류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완두콩, 렌틸콩, 병아리콩, 강낭콩과 같은 콩과 식물에 속한다.
전체 땅콩에서 껍데기는 30%, 알맹이는 70%, 껍질은 3~3.6%를 차지한다.
남아메리카가 원산지인 땅콩은 현재 모든 대륙에서 재배되지만, 그중에서도 아시아, 아프리카, 남미, 북미가 최대 생산지다.
지방이 풍부한 땅콩은 세계에서 6번째로 중요한 유지 작물이다. 국제 연합 식량 농업 기구(FAO)에 따르면, 영양가가 높은 땅콩은 기름과 식물 단백질의 공급원이다.
땅콩 껍질에 관해 알아야 할 점: 영양가
땅콩 알맹이에는 44~54%의 지방이 포함되어 있다. 실제로 이는 소고기보다 2.7배, 우유보다 16배 더 높은 수치다.
물론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하므로 동물 단백질보다 생물가가 낮지만, 그중 90%는 큰 문제 없이 잘 소화된다.
또한 3%의 섬유질 외에도, 자당 또는 전분과 같이 혈당 지수가 낮은 탄수화물이 함유되어 있다.
한편 비타민 B군, E, 판토텐산, 엽산 함량에도 주목해야 한다. 그중에서도 니아신은 100g당 무려 16mg이 포함되어 있다. 심지어 열에 볶는 과정을 거치면 그 함량이 더 높아진다.
땅콩은 아연, 인, 칼륨, 마그네슘과 같은 미네랄을 제공한다. 또한 기름이 풍부하여 땅콩버터, 사탕, 과자의 주재료나 육류 제품, 수프, 디저트의 희석제로도 사용된다.
더 읽어보기: 몸에 가장 좋은 콩은 무엇일까?
땅콩 껍질의 생리 활성 화합물
1kg의 땅콩 알맹이를 까면 약 35~45g의 껍질이 나온다.
붉은색을 띠는 땅콩 껍질에는 안토시아닌과 같은 플라보노이드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구운 땅콩의 페놀 화합물 농도는 녹차보다 더 높다.
일부 전문가들에 따르면, 페놀류에는 클로로겐산, 카페인산, 쿠마르산, 페룰산, 포도에 포함된 레스베라트롤 등이 있다. 페놀은 모두 항산화 효과를 발휘하여 유리기를 가두고 유리기의 작용을 약화할 수 있다.
땅콩에 풍부한 레스베라트롤과 플라보노이드는 일부 질병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성분은 땅콩 뿌리, 껍질, 껍데기 등 모든 곳에 포함되어 있다.
땅콩 껍질 추출물은 천연 항산화제의 공급원으로 여겨진다.
땅콩 껍질에 관해 알아야 할 점: 레스베라트롤
레스베라트롤은 심장 질환, 알츠하이머병과 같은 퇴행성 질환, 전신 염증, 암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이는 항산화 폴리페놀이다.
실제로 껍질째 볶은 땅콩은 천연 포도 주스보다 3배 더 많은 레스베라트롤을 제공한다. 이에 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지만, 일부 연구진들은 레스베라트롤이 악성 종양에 대한 화학적 보호제로 작용한다고 설명한다.
페놀산과 플라보노이드
땅콩과 땅콩 껍질은 페놀산과 같은 기능성 화합물의 공급원이다. 특히 다량의 파라-쿠마르산으로 총항산화제 함량을 최대 22%까지 높일 수 있다. 또한 껍질채 볶은 땅콩 껍질은 껍질을 벗긴 채 볶은 땅콩보다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다.
충분한 플라보노이드를 섭취하면 심장 질환과 암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땅콩의 플라보노이드는 녹차, 홍차, 사과, 레드 와인, 대두에서 발견되는 것과 같다.
다시 말해, 땅콩을 껍질째 먹으면 더 많은 항산화제를 섭취할 수 있다. 일부 연구 결과에 따르면, 식품에 0.5~2.5%의 땅콩 껍질을 추가하면 식품의 수용성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항산화 효과를 30% 높일 수 있다.
땅콩 껍질에 관해 알아야 할 점: 주의 사항
땅콩은 몸에 좋은 식품이지만, 알레르기의 발병 가능성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특히 땅콩을 처음 먹어본다면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지 제대로 확인해야 한다.
아라킨과 콘아라킨 단백질은 땅콩 알레르기의 주된 유발 요인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성분은 껍질보다 알맹이에 농축되어 있으며, 면역 글로불린 E 및 히스타민 유리 아나필락톡신의 작용과 관련이 있다.
