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 포털에 따르면 18세 이상 미국인 22%와 유럽인 21%가 어떤 유형의 소화기 질환이 있다고 추정된다. 특히 속 쓰림과 위산역류의 증상은 아주 일반적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그렇다면 속 쓰림과 위산역류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이번 글에서 속 쓰림과 위산역류에 관해 자세히 이야기해보겠다.
속 쓰림 정의
먼저 속 쓰림은 증상이며 위식도 역류나 위산역류가 원인일 수 있다. 속 쓰림은 가슴이나 목이 타는 듯한 통증으로 정의한다.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 자료에 따르면 임신, 일부 음식, 약물 또는 알코올음료가 원인이 될 수 있다.
속 쓰림은 많은 사람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흔한 불편함이며 다음은 다양한 사이트에서 수집한 통계다.
- 성인 10%는 매일, 30%는 한 달에 한 번 속 쓰림을 경험한다.
- 미국에서 2015년 속 쓰림 발병률은 26%였다.
- 전반적으로 특정 장소와 시간에 인구 약 20%가 속 쓰림이 있다.

위산역류 정의
위산역류는 임상적 상태다. 소아 포털에 따르면 이 병리학은 위 내용물의 반대 방향, 즉 식도 방향으로의 이동이 특징이다.
체내 위와 식도 사이에는 문 역할을 하는 개구부가 있는데 음식 덩어리가 위로 통과하자마자 닫힌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으면 음식과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 자극과 위에서 설명한 속 쓰림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위식도 역류질환의 증상과 치료
위식도 역류 질환 정의
위식도 역류 질환(GERD)은 위산역류의 더 심각한 경우, 즉 만성 질환이다. 증상은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속 쓰림이지만 속 쓰림 증상 없이 GERD가 생길 수도 있다.
메커니즘은 이전 사례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즉, 근섬유 고리인 하부 식도 괄약근(LES)이 제대로 닫히지 않아 위 내용물이 다시 식도로 올라가기도 한다.
전문가에 따르면 증상 일부는 다음과 같다.
따라서 속 쓰림은 증상이고 위산역류가 그 가능한 원인이며 GERD는 환자가 일주일에 두 번 이상 속 쓰림을 겪을 때 발생한다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처방전이 필요 없는 위산역류의 치료
우선 메이요 클리닉 등 의료 기관에서는 일주일에 2회 이상 속 쓰림 증상이 있거나, 삼키기 힘들고 메스꺼움과 구토가 있으며 이러한 증상으로 체중이 줄었다면 진찰받기를 권장한다.
다른 모든 경우 역류와 속 쓰림은 아래와 같이 일반 의약품으로 조절할 수 있다.
- 제산제는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위산을 중화하여 위산 영향을 줄인다. 신속하고 단기적인 안도감을 제공하며 복용하기 쉬운 캡슐과 정제도 제공한다.
- 파모티딘과 같은 H2 차단제는 증상을 빨리 완화하지는 못하지만 더 효과적이다. 위에서 생성되는 산의 양을 줄인다.
-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도 산 생성을 감소한다. H2 차단제가 효과가 없거나 GERD 환자가 할 수 있는 최선의 선택이다.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며칠이 걸린다. 오메프라졸은 이러한 계열의 약물 중 하나다.
고려해야 할 위산역류의 예방 조치
위산역류와 속 쓰림의 출현을 더 유발하는 특정 요소가 있다. 알코올 소비 또는 커피와 같은 산성 물질이 상태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비만, 임신, 흡연도 이러한 불쾌한 역류를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이다. 마지막으로, 식도에 산의 상승을 촉진하니 식후 3시간 이내에 눕지 않는다.

더 읽어보기: 효과적으로 속쓰림을 예방하는 7가지 습관
위산역류의 조절
이러한 유형의 장 상태는 인구의 최대 30%가 적어도 한 달에 한 번 속 쓰림으로 고통받기 때문에 일반적이다. 집에서 속 쓰림과 싸우기가 쉬울 수 있지만 심각하면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처음에 제기한 질문에 답하기 위해 속 쓰림은 위산 역류의 증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만성화하면 환자는 위식도 역류 질환(GERD)이 발생할 수 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Porcentaje de adultos diagnosticados de enfermedades gastrointestinales por país 2018. Publicado por Lucía Fernández, 5 ago. 2020. Recogido a 20 de octubre en https://es.statista.com/estadisticas/599792/adultos-con-enfermedades-gastrointestinales-por-pais/
- Sánchez Martínez, Alicia. “Uso y abuso del omeprazol en la consulta de atención primaria.” (2020).
- Acidez estomacal, medlineplus.gov. Recogido a 20 de octubre en https://medlineplus.gov/spanish/heartburn.html
- Tack, Jan, and John E. Pandolfino. “Pathophysiolog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astroenterology 154.2 (2018): 277-288.
- Acidez estomacal, familydoctor.org. Recogido a 20 de octubre en https://es.familydoctor.org/condicion/acidez-estomacal/?adfree=true
- Acidez estomacal (reflujo gástrico) y quimioterapia, Chemocare.com. Recogido a 20 de octubre en http://chemocare.com/es/chemotherapy/side-effects/acidez-estomacal.aspx
- Richter, Joel E., and Joel H. Rubenstein. “Presentation and epidemiolog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astroenterology 154.2 (2018): 267-276.
- Enfermedad por reflujo gastroesofágico (ERGE). Recogido a 20 de octubre en https://www.saludigestivo.es/enfermedades-digestivas-y-sintomas/enfermedad-reflujo-gastroesofagico-erge/#:~:text=Una%20parte%20importante%20de%20los,Ello%20facilita%20el%20reflujo%20gastroesof%C3%A1gico.
- Ardor de estómago, mayoclinic.org. Recogido a 20 de octubre en https://www.mayoclinic.org/es-es/diseases-conditions/heartburn/symptoms-causes/syc-20373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