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경우 집에서 감기를 치료하는 방법은 꽤 간단하다. 감기는 누구에게나 영향을 줄 수 있고 일반적으로 주요 합병증을 유발하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기 증상은 성가시며 직장이나 학교를 빠지게 만들 수 있다.
코 막힘, 재채기, 기침같은 증상은 매일의 업무 진행을 방해하여 전반적인 불편함을 느끼게 한다. 다행히도 일반적으로 감기는 셀프 케어로 짧은 기간에 개선할 수 있다. 계속 읽어 보자!
감기란?
감기는 호흡기에 영향을 미치는 바이러스 감염을 말한다. 다양한 종류의 많은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 실제로, 리노바이러스, 아데노바이러스, 등 약 200종의 연관 바이러스가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역사를 통틀어, 전문가들은 이 병리가 발전하는 데 도움이 되는 요인을 확인하려고 시도해왔다. 예를 들어 연구에 따르면 감기는 어린이,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 환경이 건조하고 추운 곳에서 더 자주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증상은 일반적으로 바이러스에 노출된 후 2~3일 후에 나타난다. 증상의 일부는 아래와 같다.
- 코 막힘
- 재채기
- 전반적인 불편함
- 미열 (일부 경우)
- 기침과 인후염
- 두통
병의 경과에 따라 점액은 짙어진다. 그러나 증상은 며칠 내에 저절로 개선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처하고 합병증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몇 가지 팁을 실천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코막힘을 빠르게 완화하는 7가지 요법
집에서 감기를 치료하는 팁
감기로 인한 합병증의 징후가 없다면 몇 가지 간단한 방법으로 충분히 증상에 대처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을 따르고 적절하게 휴식을 취한다면 단시간에 증상이 완화될 것이다.
물과 건강한 수분 섭취
수분 유지는 점액의 막힘을 완화하는 기본적인 방법 중 하나이다. 수분을 많이 섭취하면 재채기나 기침으로 점액이 두꺼워지고 제거하기 쉬워진다.
미지근한 물을 마시는 것을 추천한다. 마찬가지로 수프와 죽도 종종 편안함을 줄 수 있다. 알코올이나 카페인 음료같이 탈수를 촉진하는 제품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식염수 만들기
식염수를 넣으면 코 막힘과 목의 통증같은 불편함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된다. 따뜻한 물 한 잔에 소금 1/4t를 희석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그다음, 그 액체를 이용하여 비강 세척이나 양치질을 해 보자.
직접 하고싶지 않다면 약국에서 간단하게 식염수 스프레이와 점비액을 구매할 수 있다. 코 막힘과 과도하게 점액이 생성된 경우에 사용한다. 아기에게 사용하는 이상적인 방법은 한 콧구멍에 제품을 여러 방울 넣는 것이다. 그런 다음 고무 흡입기를 이용하여 조심스럽게 빨아낸다.
더 읽어보기: 생리식염수는 어디 사용될까?
휴식을 위한 환경 조성하기
집에서 감기를 치료할 때 가장 중요한 것 중 하나는 많은 휴식을 취하는 것이다. 그러나 잠자는 곳에 담배 연기, 먼지, 또는 강한 냄새가 나는 화학 물질같은 거슬리는 것이 없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러한 물질에 노출되면 증상이 악화될 수 있다.
또한 습하고 따뜻한 환경을 위해 방에 가습기를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조치는 호흡기의 자극을 줄이고 안도감을 증가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 읽어보기: 위생적인 수면 환경을 위한 10가지 팁
집에서 감기를 치료하기 위해 해야 할 일
위에 언급한 내용을 실행하는 것 외에도 전염을 줄이는 것의 중요성을 기억하는 것이 필요하다. 비말이 다른 사람을 감염시키지 않도록 기침 또는 재채기할 때 코와 입을 가려야 한다. 규칙적으로 손을 씻고 개인 물품을 공유하지 않는 것도 예방을 위한 또 다른 유용한 방법이다.
두통 또는 전반적인 불쾌감 같은 증상이 있다면 이부프로펜이나 파라세타몰과 같은 진통제를 복용할 것을 권장한다. 또한 점액이 진해진 것과 기침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점액 용해제 및 진해제가 있다. 어쨌든, 자가 치료를 피하기 위해서는 병원에 가서 의사의 권고를 따르는 것이 가장 안전하고 확실한 방법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Bosch, Á. (2003). Cuidado y tratamiento del resfriado. Offarm: farmacia y sociedad, 22(10), 65-72. https://www.elsevier.es/es-revista-offarm-4-articulo-cuidado-tratamiento-del-resfriado-13054399
- Carballal, G., Marcone, D., & Videla, C. (2014). Virus respiratorios emergentes y el nuevo impacto de los rinovirus por medio del diagnóstico molecular. Corpus. https://ri.conicet.gov.ar/handle/11336/103749
- Cleveland Clinic (20 de octubre del 2019). How You Can Tell If You Need a Humidifier. Cleveland Clinic. Consultado el 26 de mayo del 2024. https://health.clevelandclinic.org/how-you-can-tell-if-you-need-a-humidifier
- Mayo Clinic (3 de junio del 2022). Remedios para el resfriado: Qué funciona, qué no y qué no te hace daño. Mayo Clinic. Consultado el 26 de mayo del 2024. https://www.mayoclinic.org/es/diseases-conditions/common-cold/in-depth/cold-remedies/art-20046403
- Pintos , I., Muñez, E., Alarcón, A., & Ramos, A. (2018). Flu virus and respiratory virus infections. Medicine (Spain), 12(56), 3291–3297.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pii/S0304541218301173?via%3Dihub
- Sociedad Española de Médicos Generales y de Familia (s.f.). Cómo toser y estornudar correctamente. SEMG. Consultado el 26 de mayo del 2024. https://www.semg.es/index.php/component/k2/item/498-como-toser-o-estornudar-correctame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