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과 폭력을 알아채는 방법

출산이 부정적이거나 충격적인 경험으로 남았거나, 병원에서 아이 취급을 당했거나 침묵을 강요했거나 굴욕감을 느꼈다면 산과 폭력을 경험한 것일 수 있다.

산과 폭력을 알아채는 방법

출산은 일부 여성이 살면서 경험하는 가장 중요한 과정이다. 임신은 정서적으로 상당히 약해진 시기이며, 좋은 보살핌을 받아야 할 때다. 즉, 산모와 아기의 신체 건강을 관리할 뿐 아니라, 여성의 심리적 필요와 기본권까지도 존중해야 한다. 만약 이러한 일이 지켜지지 않으면 산과 폭력이 일어날 수 있다. 그렇다면 산과 폭력을 알아채는 방법이 있을까?

안타깝게도 산과 폭력은 확실하게 드러나지 않는 경향이 있으며, 어떤 식으로든 처벌을 받지 못할 때가 많다. 따라서 시간이 지나면서 그 행위가 계속 이어지곤 한다. 또한 대부분의 여성은 자신의 권리를 인지하지 못하고, 임신과 출산 중 그 권리가 침해되었다는 사실을 잘 알지 못한다. 두 상황 모두 심리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그렇다면 산과 폭력을 어떻게 알아챌 수 있을까? 지금부터 함께 살펴보자.

산과 폭력이란?

산과 폭력은 임산부가 분만 중이나 산후조리 중에 의료 전문가에게 겪는 일종의 학대 행위다. 이는 여성의 신체 건강이나 심리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행동이나 태만으로 나타날 수 있다.

산과 폭력은 성적 권리와 생식 권리를 침해하는 행위이며, 전형적인 젠더폭력의 한 유형이다.

그렇지만 산과 폭력은 실수나 의료 과실이 아니라, 임산부를 모욕하고 해를 끼치며 고결성을 위험에 빠뜨리는 조직적인 행위를 의미한다.

이러한 범주에 포함되는 태도나 행동은 광범위하게 확대되며 정상으로 간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많은 의료 전문가는 자신의 잘못을 인식하지 못하며, 많은 임산부도 자기가 학대의 피해자라는 사실조차 깨닫지 못한다. 또한 이러한 폭력의 근원은 깊게 뿌리를 내리고 있다.

산과 폭력은 임신과 임산부에 관한 잘못된 개념에서 시작된다. 의료 환경에서는 여성을 어리게 취급하고 침묵을 강요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환자에게 소극적인 태도를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임신 과정에서 여성의 자율성과 의사 결정 능력이 제한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성적 조절과 생식 조절이란 무엇일까?

산과 폭력을 알아채는 방법

산과 폭력은 오래전부터 매우 흔한 관행이었다. 하지만 사회에서 산과 폭력 근절의 중요성을 서서히 인식하고 있다.

산과 폭력을 알아채는 방법

지금까지 사회에서는 이러한 절차를 상당히 정상적인 상황으로 간주해 왔다. 따라서 임산부는 자기가 폭력에 시달리고 있다는 사실을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다.

산과 폭력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와 징후는 다음과 같다.

정보 부족

건강 전문가는 임신과 분만의 정확한 결과만 관찰해서는 안 된다. 임산부에게 관련 정보를 모두 제공해 주고, 임산부의 질문에 항상 열린 태도로 기꺼이 답을 해 줘야 한다. 산전 검진과 분만 중은 물론, 아기를 출산한 이후에도 마찬가지다.

여성은 자신에게 일어나는 일과 모든 행위의 목적을 항상 알고 있어야 하며, 질문하고 그에 대한 설명을 요청할 권리가 있다. 만약 관련 정보를 받지 못하거나, 병원에서 이를 숨기거나, 질문에 답을 하지 않으면 산과 폭력이 일어난 것이다.

산과 폭력을 드러내는 징후: 동의 부족

임산부는 정보를 받는 것 외에도, 자신이 겪게 되는 과정에 관해 전적으로 동의해야 한다.

여성이 동의하지 않은 약을 투여하거나 의료 행위를 하는 것은 그의 권리를 침해하는 것이다.

굴욕감과 감정 또는 요구 묵살

많은 여성이 임신이나 출산 중 의료진에게 모욕적인 말을 듣고도 참아야 했다. ‘소리 지르거나 소란 피우지 마세요’, ‘성관계를 하기 전에 그 생각을 먼저 하셨어야죠’, ‘어린 애처럼 굴지 마세요, 이건 그렇게 나쁜 게 아니에요’와 같은 말은 어떤 상황에서도 부적절힌 산과 폭력의 한 유형이다.

