락토페린의 이점
유청과 모유에서 추출한 락토페린은 당단백질에 속하는 단백질이다. 유청과 모유에서 다량으로 발견되는 락토페린은 특이하게도 철분과 결합하므로 트랜스페린류의 일부이기도 하다. 이 글에서 락토페린의 이점을 자세히 알아보자.
락토페린의 다양한 생물학적 기능은 철분에서 비롯된다. 이 성분은 장 건강을 증진하고, 항균 및 항산화 작용을 하며, 면역계를 활성화한다. 또한 신체로 흡수되면 건강 관련 기능에도 관여하는 펩타이드를 형성한다.
락토페린은 제약, 생명 공학, 식품 산업에서 관심 있게 지켜볼 만큼 흥미로운 효과가 있다.
락토페린의 이점에 관해 자세히 알고 싶다면 계속해서 읽어 보자.
락토페린이란?
락토페린(Lf)은 유청과 모유에서 분리된 단백질이며, 과거에는 락토트랜스페린이라고 했지만 현재는 당단백질로 분류된다. 다시 말해, 탄수화물과 철분이 결합한 단백질이다. 만약 그 상태에서 철분이 빠지면 아포락토페린이라고 할 수 있다.
락토페린은 유청에 녹아 있으며, 신체 세포에 철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이 성분은 마치 나비처럼 중심축의 양옆에 2개의 날개가 달려 있으며, 각 날개는 철 분자와 결합할 수 있다.
락토페린의 공급원
락토페린은 출산 후 처음으로 분비되는 초유와 영구유에서 주로 발견된다.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1L의 초유와 영구유에는 각각 7g과 1g의 락토페린이 포함되어 있다.
한편 이 성분은 우유 외에도, 혈장, 호중구, 타액, 담즙, 눈물, 췌장에서도 발견된다. 일부 연구진들은 모유에 포함된 철분의 30%가 락토페린과 결합한 상태라고 한다.
시중에서 판매되는 제품 중 락토페린의 공급원을 찾자면 유청이 있다. 이 제품은 대량 생산이 가능하므로, 어렵게 않게 구할 수 있다.
락토페린의 이점
락토페린의 입증된 다양한 특성 중 몇 가지 이점을 살펴보자.
락토페린은 철분의 운반을 촉진할 수 있는 우유의 필수 성분이다.
철분 대사에 참여한다
락토페린은 2개의 철 분자와 결합하여 혈액을 통해 철분을 운반하므로, 철분 대사에 도움이 된다. 대체로 락토페린은 신체의 자기 조절을 유지하는 단백질의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보기: 철분 수치가 낮으면 어떻게 될까
항균 효과
락토페린이 곰팡이, 박테리아, 바이러스를 포함한 다양한 병원균에 항균 작용을 한다는 것은 이미 잘 기록되어 있다.
락토페린이 항균 효과를 발휘하는 데에는 몇 가지 이유가 있다.
이 성분은 장에서 일차 방어선으로 작동하여 비피두스균이나 락토바실루스와 같은 프로바이오틱세균의 성장을 촉진한다. 또한 감염 부위의 철 이온을 포획하여 균 성장에 필수적인 영양분을 빼앗는다.
그 외에도 일부 박테리아의 외막과 결합하여 강성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박테리아가 불안정한 상태로 변하면서 성장이 멈출 수 있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에 관한 락토페린의 항균 효과도 발견되었다. 마찬가지로, 클렙시엘라(Klebsiella spp)나 황색 포도상 구균과 같은 특성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박테리아에 관한 효과도 언급된 바가 있다.
락토페린의 다양한 항균 효과는 생리 활성 펩타이드인 락토페리신(Lfcn)의 활동에서 비롯된다. 락토페리신은 펩신 효소에 의한 락토페린의 분해 과정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성분이며, 철분을 흡수하지 않는다.
면역 조절 활동
락토페린은 면역계 세포의 증식, 분화, 활성화에 도움을 줄 수 있으며, 특정 항원의 인식과 항체 생성을 촉진한다.
락토페린 수용체는 림프구, 대식세포, 단핵구에서 발견되며, 병원체와 종양 세포에 감염된 세포를 파괴하는 림프구의 활동 조절 과정에 관여한다.
실제로 락토페린은 인터류킨과 같은 항염증 물질의 생성을 유도하는 능력이 있는 성분으로 인정되었다. 또한 일부 전문가들은 락토페린의 항균 활동이 염증의 진행을 방지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염증의 진행이 멈추면 신체 조직의 추가 손상이 발생하지 않는다.
항산화 효과
락토페린의 항산화 활동은 철 이온을 포획하는 능력과 관련이 있다. 철분과 철 이온은 유리기가 생성되는 산화 환원 반응의 촉진제로 작용한다.
연구진들은 락토페린이 염증 반응으로 생성된 유리기를 중화하여, 면역계 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고 한다.
일부 암 치료에 도움이 된다
일부 연구진들에 따르면, 락토페린의 전염증성 사이토카인 조절 능력은 항암 효과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자연 살생 세포의 세포 독성 활동을 자극하여 종양 세포의 사멸을 촉진한다.
