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부분에 살이 찌면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에게도 고민거리가 된다. 이번 글에서 가슴 군살 제거에 좋은 운동법을 알아보도록 하자.
- 남성은 군살 없이 흉근이 돋보이는 가슴을 갖기를 바란다.
- 가슴 사이즈를 줄이고 싶어 하는 여성도 많다.
어떤 고민이 있든 다음 운동은 가슴 군살 제거에 확실히 도움이 될 것이다.
더 읽어보기: 탄력 있는 가슴을 위한 운동 루틴
가슴 군살 제거에 좋은 운동법
가슴 군살을 제거하는 운동은 매주 두세 번 정도씩 한다. 각 운동당 12회씩 3세트를 반복하면 좋지만 체력이 된다면 운동량을 더 늘려도 좋다. 다음 운동을 하려면 공이나 아령이 필요하지만 대신 생수병이나 모래주머니를 활용해도 좋다.
1. 누워서 하는 풀오버
가슴 군살을 빼는 첫 번째 운동을 하려면 아령 한 쌍이 필요하다. 평평한 바닥이나 벤치 위에 누워서 천장을 보고 다리는 구부려 발바닥을 고정한다.
더 읽어보기: 팔 근육을 강화하는 3가지 운동
- 누운 자세에서 아령을 든 팔을 천장으로 쭉 뻗는다.
- 팔을 쭉 편 상태로 정수리 쪽으로 내린다.
- 다시 처음 자세로 돌아온다.
2. 가슴 높이로 공 들기
두 번째 운동은 양손으로 들 수 있는 크기의 공이 필요하다. 운동을 시작하려면 우선 똑바로 서서 공을 가슴 앞까지 들어 올린다.
- 시작 자세에서 다리를 살짝 벌리고 선다. 의자에 앉아서도 할 수 있는 운동이다.
- 공을 터뜨릴 것처럼 힘을 줘서 쥔다.
- 이때 손가락은 쫙 펴서 오직 손바닥 힘만으로 공을 잡는다.
- 최소한 10초간 공을 들고 있는다.
3. 가슴 군살 제거를 돕는 푸시업
푸시업은 팔은 물론 등과 가슴 근육 등 다양한 근육 운동에 도움이 되지만 특히 흉근 강화 및 가슴 군살 제거에 효과적이다.
더 읽어보기: 4주 안에 몸매를 바꾸는 7가지 운동
- 먼저 엎드려서 손바닥으로 바닥을 짚고 양손 간격은 어깨너비로 유지한다.
- 플랭크 자세를 유지하면서 팔을 굽혀 가슴이 바닥에 닿게 한 다음 다시 팔을 편다.
4. 덤벨 플라이
마지막 가슴 군살 제거 운동은 아령이 필요하다. 플라이 운동은 벤치에 누워서 하는 것이 좋지만 바닥에서 해도 상관없다.
- 아령을 양손에 쥐고 양옆으로 팔을 쭉 편다.
- 팔이 구부러지지 않게 신경 쓰면서 아령이 가슴 중앙에서 만나게 한 다음 다시 팔을 내린다.
반드시 유산소 운동도 병행한다!
가슴 군살을 확실히 빼려면 앞에서 소개한 운동과 함께 유산소 운동을 병행해야 한다. 유산소 운동은 특정 부위 체지방을 제거할 순 없지만 전체적인 체지방 감량을 돕는다.
유산소 운동과 근력 운동을 동시에 진행하면 곧 원하는 결과를 볼 수 있다. 가슴 부위는 천천히 살이 빠지는 부위이며 균형 잡힌 식단을 지켜야만 확실하게 가슴 군살을 제거할 수 있다는 사실도 기억하자.
더 읽어보기: 운동 후에는 원하는 대로 먹어도 될까?
근육이 도드라지거나 날씬한 가슴을 만들고 싶다면 이 글에서 소개한 운동을 꾸준히 하면서 건강한 식단까지 꼭 지켜보자. 익숙한 운동법이라면 효과를 본 적이 있는가?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Alonso, L. V. (1995). Riesgos de salud en dietas hipocalóricas. CYTA-Journal of Food, 1(1), 28-30. https://www.tandfonline.com/doi/pdf/10.1080/11358129509487547?needAccess=true
- Matía Martín, P., Lecumberri Pascual, E., & Calle Pascual, A. L. (2007). Nutrición y síndrome metabólico. Revista Española de Salud Pública, 81(5), 489-505. https://scielo.isciii.es/pdf/resp/v81n5/colaboracion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