팬데믹 기간 동안에 나타나는 어린이의 탄력성 관련 문제에는 더 심층적인 과학적 분석이 있어야 한다. 이 현상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팬데믹이 끝난 후에는 새로운 출판물과 기사들이 많이 나올지도 모른다. 우선 우리는 탄력성의 개념이 무엇인지를 먼저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탄력성이란?
전통적으로 탄력성은 특정 물체의 늘어나고 또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는 속성과 관련 지어져 왔다. 따라서 객체의 상태나 조건을 수정할 수 있는 요인들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객체는 압력이 가해진 후에도 변경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아이디어는 사람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비록 우리가 사물은 아니지만, 여전히 매우 어려운 상황과 압력에 직면할 수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대로 남아 있곤 한다.
탄력성은 개인 또는 집단에 적용될 수 있다. 집단 회복력에 관해서는 이를 사회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 재난과 비극에 노출되었을 때 탄력성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많은 연구가 있었다. 그리고 지금과 같은 코로나바이러스 팬데믹 상황에서는 이러한 탄력성이 더욱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코로나 격리 중 정신 건강을 관리하는 팁 10가지
심리적 탄력성 특징
탄력성을 갖는다는 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특성을 포함한다.
- 유머 감각
- 높은 자존감
- 좌절감에 대한 내성
- 공감을 개발하는 능력
- 유연성: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서의 사람들의 적응력
탄력성에 관한 일부 보고서에 따르면 사람들의 탄력성을 증진하고 제공하는 게 좋지만, 자신의 책임을 놓치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한다. 이 책임은 개인, 지역 사회 및 기관에 대한 책임일 수 있다.
팬데믹과 어린이의 탄력성
스페인 소아과 학회(Association of Pediatrics)는 탄력성이 “고난에 직면하고 스트레스가 많은 상황에 적응하며 역경을 통해 더 강해질 수 있는 긍정적인 태도”라고 강조한다.
동시에, 아르헨티나 소아과 학회(Argentine Society of Pediatrics)는 ‘소아과 관행에서의 아동 성장과 발달에 관한 안내서’에서 탄력성이 필수 요소라고 지적한다. 탄력성은 어린이와 가족 모두가 불리한 상황으로부터 자신을 보호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특성이다.
어린 시절에 이 팬데믹 상황에 직면한다는 건 의심의 여지 없이 스트레스의 원천일 것이다. 하지만 어린이의 탄력성은 왜 일부 어린이들이 전혀 영향을 받지 않은 채 이 어려운 상황을 극복하는 듯 보이는지에 대한 답이 될 수 있다. 이는 분명 잘 대처하지 못하고 있는 듯한 다른 사람들과는 대조적이다.
더 읽어보기: 어려운 상황에서 긍정적인 자세를 가지는 방법
수십 년 동안 여러 전문가가 탄력성을 측정할 수 있는 기준을 식별하기 위한 연구를 해왔다.
하지만 어쨌든 이러한 능력을 어린 나이부터 장려하는 게 중요하다. 항체와 마찬가지로 이러한 능력은 이 팬더믹과 같은 어려운 상황에 대한 어린이의 반응력을 강화할 수 있다.
결론
탄력성이라는 이 전체 아이디어에 너무 현혹되지 않는 게 중요하다. 귀중한 자질임에는 분명하지만 만병통치약은 아니며 모든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생각될 수는 없다.
이 팬데믹 시대에 사람들은 두려움, 불확실성 및 의심의 영향을 받는다. 그리고 이때 각 개인, 특히 어린이의 탄력성은 소중하며, 또 중요한 차이를 만들 수 있다.
그러므로 낙관적인 태도를 취하고 인생의 밝은 면을 바라보려고 노력하는 게 도움이 될 것이다. 하지만 이때 우리는 현재 상황과 심각성을 부정하지는 말아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Fernández Pérez, M. (2020). Sociedad de Psiquiatría Infantil de la Asociación Española de Pediatría.
- de Pediatría, S. A., & Subcomisiones, C. (2017). Guía para el seguimiento del desarrollo infantil en la practica pediatrica. Arch Argent Pediatr,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