알레르기의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구토
- 설사
- 아나필락시스 쇼크
- 두드러기와 습진
- 기관지 경련과 천식
- 얼굴, 입술, 인후 염증
한편 식중독도 잠재적인 문제다. 독성 아플라톡신을 생성하는 아스퍼질러스 플라버스균에 오염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하자.
더 읽어보기: 식품에 포함된 아플라톡신에 관해 알아야 할 점
땅콩 껍질을 섭취해야 할까?
영양가가 높은 땅콩은 건강에 좋은 식품이며, 땅콩 껍질에는 폴리페놀이 포함되어 있다. 실제로 껍질이 포함된 땅콩 제품은 레스베라트롤과 같은 항산화 화합물이 풍부하다.
땅콩 껍질의 항산화 효과를 높이려면 오븐에서 10분간 굽는 것이 좋다. 구운 껍질을 수프나 스무디와 같은 요리에 넣으면 식이 섬유 섭취량을 늘릴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FAO (Organización de las Naciones Unidas para la Alimentación y la Agricultura). 2020. FAO: Perspectivas por sectores principales. Producción de cultivos (en línea). Consultado 29 oct. 2020. Disponible en http://www.fao.org/3/y3557s/y3557s08.htm#TopOfPage.
- Vollmann, J; Rajcan, I. 2009. Oil Crops y Peanuí. London New York. Primera edición. Springer (ed). 548 p. ISBN 978-0-387-77593-7. Disponible en: https://www.springer.com/de/book/9780387775937
- Al-Khayri, JM; Jain, SM; Johnson, DV. 2019. Advances in plant breeding strategies: nut and beverage crops y Peanut (Arachis hypogaea L.) breeding. Primera edición. Cham, Switzerland. Springer Nature Switzerland AG (ed). 573 p. ISBN 978-3-030-23111-8. Disponible en: https://vdoc.pub/documents/advances-in-plant-breeding-strategies-nut-and-beverage-crops-volume-4-4tram5cfov30
- Arya, S. S., Salve, A. R., & Chauhan, S. (2016). Peanuts as functional food: a review.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53(1), 31–41. https://doi.org/10.1007/s13197-015-2007-9
- Rudolf JL, Resurrección AV. Obtención de resveratrol en granos de maní mediante la aplicación de estrés abiótico. J Química alimentaria agrícola. 2006; 53 :10186–10192. doi: 10.1021/jf0506737.
- Juan ME, Vinardell MP, Planas JM (2002) La administración oral diaria de dosis altas de trans-resveratrol a ratas durante 28 días no es dañina. The J Nutr 132(2):257–260 .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11823587
- Chen SIRTI proyecta contra la toxicidad de amiloide-b dependiente de microglía mediante la inhibición de la señalización de NF-kB. J Biol Chem. 2005; 280 (48):40364–40374. doi: 10.1074/jbc.M509329200.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16183991
- Gagliano N, Aldini G, Colombo G, Rossi R, Colombo R, Gioia M, Milzani A, Dalle-Donne I. El potencial del resveratrol contra los gliomas humanos. Medicamento contra el cáncer. 2010; 21 : 140-150. doi: 10.1097 / CAD.0b013e32833498f1.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20010425
- Delmas D, Lançon A, Colin D, Jannin B, Latruffe N (2006) El resveratrol como agente quimiopreventivo: una molécula prometedora para combatir el cáncer. Curr Drug Targets 7(4):423–442.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16611030
- Lopes RM, Agostini-Costa TDS, Gimenes MA, Silveira D (2011) Composición química y actividades biológicas de especies de Arachis. J Agri Food Chem 59(9):4321–4330.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21425852
- Francisco ML, Resurrección AV. Componentes funcionales en maní. Crit Rev Food Sci Nutr. 2008; 48 (8):715–746. doi: 10.1080/10408390701640718.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18756396
- Adriano Costa de Camarg, Carolina Maldonado Martins Vidal, Solange Guidolin Canniatti-Brazaca, Fereidoon Shahidi. Fortification of Cookies with Peanut Skins: Effects on the Composition, Polyphenols, Antioxidant Properties, and Sensory Quality. J. Agric. Food Chem. 2014, 62, 46, 11228–11235. https://doi.org/10.1021/jf503625p
- Achar PN, et al. Estudios microscópicos sobre granos de maní comerciales infectados con Aspergillus flavus en Georgia. Ecotoxicol Environ Saf. 2009; 72 :2115–2120. doi: 10.1016/j.ecoenv.2009.04.002. Disponible en: https://pubmed.ncbi.nlm.nih.gov/194430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