하지만 이러한 효과를 확인하려면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더 읽어보기: 암의 유전적 근거
락토페린 보충제에 관한 연구가 다방면으로 진행 중이지만, 효용을 파악하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
건강 관점에서 바라보는 락토페린의 미래
락토페린은 HIV 및 기타 헤르페스와 같은 바이러스 복제를 억제하여 감염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호흡기와 장에서 자연적인 점막 장벽으로 작용한다.
관찰 연구를 통해, 75명의 코로나19 감염증 환자가 소에서 추출한 락토페린 영양 시럽을 섭취한 후 회복세를 보였다는 점이 밝혀졌다. 연구 참가자들이 섭취한 보충제에는 10mL의 락토페린, 12mL의 비타민 C, 10mL의 아연이 포함되어 있었다.
락토페린의 이점은 상당히 유망한 것으로 보이지만, 항바이러스 작용에 관해서는 임상 실험과 실험실 검사가 추가로 필요하다. 전문가들은 확실한 결과를 위해서는 과학적 근거가 계속해서 발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Levay, Peter & Viljoen, Margaretha. (1994). Lactoferrin: A general review. Haematologica. 80. 252-67.
- Marshall, K. (2004). Therapeutic applications of whey protein. Alternative medicine review : a journal of clinical therapeutic, 9 2, 136-56 .
- Biswajit Mishra, Geeta Devi Leishangthem, Kamaldeep Gill, Abhay K. Singh, Swagata Das, Kusum Singh, Immaculata Xess, Amit Dinda, Arti Kapil, Ishan K. Patro, Sharmistha Dey, A novel antimicrobial peptide derived from modified N-terminal domain of bovine lactoferrin: Design, synthesis, activity against multidrug-resistant bacteria and Candida,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BBA) – Biomembranes, Volume 1828, Issue 2, 2013, Pages 677-686, ISSN 0005-2736, https://doi.org/10.1016/j.bbamem.2012.09.021.
- Di Mario, F., G. Aragona, N.D. Bo, A. Ingegnoli, G.M. Cavestro, A.M. Moussa, V. Iori, G. Leandro, A. Pilotto, & A. Franze. 2003. Use of Lactoferrin for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Preliminary Results. J Clin. Gastroenterol. 36(5):396-398
- Legrand, Dominique & Elass, Elisabeth & Carpentier, Mathieu & Mazurier, Joël. (2005). Lactoferrin: A modulator of immune and inflammatory responses.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 CMLS. 62. 2549-59. 10.1007/s00018-005-5370-2.
- Brandenburg K, Jürgens G, Müller M, Fukuoka S, Koch MH. Biophysical characterization of lipopolysaccharide and lipid A inactivation by lactoferrin. Biol Chem. 2001;382(8):1215-25.
- Pierre, J., Fontecave, M. & Crichton, R. Chemistry for an essential biological process: the reduction of ferric iron. Biometals 15, 341–346 (2002). https://doi.org/10.1023/A:1020259021641
- Gifford, J.L. & Hunter, Howard & Vogel, Hans. (2005). Lactoferricin: a lactoferrin-derived peptide with antimicrobial, antiviral, antitumor and immunological properties.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 CMLS. 62. 2588-98.
- Hiroyuki Tsuda, Kazunori Sekine, Ken-ichi Fujita, and Masaaki Iigo. Cancer prevention by bovine lactoferrin and underlying mechanisms — a review of experimental and clinical studies. Biochemistry and Cell Biology. 80(1): 131-136. https://doi.org/10.1139/o01-239
- Drago-Serrano ME, Flores-Romo L, Oliver-Aguillón G, et al. Lactoferrin as modulator of the immune response. Bioquimia. 2008;33(2):71-82.
- Campione E, Cosio T, Rosa L, Lanna C, Di Girolamo S, Gaziano R, Valenti P, Bianchi L. La lactoferrina como barrera natural protectora de la mucosa respiratoria e intestinal contra la infección por coronavirus y la inflamación. Revista Internacional de Ciencias Moleculares . 2020; 21(14):4903. https://doi.org/10.3390/ijms21144903
- Serrano G, Kochergina I, Albors A, Diaz E, Oroval M, Hueso G, et al. Liposomal Lactoferrin as Potential Preventative and Cure for COVID-19. Int J Res Health Sci. 2020;8(1):8-15.
- Wang, Y., Wang, P., Wang, H., Luo, Y., Wan, L., Jiang, M., & Chu, Y. (2020). Lactoferrin for the treatment of COVID‑19 (Review). Experimental and Therapeutic Medicine, 20, 272. https://doi.org/10.3892/etm.2020.9402
- Nibbering, P. H., Ravensbergen, E., Welling, M. M., van Berkel, L. A., van Berkel, P. H., Pauwels, E. K., & Nuijens, J. H. (2001). Human lactoferrin and peptides derived from its N terminus are highly effective against infections with antibiotic-resistant bacteria. Infection and immunity, 69(3), 1469–1476. https://doi.org/10.1128/IAI.69.3.1469-1476.2001
- Drago Serrano, María Elisa Lactoferrina: producción industrial y aplicaciones Revista Mexicana de Ciencias Farmacéuticas, vol. 38, núm. 3, julio-septiembre, 2007, pp. 30-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