또한 의료상 문제가 없는데도 분만실에 가족이 함께 있지 못하도록 하는 것도 일종의 학대다. 원하는 출산과 관련하여 임산부의 요구를 들어주지 않는 것은 예의주시해야 할 분명한 징후다.

해롭고 정당하지 않은 의료 절차

산과 폭력 중 가장 널리 퍼진 관행은 바로 불필요한 의료 절차다. 이는 해로울 뿐 아니라, 여성이 표현한 의사에 반하는 행위이기도 하다.

세계 보건 기구(WHO)에서는 제왕 절개의 정당한 비율이 10~15%라고 한다. 하지만 최대 25%의 임산부가 제왕 절개 수술을 받는다. 마찬가지로 회음부 절개술은 15%의 임산부에게만 정당한 의료 절차이지만, 45%의 임산부에게 흔히 이루어진다.

딱히 필요하지 않을뿐더러 출산의 자연적인 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일반적인 관행은 다음과 같다.

  • 분만의 속도를 높이기 위한 합성 옥시토신 투여
  • 무분별한 내진
  • 분만 유도를 위한 내진 마사지 (자궁에서 양막낭을 분리하는 방법)
  • 자궁 압박 (주먹이나 팔뚝으로 자궁 위쪽을 밀어 분만을 촉진하는 방법)

더 읽어보기: 보나파치 출산 준비법

방치

많은 여성이 오랫동안 진통을 혼자서 견디곤 한다. 이 과정에서 의료진의 진찰을 받지 못하거나 정확한 답을 듣지 못하면 큰 불안감과 두려움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의료상 큰 문제가 없는 데도 출산 후 아기와 살을 맞댈 수 있는 권리를 항상 보장받는 것도 아니다. 이러한 방치는 정서적으로 큰 상처를 줄 수 있다.

산과 폭력의 영향

산과 폭력은 사소한 문제가 아니다. 이는 많은 여성에게 영향을 미치며, 신체적 회복과 정신적 회복에 큰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이러한 과정으로 인해 출산이 부정적이고 충격적인 경험이 되면 산후 우울증이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와 같은 문제의 위험이 커질 수 있다. 이는 산모의 심리적 건강을 해칠 뿐 아니라, 아기와의 정서적 유대감에도 방해가 될 수 있다.

산과 폭력을 알아채는 방법

산과 폭력을 경험하면 산후 우울증에 걸리거나 아기와 유대감을 제대로 형성하지 못할 수 있다.

산과 폭력을 해결하는 방안

사회적 문제로서 산과 폭력을 근절하려면 이 문제를 더 드러내고 성적 권리와 생식 권리 존중의 중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출산은 질병이 아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과정이며, 여성은 수동적인 주체가 아닌 주인공으로서 행동해야 한다. 보호자는 출산 과정에 동반해야 하지만,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이를 방해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한다.

만약 임신을 계획 중이라면 임산부의 권리에 관해 알아보자. 자기가 직접 출산 계획을 세울 수 있으며, 그 계획은 존중받아야 한다는 점을 잊지 말자. 임신 중에는 항상 정보를 확인하고 상담을 받아야 한다. 또한 의료 전문가의 가부장적이거나 굴욕감을 주는 태도를 견딜 필요는 없다.

임산부와 가족의 요구를 적극적으로 경청하는 병원을 선택하거나 조산사와 함께 출산을 하면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어쨌든 산과 폭력을 경험하면 이를 신고해야 한다.

산과 폭력에 관한 법률은 국가마다 차이가 있으며, 임산부의 권리를 완전히 존중받으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 한편 스페인에서는 산과 폭력에 반대하는 법을 제정하기 위해 산과 폭력을 인정하는 법안 개혁을 추진하고 있다.

만약 이러한 폭력을 경험한 적이 있다면 주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자. 그 문제를 정확히 처리하면 후유증을 예방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De Mesquita Serra, M. C., Silva e Silva, A., & Silva Madureira, A. Marcas (in) visibles: un análisis de la violencia obstétrica psicológica.
  • Belli, L. F. (2013). La violencia obstétrica: otra forma de violación a los derechos humanos.
  • Buekens, P. (s.f.) Sobremedicalización en la atención materna en países en vías de desarrollo. Recuperado de: https://citeseerx.ist.psu.edu/viewdoc/download?doi=10.1.1.589.4938&rep=rep1&type=pdf
  • Olza, I. (s. f.). El Síndrome de Estrés Postraumático como secuela obstétrica. Información para profesionales de la atención al parto. Ministerio de Sanidad, Consumo y Bienestar Social. Recuperado noviembre de 2021, de https://www.mscbs.gob.es/organizacion/sns/planCalidadSNS/pdf/equidad/estresPostraumatico.pdf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