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든 것을 기억하는 과잉 기억 증후군 장단점
시험 답안처럼 귀중한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사진 기억력의 소유자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이 있는가? 자신에게 일어난 모든 일을 기억하는 과잉 기억 증후군 장단점이 있을 수 있다.
모든 사항을 기억하는 부정적인 측면도 있다. 다음에서 모든 것을 기억하는 과잉 기억 증후군에 관해 자세히 이야기하겠다.
과잉 기억 증후군
삶의 모든 측면을 기억하는 것은 기술 이상의 의미를 지닌 ‘과잉 기억’ 또는 ‘자서전적 기억’이라는 증후군이다. ‘Neuropsychology’ 저널 기사에 따르면, 이 증후군은 전 세계 극소수에게만 발현한다.
고도로 우수한 과잉 기억 증후군(HSAM)이 발현하면 자신에게 생긴 모든 일의 세부 사항을 정확하게 기억한다. 예를 들어, 2017년생인 레베카 샤록은 자신이 태어난 첫 주의 특정 사건을 모두 기억한다고 한다.
“제가 태어난 지 일주일밖에 안 됐을 때 핑크색 면 담요에 싸였던 기억이 나요.”
-레베카 샤록, BBC 인터뷰 중-
과잉 기억 증후군의 개념은 신경과학자인 제임스 맥거가 연구한 젊은 질 프라이스의 사례에서 시작되었다. 질 프라이스는 자신이 12살 이후의 매일을 기억한다는 편지를 맥거에게 보냈고 그 연구가 발표되며 비슷한 기억을 한다는 사람들로부터 연락을 받았다.
몇몇 분석에 따르면, 이들의 기억은 자기 삶은 예외적으로 자세히 기억했지만 비인격적인 기억에 관해서는 다른 면모를 보였다고 2016년 과학 출판물에서 확인되었다.
과잉 기억 증후군이 있는 사람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주변과 분리될 정도로 너무 집중한다.
- 기억을 통제하지 못하여 불면증이나 수면 장애를 겪는다.
- 강박 행동이 있거나 강박 장애(OCD) 진단을 받는 사람도 있다.
더 읽어보기: 기억력 향상에 좋은 로즈메리와 구운 아몬드
과잉 기억 증후군 장단점
과잉 기억 증후군은 초능력이나 저주라고 볼 수 없다. 이제 과잉 기억 증후군의 장단점에 관해 알아보자.
장점: 어린 시절을 자세히 기억
뛰어난 사진 기억력 때문에 어린 시절에 관해 다른 사람은 상상도 못 할 많은 것을 기억한다.
‘Frontiers in Psychology’에 발표된 연구를 보면 과잉 기억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일반인과 마찬가지로 기억을 처리하지만 세부 사항을 최소화하더라도 장기 기억 회로로 이동하여 검색하기가 훨씬 더 쉽다고 한다.
단점: 마음이 거짓 기억을 만들 수 있음
2013년에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과잉 기억 증후군이 있는 사람은 거짓 에피소드의 영향을 받은 사건을 기억할 수 있다. 완전하고 일관된 에피소드를 제공하기 위해 뇌가 공백이나 왜곡된 공간을 채우는 것은 흔하다.
앞서 언급한 연구에서 과잉 기억 증후군이 있는 20명의 기억력과 그렇지 않은 38명의 기억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두 그룹 모두 거짓 기억을 생성하는 데 동일한 민감성을 보였다.
더 읽어보기: 기억력을 향상하는 7가지 간단한 훈련
장점 겸 단점: 기분에 영향을 미침
과잉 기억 증후군은 자신의 기억에 거의 무제한으로 접근하게 하는 양날의 검이다.
감정적으로 성숙한 사람이라면, 최고의 기억을 생각해내며 기분이 좋아질 수 있다. 하지만 부정적이거나 불쾌한 기억을 생각해내면 슬픔과 고통에 빠지기도 한다.
