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은의 문제점은 다수의 일상 제품, 더 나아가 특정 식품에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따라서 수은 중독을 예방하려면 수은 함유 제품의 사용 및 소비를 줄여야 한다. 그렇다면 과연 체내에 수은이 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
수은은 신체, 특히 뇌, 신장 및 폐를 중독시킨다. 일상적인 환경에도 이 해로운 중금속을 포함하고 있는 많은 것들이 있다.
그렇다면 수은 중독의 가장 흔한 증상이 무엇인지, 수은 중독을 예방하고 체내에서 수은을 제거하기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체내에 수은이 있는지 알 수 있는 방법
사람들에게서 나타나는 수은 중독의 증상 및 심각도는 노출의 양과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수은 중독 증상은 다음을 포함한다.
- 감각 장애: 시각, 청각 및 말하기
- 조정력 부족
- 변형된 감각
- 손가락과 발가락의 피부 변색, 분홍색 뺨
- 염증이 있고 비늘이 있는 피부
- 과도한 발한
- 뛰는 심장
- 타액 분비 증가
- 고혈압
- 신장 기능 장애
- 기억력 문제
- 불면증
체내의 높은 수은 수치와 관련한 질병 및 건강 상태는 다음과 같다.
- 파킨슨병
- 알츠하이머병
- 지단 동통
- 헌터 러셀 증후군
- 미나마타병
더 읽어보기: 수면 부족으로 알츠하이머 치매 발병률이 높아질까
어떻게 수은 중독을 예방할 수 있을까?
냉수성 어류에 주의하자
정기적으로 큰 금수 어류를 먹는 건 수은 중독의 가장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다음 생선을 대량 섭취하지 않아야 한다.
- 연어
- 참치
- 삼치
- 황새치
실제로 스페인 보건부 산하 소비식품안전영양청(AECOSAN)은 임신부와 만 3세 미만의 어린이에게 이런 종류의 생선을 주지 말라고 권장했다. 대신 정어리, 멸치 및 고등어를 섭취해야 한다. 연어는 야생이거나 양식된 한 괜찮다. 흰살 생선 또한 중금속이 없는 좋은 생선이다.
자연산, 유기농 식품을 먹고 환경 오염에 주의하자
슬프게도 수은은 토양, 물 및 대기에서 발견된다. 따라서 일정 수준의 수은이 몸에 들어가는 걸 막기가 어렵다.
하지만 우리가 할 수 있는 일은 육류와 채소 모두 자연적인 유기농 식품을 먹는 것이다. 도시에 살고 있다면 깨끗한 공기를 마실 수 있게 되도록 오염을 피해야 한다.
더 읽어보기: 피부 관리를 위한 7가지 천연 유기농 재료
기타 수은 공급원
수은 온도계
디지털 온도계는 현재 더 인기가 있지만, 오래된 수은 온도계는 여전히 우리 주변에 있음으로 중금속과 접촉할 위험이 있다.
에너지 절약 전구
현재 수은이 일상적인 물건에서 제거되고 있지만, 에너지 절약 전구는 예외이다. 이 전구가 부서져서 사람이 흡입하면 위험할 수 있다.
치과용 충전재료
수년 전, 심지어 현재까지도 일부 국가에서는 수은 충전재가 사용되었다. 여기에는 수은이 포함되어 있으며 입에 들어가기 때문에 점차 수은을 섭취할 수 있다. 그리고 산성 음식과 매우 뜨거운 음식은 수은을 더 많이 분해한다.
만약 이를 제거하려고 결정했다면, 이런 종류의 추출 훈련을 받은 치과 의사에게 치료를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중독 위험이 더 커진다.
백신
일부 예방 접종에는 보존제로 수은이 포함되어 있다.
몸에서 수은을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까?
수은의 문제는 체내에 축적되어 제거하는 게 어렵다는 것이다. 그리고 자연 요법은 의사의 감독하에 이루어져야 한다. 또 결과가 나타나려면 몇 개월이 걸리므로 인내심도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분은 다음과 같다.
- 클로렐라(클로렐라 피레노이도사): 클로렐라는 강력한 해독 능력을 갖춘 조류이다. 하지만 더 큰 위험에 처하지 않으려면 유기동 클로렐라를 사야 한다.
- 고수 잎
- 강황
- 마늘
- 글루타티온
특정 무기질은 신체에서 이 물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 마그네슘
- 망간
- 구리
- 몰리브덴
- 아연 (치료 중 중금속으로부터 신장을 보호함)
- 셀레늄 (글루타티온 수치 증가)
마지막으로 IV를 통해 중금속 제거를 전문으로 하는 의사가 있다. 이 치료는 오랜 시간이 걸리고 즐겁지는 않지만,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다 줄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González-Estecha, M., Bodas-Pinedo, A., Guillén-Pérez, J. J., Rubio-Herrera, M. Á., Ordóñez-Iriarte, J. M., Trasobares-Iglesias, E. M., … Calle-Pascual, A. (2014). Methylmercury exposure in the general population; toxicokinetics; differences by gender, nutritional and genetic factors. Nutrición Hospitalaria. https://doi.org/10.3305/nh.2014.30.5.7727
-
Bose-O’Reilly, S., McCarty, K. M., Steckling, N., & Lettmeier, B. (2010). Mercury exposure and children’s health. Current Problems in Pediatric and Adolescent Health Care. https://doi.org/10.1016/j.cppeds.2010.07.002
-
Tchounwou, P. B., Ayensu, W. K., Ninashvili, N., & Sutton, D. (2003). Environmental exposure to mercury and its toxicopathologic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Environmental Toxicology. https://doi.org/10.1002/tox.10116
-
Syversen, T., & Kaur, P. (2012). The toxicology of mercury and its compounds. Journal of Trace Elements in Medicine and Biology. https://doi.org/10.1016/j.jtemb.2012.0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