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임신 당뇨병의 원인과 치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한다. 임신 당뇨병은 기본적으로 다른 유형의 당뇨병과 매우 유사하지만, 임신 중 발병한다는 특수성이 있다.
요컨대, 당뇨병의 병태 생리에는 차이점이 없다. 조직의 세포가 혈액에서 순환하는 포도당을 흡수하지 못해 혈당 수치가 하루 중 대부분 정상 이상으로 높아질 수 있다.
통계에 따르면, 임산부의 100명 중 거의 7명이 임신 당뇨병을 앓고 있다. 이는 결코 낮은 수치가 아니므로, 임산부는 주기적으로 혈당 측정을 해야 한다.
과학적 증거에 따르면, 단순 임신 당뇨병은 아이를 출산하고 나면 혈당 수치가 정상으로 돌아온다. 단, 완벽하게 회복하려면 약 12주가 걸릴 수 있다.
문제는 임신 당뇨병 환자가 미래에 제2형 당뇨병을 앓게 될 가능성이 훨씬 더 크다는 것이다.
임신 당뇨병의 원인
임신 당뇨병의 정확한 원인은 분명하지 않다. 세포가 혈당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은 잘 알고 있지만, 그 이유는 쉽게 설명할 수 없다.
정상적인 소화 및 영양 과정에서 체내로 들어가는 포도당은 췌장을 자극하여 인슐린을 생성한다. 인슐린은 당이 혈액에 남지 않도록 조직이 순환하는 당을 흡수하도록 지시하는 호르몬이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포도당은 세포로 들어가 대사 기능을 위한 에너지로 전환된다.
하지만 당뇨병에서는 이러한 메커니즘이 차단된다. 특히 임신 중에는 태반이 호르몬을 생성한다. 이처럼 여러 가지 호르몬에는 한 가지 공통점이 있다. 바로 인슐린 작용을 억제한다는 것이다. 인슐린 조절이 통제 불능 상태가 되면 임신 당뇨병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에도 안심하고 복용할 수 있는 5가지 약
임신 당뇨병의 위험 요인
모든 임산부에게 당뇨병이 발생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문제를 유발하는 신체 메커니즘 외에도, 전문가들은 여성에게 당뇨병 발병률을 높일 수 있는 위험 요인을 발견했다. 그중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 당뇨병 병력: 과거에 혈당 수치가 높아진 적이 있거나, 직계 가족이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위험이 더 크다.
- 임신 당뇨병 경험: 이미 임신 당뇨병을 앓은 적이 있다면 문제가 재발할 위험이 크다.
- 거대아: 첫째의 체중이 출생 시 4kg가 넘으면 둘째 임신에서 당뇨병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 비만 및 과체중: 임신 전 과체중이었거나 임신 중 체중이 과도하게 증가했다면 흔히 인슐린 저항성이 발생할 수 있다.
임신 당뇨병 치료
임신 당뇨병은 의사에게 다루기 까다로운 문제가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형 당뇨병 환자에게 처방하는 많은 약은 임산부에게 적합하지 않다. 실제로 일부 약은 태아의 발달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치료는 임산부의 습관을 교정하여 혈당 수치를 엄격하게 조절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혈당 측정 루틴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수치가 안정적으로 유지될 때까지, 혈당 측정기로 하루에 여러 차례 혈당을 확인해야 한다.
또한 임산부는 철저한 식단을 따라야 한다. 체중을 조절하는 동시에, 포도당을 과도하게 섭취하지 않도록 식단을 잘 계획해야 한다.
임신 당뇨병 환자를 진찰하는 영양 전문가는 임산부의 혈당치를 과도하게 높이지 않으면서도 태아의 성장에 필요한 칼로리를 섭취하는 식단을 계획해야 한다.
치료의 또 다른 핵심은 운동이다. 물론 임신으로 인한 한계가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적당한 운동을 하면 혈액에서 순환하는 당을 소비하도록 세포를 자극할 수 있다.
끝으로 약물치료 여부는 의사가 결정해야 한다. 경구 복용 항당뇨병제는 권장되지 않으므로, 인슐린 주사를 대안으로 선택할 수 있다.
아기의 건강도 중요한 사안이므로, 초음파 검사와 실험실 검사도 더 많이 필요하다.
더 읽어보기: 임신 중 카페인 섭취는 안전할까
마무리
임신 당뇨병은 임신 과정을 매우 복잡하게 하는 질환이다. 하지만 늦지 않게 문제를 발견하여 제대로 해결할 방법이 있다. 이렇게 하면 임산부와 아기 모두 최소한의 위험으로 임신 과정을 무사히 보낼 수 있다.
따라서 임신 시 필요한 관리법을 실천하고 의사의 지침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 임신 당뇨병을 앓고 있다면 전문가의 지도하에 운동을 하고 식단을 조절하는 것이 치료의 핵심이 될 것이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Plows, J. F., Stanley, J. L., Baker, P. N., Reynolds, C. M., & Vickers, M. H. (2018). The pathophysiology of gestational diabetes mellitus.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19(11), 3342.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6274679/
- Valencia, M. H., & Zárate, A. (2005). Conceptos recientes en la etiopatogenia de la diabetes gestacional. Ginecol Obstet Mex, 73, 371-7.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Arturo-Zarate/publication/265568403_Conceptos_recientes_en_la_etiopatogenia_de_la_diabetes_gestacional/links/543c15680cf204cab1db725b/Conceptos-recientes-en-la-etiopatogenia-de-la-diabetes-gestacional.pdf
- Hernández, J. C., Torres, I. V., Hernández, P., Quesada, M. Y., Valdés, A. I., & Torres, G. R. (2018). Macrosomía neonatal y diabetes gestacional. Revista de la Federación Centroamerica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2010(15). https://www.revistamedica.org/index.php/revcog/article/download/570/479
- Márquez, J. J., García, V., & Ardila, R. (2012). Ejercicio y prevención de obesidad y diabetes mellitus gestacional. Revista chilena de obstetricia y ginecología, 77(5), 401-406. https://scielo.conicyt.cl/scielo.php?pid=S0717-75262012000500013&script=sci_arttext&tln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