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미 샐러드는 점심이나 저녁 식사에 곁들일 수 있는 저칼로리 음식이다. 흥미로운 재료들의 조합으로 볼 때, 이것은 몸매를 가꾸며 에너지와 영양분을 재충전할 수 있는 건강한 선택이다.
이러한 음식을 정기적으로 즐길 수 있는 많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그리고 이 샐러드는 칼로리가 낮고 필수 영양소가 풍부한 재료들로 가득 차 있기 때문에 최고의 대안 중 하나다. 게다가 가볍고 쉽게 준비할 수 있다.
현미 샐러드의 이점
현미는 가공이 덜 되기 때문에 백미보다 건강에 더 좋다. 이것은 통곡물이라 겨를 유지하여 비타민, 미네랄, 그리고 항산화제와 같은 중요한 영양소를 함유한다. 게다가, 그것은 더 많은 식이섬유와 단백질을 함유하고 있다.
현미밥은 엽산, 리보플라빈, 칼륨, 칼슘의 중요한 공급원이다. 또한 망간을 다량 함유한다. 이 무기질은 뼈 발달, 상처 치유, 신경 기능 등 신체의 중요한 과정에 필수적이다.
더 읽어보기: 콜레스테롤이 낮은 채소 치아씨 밥
현미의 영양학적 이점

통곡물 샐러드의 효능에 대해 확신이 서지 않는다면, 정확한 영양소 구성을 살펴보도록 하자. 물론, 샐러드에 들어있는 다른 재료들에 의해 영양 구성이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현미밥 한 컵에는 다음과 같은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 칼로리 216
- 탄수화물 44 그램
- 섬유질 3.5 그램
- 지방 1.8 그램
- 단백질 5 그램
- 티아민 (B1) 일일권장량의 12%
- 니아신 (B3) 15%
- 피리독신 (B6) 14%
- 판토텐산 (B5) 6%
- 철분 5%
- 마그네슘 21%
- 인 16%
- 아연 8%
- 구리 10%
- 망간 88%
- 셀레늄 27%
현미 샐러드 만드는 방법

현미 샐러드는 비건, 채식주의자, 또는 식물성 식단을 따르는 사람들에게 아주 좋은 선택이다. 더군다나 글루텐도 없다. 물론, 이 맛있는 샐러드는 어떠한 식단 제한도 요구되지 않는다.
현미의 최고의 장점 중 하나는 다방면으로 이롭다는 점이다. 따라서 시금치, 무, 버섯과 같은 재료와 결합하여 군침 도는 음식을 만들 수 있다. 아래 레시피를 따라서 만들어보자.
재료
- 현비 1 1/2컵
- 소금 1/2작은술
- 물 4컵
- 잘게 썬 고수 잎 2큰술
- 시금치 2컵
- 썬 무 3개
- 다진 버섯 1컵
- 올리브유
- 해바라기씨 1큰술
- 소금, 후추 (간을 위해)
더 읽어보기: 무청의 이점 및 섭취 방법
준비 과정
- 쌀을 깨끗이 씻고 물과 소금을 넣은 팬에 붓는다.
- 중불 위에 놓는다. 물이 끓기 시작하면 불을 최소한으로 줄이고 뚜껑을 덮는다.
- 그동안, 후라이팬에 올리브 기름을 두르고 센 불에서 달군 후 잘게 썬 버섯을 볶는다.
- 간을 위해 소금과 후추를 첨가한다.
- 밥이 다 되면, 샐러드 그릇에 옮기기 전에 몇 분 동안 그대로 둔다.
- 그러고 나서 얇게 썬 무와 함께 소금에 절인 버섯을 첨가한다.
- 시금치 잎을 넣기 전에 잘 섞는다.
- 마지막으로, 샐러드에 고수와 해바라기 씨앗을 곁들인다. 맛을 위해 먹기 전에 샐러드 드레싱을 추가할 수 있다.
마지막 당부

현미 샐러드는 하루 중 언제든지 즐길 수 있는 건강에 좋은 저칼로리 선택이다. 주요 성분의 영양소를 감안할 때, 이 조리법은 전반적인 식단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이상적이다. 게다가, 온 가족이 쉽게 즐길 수 있는 음식이다.
마지막으로 이 샐러드는 글루텐이 없기 때문에, 셀리악병이나 글루텐 불내성을 가진 사람들에게 완벽한 조리법이다. 혹은 단순히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만족스러운 대안을 찾고 있다면, 더 이상 찾아 헤맬 필요 없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Ravichanthiran, K., Ma, Z., Zhang, H., Cao, Y., Wang, C., Muhammad, S., … Pan, B. (2018). Phytochemical Profile of Brown Rice and Its Nutrigenomic Implications. Antioxidants. https://doi.org/10.1016/j.str.2004.10.008
- Tian, S., Nakamura, K., & Kayahara, H. (2004). Analysis of phenolic compounds in white rice, brown rice, and germinated brown rice.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https://doi.org/10.1021/jf049446f
- Manickavasagan, A., Chandini, S. K., & Venkatachalapathy, N. (2017). Brown rice. In Brown Rice. https://doi.org/10.1007/978-3-319-59011-0
- Wu, F., Yang, N., Touré, A., Jin, Z., & Xu, X. (2013). Germinated Brown Rice and Its Role in Human Health. Critical Reviews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ttps://doi.org/10.1080/10408398.2010.542259
- Cho, D. H., & Lim, S. T. (2016). Germinated brown rice and its bio-functional compounds. Food Chemistry. https://doi.org/10.1016/j.foodchem.2015.09.0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