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즈 애플이라고도 하는 장미 사과(Syzygium jambos)는 영양가가 풍부하며 약용 효과가 있다. 장미 사과의 과육은 흰색이며 스펀지 같은 식감과 장미향이 특징이다.
건강을 유지하려면 과일을 자주 먹는 것이 좋다. 과일은 다량의 미량 영양분과 항산화 작용을 하는 파이토케미컬을 제공하여, 복잡한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즉, 과일을 먹으면 신체 생리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장미 사과의 이점
장미 사과는 철분, 칼슘, 비타민 B3를 제공한다. 그중에서도 특히 칼슘은 골밀도를 높여 골다공증을 예방하는 데 꼭 필요한 영양분이다. 실제로 폐경기가 끝난 여성은 남성보다 골다공증의 발병 위험이 크다.
또한 <Frontiers of Hormone Research>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미네랄의 흡수를 높이려면 비타민 D 수치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철분은 혈액을 통한 산소 이동을 개선하는 데 중요하다. 철분 공급이 부족하면 피로감과 만성 피로를 유발하는 빈혈을 경험할 수 있다. <Best Practice & Research> 학술지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철분의 흡수를 높이려면 비타민 C와 함께 섭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사과에 포함된 섬유질은 소화관의 기능을 개선할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섬유질은 대변의 크기를 늘려 소화관의 기계 수용체를 더 강하게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장내 세균총에 영양을 제공하여, 균 성장을 촉진하고 기능을 개선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장내 세균총을 늘리는 좋은 습관
장미 사과의 영양가
장미 사과는 100g당 약 25kcal이므로, 다이어트를 위한 저칼로리 식단에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일은 수분이 풍부하므로, 포만감을 제공하여 식욕을 줄일 수 있다.
그 외에도 100g당 약 8g의 탄수화물을 제공하지만, 단백질과 지방 함량은 1g도 되지 않는다. 또한 사과에 포함된 단백질은 생물가가 낮은 편이므로, 필수 아미노산이 부족하다.
그렇지만 칼슘, 철분, 비타민 A, C 함량이 풍부하다. 특히 비타민 A와 비타민 C가 함께 작용하면 인체에서 가장 풍부한 단백질인 콜라겐 합성을 자극할 수 있다. 비타민 C는 면역 반응에 중요하므로, 감염성 질환의 발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비타민은 왜 식단의 필수 구성 요소일까
약용 성분
장미 사과는 뇌전증 증상을 개선할 수 있으며, 사과 분말은 당뇨병 완화에 도움이 된다. 또한 사과 껍질은 정화 작용을 하여 구토 증세를 억제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증상이 발생하면 병원에 방문하여 전문적인 치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다.
장미 사과, 양질의 이국적인 과일
장미 사과는 인체의 적절한 기능을 유지하는 필수 미량 영양분이 풍부하다.
미네랄과 섬유질을 충분히 섭취하려면 식단에 장미 사과를 포함해 보자. 미네랄과 섬유질은 모두 신체 과정의 효율을 높이는 데 필수적이다.
항산화 작용을 하는 과일과 채소를 하루에 5접시 이상 섭취하면 복잡한 만성 질환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Goltzman D, Mannstadt M, Marcocci C. Physiology of the Calcium-Parathyroid Hormone-Vitamin D Axis. Front Horm Res. 2018;50:1-13. doi:10.1159/000486060
- Percy L, Mansour D, Fraser I. Iron deficiency and iron deficiency anaemia in women. Best Pract Res Clin Obstet Gynaecol. 2017;40:55-67. doi:10.1016/j.bpobgyn.2016.09.007
- Gill SK, Rossi M, Bajka B, Whelan K. Dietary fibre in gastrointestinal health and disease. Nat Rev Gastroenterol Hepatol. 2021;18(2):101-116. doi:10.1038/s41575-020-0037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