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구씨 효용과 사용 시 주의점
일반적으로 과일 한 조각을 먹을 때 대부분은 씨를 먹지 않고 버린다. 그런데 살구씨 내부에 항암 성분이 농축된 것은 아닐까?
최근 몇 년간 여러 학자가 살구씨 효과에 관해 이야기했다. 하지만 규제 기관은 청산가리 중독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과도한 양을 섭취할 경우 위험하다고 경고한다.
살구씨
살구씨 영양 성분과 특성은 신선한 과일이 제공하는 것과 다르다. 특히 전체 무게의 절반에 해당하는 지방 함량이 돋보이는 살구씨는 정확히 말하면 오메가 3와 6, 단백질 25%, 탄수화물 8%를 함유하고 있다.
이 때문에 혈중 콜레스테롤을 안정화하고 궤양성 대장염 같은 염증성 질환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이야기가 있다. 피부를 보호하고 보습하는 능력과 최근 몇 년간은 항암 가능성에 대해 조사되었다.
첫 번째 언급은 어니스트 T. 크렙스 박사가 암 환자 치료를 위해 살구씨 오일을 사용했던 1920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그러나 독성이 너무 강한 것으로 판명되었고 안전성은 여전히 문제다.
더 읽어보기: 이국적인 레드 용과의 특성
살구씨가 항암제로 간주되는 이유
살구씨에는 항암 활성이 있는 것처럼 보이는 성분 외에 지방, 단백질 및 탄수화물 외에도 비타민 B17이 포함되어 있다.
크렙스 박사는 비타민 B17 결핍을 암 발병과 연관시켜 보충제 형태로 살구씨를 제공하면 암세포 성장을 막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영양소는 ‘아미그달린’ 또는 ‘레트릴'(파생 상품의 상표명)으로도 알려져 있다. 살구씨를 씹으면 이 화학원소가 분해되어 시안화수소가 나오고 항종양 활성이 발생하여 종양 성장을 멈춘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현재 연구 결과는 어떨까? 정말 효과가 있을까? 현재 살구씨는 결코 1차 선택 치료법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 사용되지만 미국 국립 암 연구소는 이를 적절하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임상 결과가 긍정적이지 않았고 관련된 가능한 위험이 많아서 미국 정부는 살구씨 사용을 금지한다.
더 읽어보기: 산성 과일과 반산성 과일의 영향
시안화물 중독 문제
살구씨의 주요 건강 위험은 시안화물 중독으로 고통받을 가능성이다. 유럽 연합 식품 안전청(EFSA)에 따르면 과일의 씨에는 아미그달린이 함유되어 있다. 이 물질은 시안화물을 방출하고 신체에 흡수된다.
이 화학 물질의 주요 표적은 신장 및 갑상선과 함께 중추신경계다. 고용량에서는 다음과 같은 여러 중독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EFSA가 함께 작업한 연구에 따르면 체중 1kg당 0.5~3.5mg의 시안화물은 치명적일 수 있다. 안전한 섭취량은 체중 1kg당 20µg이며 큰 씨앗 1개나 작은 씨앗 3개에 해당한다.
살구씨에 관한 연구
아미그달린 효과에 관해 여러 과학 및 임상 분석이 수행되었다. 연구 대부분은 살구씨 또는 레트릴이 암 치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주장을 반대했다.
살구씨 사용에 찬성하는 연구
이 화합물에 관한 유리한 증거는 부족하다. Life Sciences 저널에 실린 연구는 췌장 종양 세포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를 보여주지만 연구자 스스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한다.
레트릴은 처음에 FDA에서 암 치료제로 승인되었지만 수많은 부작용, 중독 위험 및 과학적 증거 부족으로 인해 기존 사용 허가가 종료되었다.
살구씨 사용에 관한 연구
대조적으로, 비타민 B17에 대한 분석 및 과학적 포지셔닝은 더 많다. 이는 많은 공식 기관에서 내린 결정이다. 그들은 만장일치로 살구씨 사용에 관해 조언하고 중독의 위험을 경고하며 심지어 금지한.
미국 국립 암 연구소에서 발행한 아미그달린에 관한 문서에는 동물 및 실험실 연구 모두에서 긍정적인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는 내용이 나오며 ‘New England Medical Journal’은 1982년에 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의학 실험 결과를 요약한 기사를 발표했다.
관찰 결과, 환자들은 어떤 개선도 경험하지 못했고 기대 수명도 연장되지 않았다. 아미그달린은 독성이 있는 약물로 결론 내렸다.
2006년, ‘Cochrane’ 검토에서는 항암제로서 아미그달린의 효과에 대한 중요한 증거가 없다고 결론지었다.
살구씨는 주의해서 사용
생 살구씨 섭취에 따른 시안화물 독성에 대한 경고는 심각하다. 하지만 EFSA가 지적한 바와 같이 신선한 살구는 어떤 종류의 위험도 없다. 기름, 알코올성 음료, 향료, 과일 주스, 마지팬, 쿠키 또는 사탕에 넣어도 안전하다.
또한 살구씨 기름에는 다가불포화지방산과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특히 건조하고 손상된 피부 장벽을 관리하는 데 도움이 된다.
레터릴은 암에 대한 유효한 치료제로 승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이 문서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여전히 판매되고 있다. 살구씨 사용에 관해 생각하고 있다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오염 및 독성 영향이 없도록 구입처에 관해 신중해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EFSA Panel on Contaminants in the Food Chain (CONTAM). Acute health risks related to the presence of cyanogenicglycosides in raw apricot kernels and products derived from raw apricot kernels. Marzo 2016.
- Kopcekova J. et al. Influence of long-term consumption of bitter apricot seeds on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s.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and Health. Mayo 2018. 4;53(5):298-303.
- Laetrilo (amigdalina) (PDQ®). Instituto Nacional del Cáncer de Estados Unidos. Última actualización mayo 2019.
- Milazzo S, Horneber M, Ernst E. Laetrile treatment for cancer.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s. Abril 2015. Issue 4. Art. No.: CD005476
- Minaiyan M, et al. Anti-inflammatory effect of Prunus armeniaca L. (Apricot) extracts ameliorates TNBS-induced ulcerative colitis in rats. Research in Pharmaceutical Science. Julio 2014.9(4):225-231.
- Moertel C.G, et al. A clinical trial of amygdalin (Laetrile) in the treatment of human cancer.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Enero 1982. 28;306(4):201-6.
- Moustafa K, Cross J. Production, pomological and nutraceutical properties of apricot.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Enero 2019. 56(1):12-23.
- Ramírez A.V. Toxicidad por cianuro. Investigación bibliográfica de sus efectos en animales y en el hombre. Anales de la Facultad de Medicina. Marzo 2010. 71(1).
- Sharma PC, Tilakratne BM, Gupta A. Utilization of wild apricot kernel press cake for extraction of protein isolate.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Diciembre 2010. 47(6): 682–685.
- Shils ME, Hermann MG. Unproved dietary claims in the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ncer. Bulletin of New York Academy of Medicine. Abril 1982. 58(3):323-3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