운동 후 지연발생근육통(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지만, 그렇다고 해서 근력 운동을 피해야 하는 건 아니다. 오늘 이 글에서 우리는 지연발생근육통은 무엇인지, 왜 아픈지, 그리고 어떻게 예방하는지를 설명하려고 한다.
지연발생근육통이란?
지연발생근육통은 운동 후 나타나는 근육통과 동일하며, 우리는 보통 다음과 같은 증상으로도 알고 있다.
- 근육통
- 근통증
- 근육열
이러한 유형의 통증은 강렬한 운동 세션 후 또는 익숙하지 않은 운동을 한 후 24~48시간 이내에 나타날 수 있다. 이 통증은 일반적으로 사용된 근육에서 발생하며 근력 감소 및 단기적인 운동 범위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
지연발생근육통은 왜 발생할까?
지연발생근육통은 기본적으로 운동 후 근육통을 일컫는다. 따라서 신체 활동 후 24~48시간 이내에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운동 후뿐만 아니라 일반적인 강도 범위를 벗어난 다른 유형의 신체 활동 후에 DOMS가 나타날 수 있다.
- 헬스장에서 운동한 첫날
- 매우 강렬한 운동
- 무거운 웨이트 들어 올리기
더 읽어보기: 정형적 운동장애는 무엇일까
근육통과 염증
사람들은 이러한 유형의 통증이 운동 후 근육 섬유의 실패로 인한 염증 때문이라고 생각했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 <생리학 저널(The Journal of Physiological Sciences)>에 발표된 이 연구에 따르면 염증이 없는 통증도 있을 수 있다고 한다.
- <프런티어 생리학회지(Frontiers in Physiology)>의 2016년 또 다른 연구에 따르면 통증이 없는 염증도 있을 수 있다고 한다.
따라서 염증은 지연발생근육통의 고통과 직접 관련은 없는 듯 보인다. 현재 가설은 이러한 유형의 염증이 면역계와 또 알려지지 않은 자극(새로운 움직임 또는 운동 강도 증가)에 대한 반응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더 나은 결론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연구원들이 이 주제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찾을 때까지 기다려야 한다.
근육통은 젖산 때문일까?
아니다. 젖산은 지연 근육통을 유발하지 않는다. 이는 1983년에 발표된 한 연구에서 검증된 바 있으며, 두 가지 유형의 러너들을 통해 혈액 내 젖산 농도가 평가되었다.
- 경사 없이 러닝머신에서 45분간 달린 일부 참가자들은 젖산이 많이 증가했지만 지연발생근육통은 없었다.
- 내리막길을 시뮬레이션하기 위해 러닝머신을 -10%로 한 상태로 같은 시간 동안 달린 사람들은 젖산이 증가하진 않았지만, 상당한 강성을 나타냈다.
이 작은 실험은 젖산과 지연발생근육통 사이에 아무런 관련이 없음을 보여준다.
그렇다면 왜 아플까?
우리는 이에 대해 확실히 알지 못한다. 원인을 정의할 때 발생하는 문제 중 하나는 때때로 지연발생근육통이 운동하지 않는 근육으로도 퍼질 수 있다는 것이다.
때때로, 지연발생근육통은 운동하지 않는 신체 부위로 퍼질 수 있다. 따라서 그 원인을 확립하는 건 논쟁과 문제가 되어 왔다.
그러나 분명한 점은 다음과 같다.
- 편심 운동은 동심 운동보다 강성을 유발하는 경향이 더 크다.
- 통증 민감도와 같이 사람마다 다른 점이 있음으로 유전학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 탈수, 식욕 부진, 수면 부족, 심한 마사지 또는 통증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염증이 악화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어깨 통증을 치료하는 방법
예방법
지연발생근육통을 예방할 수는 없지만 통증의 가능성을 줄일 수는 있다. 또한, 지연발생근육통이 나타나는 경우 다음을 수행하면 관리하기가 훨씬 쉬워진다.
- 편하게 받아들이고 점차 운동 강도를 높이자. 무리한다고 해서 더 빨리 목표에 도달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실제로는 정반대다.
- 일반적인 권장 사항은 주당 10% 이상 반복, 세트 및 무게를 증가시키지 않아야 한다는 것이다.
- 준비 운동을 하자. 이전에 좋은 결과가 있었다면 운동 후에 스트레칭하자.
- 식단 관리, 숙면 및 충분한 물 섭취와 같은 좋은 습관을 들이는 데 집중하자.
간단히 말해서,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과는 달리 지연발생근육통은 젖산이나 염증으로 인한 것이 아니다. 과학자들은 여전히 정확한 원인을 찾으려고 노력 중이지만, 너무 심하게 운동하거나 평소 강도 범위 밖의 다른 신체 활동을 한 후에 나타나는 신체의 정상적인 반응일 뿐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Hotfiel, T., Freiwald, J., Hoppe, M., Lutter, C. and Forst, R. (2018). Advances i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DOMS): Part I: Pathogenesis and Diagnostics. Sportverletzung Sportschaden, 32(04), pp.243-250. https://www.ncbi.nlm.nih.gov/pubmed/30537791 (accessed 16 October 2019).
- Heiss, R., Lutter, C., Freiwald, J., Hoppe, M., Grim, C., Poettgen, K., Forst, R., Bloch, W., Hüttel, M. and Hotfiel, T. (2019). Advances in Delayed-Onset Muscle Soreness (DOMS) – Part II: Treatment and Prevention. Sportverletzung Sportschaden, 33(01), pp.21-29. https://www.ncbi.nlm.nih.gov/pubmed/30865998 (accessed 16 October 2019).
- Physiopedia contributors.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DOMS). Physiopedia, date of last revision: 1 March 2019. https://www.physio-pedia.com/index.php?title=Delayed_onset_muscle_soreness_(DOMS)&oldid=206655 (accessed 16 October 2019).
- Miller, J. Wong, A. DOMS –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Physioworks. Last updated 11-Oct-2019. https://physioworks.com.au/injuries-conditions-1/doms-delayed-onset-muscle-soreness (accessed 16 October 2019).
- Ingraham, P. Post-Exercise,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Pain Science. Updated Apr 24, 2019. https://www.painscience.com/articles/delayed-onset-muscle-soreness.php (accessed 16 Octo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