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 없이 요리를 한다는 것은 상상할 수 없을 정도로 소금은 흔한 조미료이다. 소금은 기존의 요리의 풍취와 맛을 더 좋아지게 하지만, 소금 섭취의 장기적인 결과는 소금을 식단에서 완전히 빼버릴 필요가 있을 만큼 심각하다.
소금 섭취로 가장 큰 손상을 입는 장기는 신장이다. 신장은 하루에 5리터 가량의 혈액을 걸러내고 정화를 하면서, 축적되었을 경우 질병과 심지어는 사망을 유발하기도 하는 독소와 노폐물들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장기간의 소금 섭취에 대한 결과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자.
소금이 신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
좋은 충고 한마디로 시작하겠다. 주방의 소금 대신 요리와 음식에 맛을 더해주면서도 몸에 좋은 대체품을 사용하자.
더 읽어보기: 완벽한 양배추 수프 다이어트
강황 하나만으로도 많은 음식에서 소금의 훌륭한 대체원이 될 수 있다.
위에 나열한 모든 대체품들이 각자 특정 유형의 음식에 맞춰질 수 있지만, 이 새로운 맛을 좋아하게 될 것이며, 대체품들을 통해 식사 방법을 변화시키려는 노력을 성공시킬 것이다. 단순히 소금의 섭취를 “줄이는”데 그치지 않고 완전히 끊을 것을 권장한다.
매일 섭취하는 많은 다른 음식들도 염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 음식들만으로도 신장이 매일 3~5 g의 염분을 정화하고 걸러내도록 한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신장 건강을 위해 소금의 역할을 자세히 살펴보자.
1. 소금은 몸의 산성도를 변화시킨다
하루에 5g 이상의 소금을 섭취한다면, 과다한 소금은 조직, 장기, 혈류에 쌓이기 시작하며 몸 전체적으로 산성화를 유발한다는 사실을 알아야 한다. 우리는 몸을 더 알칼리화시킬 필요가 있다. 반대로 몸이 산성화된다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난다.
- 질병
- 암의 위험
- 심장 및 신장 질환
- 체액저류
- 만성 피로
- 춥거나 지친 느낌
- 집중이 어려움
- 예민해짐
- 손톱이 잘 깨짐
- 관절통
- 잦은 감염
- 알레르기
2. 소금은 혈류 청소를 방해한다
소금이 많이 들어간 식단의 영향은 40대쯤부터 본격적으로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고혈압, 고콜레스테롤, 고체지방, 신진대사 변경 및 기타 등등의 질환을 앓기 시작한다. 이 모든 질환들은 신장 문제의 증상이며 지나친 소금과 충분치 못한 수분 섭취로 인해 발생한다.
- 몸은 약 60%의 물로 이루어져 있다. 몸에 소금이 너무 많으면 조직, 장기에 쌓이게 되고 혈류가 적절하게 신장에서 걸러지는 것을 막는다.
- 체액저류와 조직의 염증을 일으키는 독소들로 앓기 시작할 것이다. 신장 질환이나 혈류내 독소들의 더 뚜렷한 증상들은 다음과 같다.
- 발의 부기
- 만성 피로
- 추위를 탐
- 꽉 차거나 부풀어 오른 복부
3. 너무 많은 소금은 신장을 노화시킨다
더 많은 소금을 섭취할수록 신장은 몸의 해독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해야 한다. 거기에 수분 섭취가 부족하게 된다면 신장을 조기에 노화가 시작하게 된다. 이는 건강에 아주 큰 위험요소이다.
4. 꼭 기억해야 할 간접적인 소금의 영향
체내의 과다한 소금을 어떻게 제거할 수 있을까?
과다한 소금을 제거하는 가장 효과적인 전략 중 하나는 물을 더 많이 마시는 것이다. 하루에 4~8잔의 물을 마시는 것이 중요하다. 너무 많게 느껴진다면, 0.5리터 물병을 들고 다니면서 조금씩 하루 종일 마셔 보자. 쉽게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하루에 한 시간의 운동을 하는 것도 잊어서는 안 된다.
다음의 주스를 마시는 방법으로 체내의 소금을 제거할 수도 있다. 아주 효과적이다!
파슬리 치료법
재료
- 신선한 파슬리 50 g
- 물 1리터
- 레몬 1개의 즙
방법
끓는 물에 파슬리를 넣는다. 30분 동안 끓인 다음 다시 30분 동안 우려낸다. 레몬즙을 더하고 나서 액체만 따라낸다. 이 액체를 병에 넣어서 하루 내내 마신다. 언제나 첫 잔은 아침 공복에 마시고, 식사 후 20분 있다가 마시면 된다.
매월 3일 연속으로 이 방법을 따라하면 몸이 아주 좋아질 것이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Wadei, H. M., & Textor, S. C. (2012). The role of the kidney in regulating arterial blood pressure. Nature Reviews Nephrology. http://doi.org/10.1038/nrneph.2012.191
- Drenjacnevic-Peric, I., Jelaković, B., Lombard, J. H., Kunert, M. P., Kibel, A., & Gros, M. (2011). High-salt diet and hypertension: Focus on the renin-angiotensin system. Kidney and Blood Pressure Research. http://doi.org/10.1159/000320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