레베카 샤록은 어릴 때 현실과 구분할 수 없는 꿈을 꾸고 울었다고 언론에 말했다. 그러나 성인이 된 후에는 오히려 기억력을 이용하여 꿈을 제어하고 악몽을 줄였다고 한다.
과잉 기억 증후군 진단
아직 더 다양한 연구가 필요하므로 과잉 기억 증후군의 정확한 원인을 설명하기는 어렵다. 지금까지 발표된 연구에 따르면 세 가지 가능한 원인이 있다고 한다.
- 생물학적 원인: 과잉 증후군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 연구 중에는 뇌의 특정 영역 활동이 증가했으며 해마와 전두엽 피질 사이의 연결성도 더 커졌다고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편도체가 과도하게 자극된 인지 과정에도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심리적 원인: 연구진은 과잉 기억 증후군이 있는 사람이 과거 경험을 강박적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엄청난 자서전적 기억을 보이는 것이 아닌지 연구를 수행했다.
- 유전학적 원인: 2012년에 한 연구진이 놀라운 발견을 ‘Neurobiology of Learning & Memory’ 저널에 게재했다. 연구진은 과잉 기억 증후군 있는 사람과 정상적인 기억력이 있는 사람은 뇌 구조 9개가 형태적으로 다르다고 한다.
이 외에도 공식적인 진단은 전문가에게 받아야 한다.
보통 과잉 기억 증후군 검사는 뇌파와 MRI 검사를 수행한다. 또한, 과거 기억에 관해 물었을 때 개인의 감정 및 상황적 반응을 분석하는 자서전적 기억 테스트를 하기도 한다.
과잉 기억 증후군은 항상 의사나 의료 전문가의 지도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 이 뛰어난 능력의 부정적인 측면을 피하기 위해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urora K.R. LePort and Aaron T. Mattfeld and Heather Dickinson-Anson and James H. Fallon and Craig E.L. Stark and Frithjof Kruggel and Larry Cahill and James L. McGaugh. (2012) Behavioral and neuroanatomical investigation of Highly Superior Autobiographical Memory (HSAM). Neurobiology of Learning and Memory. Volumen 98, Número 1, páginas 78-92. https://doi.org/10.1016/j.nlm.2012.05.002
- Ally, B. A., Hussey, E. P., & Donahue, M. J. (2013). A case of hyperthymesia: rethinking the role of the amygdala in autobiographical memory. Neurocase, 19(2), 166–181. https://doi.org/10.1080/13554794.2011.654225
- Brandt, J., & Bakker, A. (2018). Neuropsych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amazing memory man”. Neuropsychology, 32(3), 304–316. https://doi.org/10.1037/neu0000410
- LePort, A. K., Stark, S. M., McGaugh, J. L., & Stark, C. E. (2017). A cognitive assessment of highly superior autobiographical memory. Memory (Hove, England), 25(2), 276–288. https://doi.org/10.1080/09658211.2016.1160126
- LePort, A. K., Stark, S. M., McGaugh, J. L., & Stark, C. E. (2016). Highly Superior Autobiographical Memory: Quality and Quantity of Retention Over Time. Frontiers in psychology, 6, 2017. https://doi.org/10.3389/fpsyg.2015.02017
- Patihis, L., Frenda, S. J., LePort, A. K., Petersen, N., Nichols, R. M., Stark, C. E., … & Loftus, E. F. (2013). False memories in highly superior autobiographical memory individua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10(52), 20947-20952. https://www.pnas.org/doi/abs/10.1073/pnas.1314373110
- Santangelo, V., Cavallina, C., Colucci, P., Santori, A., Macrì, S., McGaugh, J. L., & Campolongo, P. (2018). Enhanced brain activity associated with memory access in highly superior autobiographical memory.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115(30), 7795–7800. https://doi.org/10.1073/pnas.1802730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