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셀리악병의 유형 및 특징

셀리악병은 장을 심각하게 손상할 수 있는 음식 의존성 질환이다. 셀리악병의 다양한 유형과 특징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설명한다.

셀리악병의 유형 및 특징

셀리악병이 항상 같은 방식으로 나타나지는 않는다는 점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전문가들은 다양한 유형의 셀리악병을 연구하고 분류했다. 지금부터 셀리악병의 여러 유형과 특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자.

셀리악병은 글루텐 섭취와 관련이 있는 자가 면역 질환이다. 글루텐은 밀 또는 보리가 포함된 식품 등 여러 식품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미국에서 전문가들은 이 질환이 인구의 약 1% 또는 미국 내에서만 약 300만 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추정한다.

문제는 대부분 증상이 나타나지 않을 수 있어 진단하는 것이 더 복잡해지며 오래 걸린다는 데 있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셀리악병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점과 주된 유형을 설명한다.

셀리악병이란?

앞서 언급했듯이, 셀리악병은 글루텐에 반응을 보이는 자가 면역 질환이다. 셀리악병 환자가 이러한 단백질을 섭취하면 소장에서 면역계 반응을 일으킨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글루텐은 장 점막을 손상한다.

글루텐은 다양한 곡물에 존재하는 단백질이다. 예를 들면 밀, 호밀, 보리 때로는 귀리에도 있다. 이러한 식품은 빵, 파스타, 쿠키 등의 재료로, 대개 서양 식단에서 매우 흔히 발견할 수 있다.

시간이 지나면서 장 점막의 손상은 소화 중 영양분 흡수에 영향을 미친다. 바로 이러한 점이 많은 사례에서 체중 감소, 빈혈 또는 아동의 성장 변화가 발생하는 이유를 설명한다.

전문가들은 아직 다양한 유형의 셀리악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정확히 알아내지 못했지만, 유전이 결정적인 요인이라는 점은 알려져 있다. 마찬가지로 종종 다른 유형의 자가 면역 질환과도 관련이 있다. <Cub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학술지의 연구에 따르면, 셀리악병과 제1형 당뇨병의 관련성이 있을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제1형 당뇨병이 있는 아이 키우기

셀리악병의 유형 및 특징

환자가 그 자체로 엄격한 식단에 대처하는 데 도움이 되는 많은 글루텐 프리 대안이 있다.

셀리악병의 유형

셀리악병에는 증상과 소화계를 검진하는 특정한 보완 검사의 증거에 따른 다양한 임상 형태가 있다. 이로 인해 셀리악병의 유형이 나타난다. 스페인 셀리악병 협회 연맹에 따르면, 거의 75%의 환자가 진단을 받지 않았다.

이 데이터는 최근까지 전문가들이 무증상 사례가 있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지하지 못한 데에서 비롯된다. 따라서 셀리악병의 유형은 무증상, 증상, 잠재성, 잠복성 및 난치성으로 분류된다. 지금부터 주된 특징을 알아보자.

무증상

무증상 셀리악병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증상을 보이지 않는 질환이다. 하지만 보완 검사(예를 들면 장을 관찰하기 위한 내시경 검사)를 통해 질병의 존재가 분명해진다.

증상

이러한 유형의 셀리악병에서는 환자가 증상과 양성 검사 결과를 모두 나타낸다. 하지만 징후는 매우 다양하다. 일부 사람은 설사, 체중 감소, 피로, 구토 및 복통을 경험한다.

다른 사례에서는 설사 대신 끊임없는 변비를 발견할 수 있다. 또 다른 전형적인 징후는 아동의 경우 성장 지연, 고창 및 복부 팽만이다. 간접적인 방식으로는 빈혈과 끊임없는 과민성을 발견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설사를 할 때 요거트를 먹어도 괜찮을까

잠재성 셀리악병

이러한 유형은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사례를 의미한다. 하지만 셀리악병이 생길 가능성이 크다. 이는 HLA-DQ2/DQ8 유전자의 측정과 같은 유전자 검사로 인해 알 수 있다.

