봄에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영향을 설명하기 위해 ‘날씨 탓이야.’라는 말을 달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
날씨 변화의 실제 영향을 거의 알지 못하고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봄에는 겨울보다 일광 시간과 온도가 증가하고 감정 변화도 있을 수 있다. 자꾸 야외 활동을 계획하고 공원에 자주 나가게 된다.
좋은 날씨는 행복 호르몬 생성을 촉진하여 기분에 영향을 미친다.
- 도파민
- 세로토닌
- 옥시토신
이번 글에서는 봄에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영향을 알아보자.
봄에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영향
믿거나 말거나 봄의 변화는 처음에는 대처하기 다소 어려울 수 있다. 봄 무력증으로 알려진 불편함은 빛 조건의 변화에 대한 신체 적응 때문이다.
그러나 우울증과 혼동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봄 무력증은 병리학적 상태가 아니며 약물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봄에 흔히 느낄 수 있는 심리적 영향은 다음과 같다.
- 피로와 피곤함: 졸음과 전반적인 에너지 부족으로 해석될 수 있다.
- 과민성: 사소한 일에도 쉽게 기분을 상할 수 있다.
- 기분 변화: 감정 기복이 심해진다. 아침에는 활기차지만 한낮에는 갑자기 기분이 저조하다. 100% 동기 부여를 받았지만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고 좌절한다. 무관심과 슬픔도 일반적인 감정이다.
- 집중력 저하: 주의가 산만해지면 계속 작업을 수행하기 어렵다.
- 기억력 상실: 일반적이지 않고 일시적이지만 말하고 싶었던 것과 몇 가지 해결되지 않은 문제를 잊는다.
봄 무력증의 다른 영향은 다음과 같다.
- 탈모
- 식욕 변화
- 성욕 감소
더 읽어보기: 알레르기를 악화하는 실내 식물 15가지
모두 봄철 심리적 영향을 느끼지는 않는다
물론 계절의 변화가 모든 사람에게 같은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동시에 봄에 느끼는 심리적, 신체적 영향은 일시적이며 대개 2주 이상 지속되지 않는다.
계속 영향을 느낀다면 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이 좋다.
앞서 언급한 효과 외에도 많은 사람이 봄이 되면 자기 몸 관리를 시작한다. 날이 따뜻해지면서 겨울 동안 두꺼운 옷 아래 감췄던 몸매를 드러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봄에는 춘곤증 외에도 노출의 계절이 시작되며 날씬한 몸매에 관한 사회적 압박으로 많은 사람이 불편함을 느낀다.
봄에 느낄 수 있는 무력증을 예방하기 위한 권장 사항
봄 무력 영향에 대응하기 위해 취할 수 있는 몇 가지 조치는 다음과 같다.
- 일찍 잠자리에 들도록 노력한다. 길어진 낮에는 즐거운 활동으로 동기를 부여하고 신체가 새로운 조건에 익숙해지도록 적당한 전환을 시도하자. 밤에 적어도 7~8시간은 자도록 노력하는 것이 좋다.
- 특히 변화를 감지한 첫날에는 건강한 식단을 찾자. 과일과 채소는 항상 도움이 되며 밤에는 휴식을 취하기 최소 2시간 전에 가볍게 식사하는 것이 좋다. 카페인과 지방 및 가공식품을 피하자.
- 취미 생활을 한다. 독서, 자전거 타기 또는 그림 그리기를 좋아하는가? 동기를 부여하는 계획을 세운다.
- 운동할 기회를 만든다. 따뜻한 기온은 산책이나 야외 활동을 하게 하지만 절제할 줄도 알아야 한다. 너무 몸을 지치게 하거나 과로하지 않도록 주의하자.
더 읽어보기: 헌 옷을 새 옷처럼 바꾸는 4가지 비결
간절기에는 여유를 가져라
봄철 무력증과 다른 변화 상황은 점진성, 적응, 새로운 상태에 직면할 시간을 주는 것의 중요성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이러한 상황에 직면했을 때 즉각적인 결과를 기대하지 않고 인내심을 갖고 자신을 존중하고 감정을 받아들이는 것이 중요하다. 한 상태에서 다른 상태로 이동할 수 있는 공간과 시간을 스스로 허용해야 한다.
과도한 계획, 식사와 외출을 피하자. 지금 이 순간을 어떻게 살고 있는지, 스트레스를 너무 많이 받고 있는지,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있는지 스스로 질문할 기회로 삼는다. 일상생활 조건이 너무 까다로울 때 봄철 무력증은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Pérez, M. J. C., Bobo, M. T., & Arias, A. R. (2013). Medicalización de la vida en la consulta:¿ hacia dónde caminamos?. Atención primaria, 45(10), 536-540.
- Young, P., Finn, B. C., Bruetman, J. E., Pellegrini, D., & Kremer, A. (2010). Enfoque del síndrome de astenia crónica. Medicina (Buenos Aires), 70(3), 284-2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