하지만 의사가 이러한 환자의 소장 조직 생체 검사를 수행하면 셀리악병의 증거를 찾지 못한다. <Chilean Medical Journal>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에 따르면, 지금 당장 엄격한 글루텐 프리 식단을 따를 필요는 없지만 환자를 주의 깊게 지켜보는 것이 중요하다.

잠복성 셀리악병

잠복성 셀리악병에서는 이미 진단을 받았지만 나중에 증상과 장 질환이 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 어릴 때 진단을 받고 글루텐이 전혀 없는 식단을 따른 후에는 이러한 단백질을 다시 포함하더라도 셀리악병이 재발하지 않는다.

난치성 셀리악병

난치성 셀리악병글루텐 프리 식단을 따른 후에도 질병의 증상이나 징후가 계속해서 발생하는 사례를 의미한다. 이를 확인하려면 환자가 6개월 이상 단백질과 접촉을 하지 않아야 한다.

셀리악병의 유형 및 특징

난치성 셀리악병을 확인하려면 환자가 6개월 이상 단백질과 접촉을 하지 않아야 한다.

셀리악병은 여러 유형이 있다

이 주제에 대해 알아야 할 가장 중요한 점은 다양한 유형의 셀리악병이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도 증상을 나타내지 않는 사람에게 장 병변이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잊지 않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대부분 진단에 도달하는 것은 쉬운 일이 아니다.

셀리악병 유무를 늦지 않게 확인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장 점막의 손상이 되돌릴 수 없을 정도가 되어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아동의 영양실조 또는 성장 지연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글루텐 섭취 시 위장 증상이 의심된다면 항상 의사와 상담을 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보완 검사를 비교적 쉽게 받을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De La, G., Roselló, C. U., De La, C., Pérez Labrada, C., Delgado Mosquera, A. E., Ferreiro, R. Á., & Rosa Téllez Velázquez, D. (n.d.). CELIAQUÍA, ENFERMEDAD SISTÉMICA AUTOINMUNE.
  • Asociaciones entre la celiaquia y la Diabetes mellitus. La experiencia cubana | Santana Porbén | Revista Cubana de Alimentación y Nutrición. (n.d.). Retrieved September 29, 2020, from http://www.revalnutricion.sld.cu/index.php/rcan/article/view/768/pdf_129
  • ¿Qué es la enfermedad celiaca? | FACE. (n.d.). Retrieved September 29, 2020, from https://celiacos.org/enfermedad-celiaca/que-es-la-enfermedad-celiaca/
  • Cerda-Contreras, E., et al. “¿ Es posible una mejor identificación de la enfermedad celiaca en sujetos mexicanos por medio de HLA-DQ8 que de HLA-DQ2?.” Revista de Gastroenterología de México 83.4 (2018): 410-413.
  • Bejares, M., Oyarzún, A., Lucero, Y., Espinoza, N., Bascuñán, K., & Araya, M. (2015). Búsqueda activa de enfermedad celíaca en familiares de primer grado de casos celíacos. Revista Medica de Chile, 143(12), 1521–1526. https://doi.org/10.4067/S0034-98872015001200003
  • Muñoz Tello, Paola. “Prevalencia mundial de la enfermedad celíaca.” (2018).
  • Gil-Gulías, Lorraine, et al. “Enfermedad celiaca refractaria: cuando la dieta sin gluten no sana.” Revista Clínica de Medicina de Familia 9.2 (2016): 110-113.
  • Moscoso, Felipe, and Rodrigo Quera. “Enfermedad celíaca. revisión.” Revista médica de Chile 144.2 (2016): 211-221.
  • Parera Pinilla, Clara Luna, Bárbara M. Ochoa Fernández, and Concepción Bonet de Luna. “Enfermedad celíaca: quién sabe dónde.” Pediatría Atención Primaria 20.79 (2018): 269-276.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