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 색전증은 비교적 흔하면서도 심각한 문제로, 전문가들은 연간 1,000명 중 1명꼴로 발생한다고 추정한다. 하지만 모든 환자가 의학적 치료를 받는 것이 아니므로, 실제로 그 수치가 더 높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글에서 폐 색전증의 증상과 치료법에 관해 알아보자.
폐 색전증은 덩어리가 폐로 향하는 혈류를 막는 문제다. 가장 일반적인 원인은 혈전이지만, 지방이나 공기 색전증이 발생할 수도 있다.
폐 색전증은 치명적인 질환이다. 현재 폐 색전증 환자의 약 8~10%가 사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병의 중증도는 막힌 동맥의 크기와 문제가 생긴 폐 조직의 양에 따라 결정된다.
폐 색전증이란?
간단히 말해, 폐 색전증은 폐동맥의 폐색으로 갑자기 발생한다. 일반적으로 정맥 혈전의 일부가 분리되어 혈액을 타고 이동하다가 폐의 동맥에 박히는 것이 원인이다.
폐 색전증은 중증도에 따라 다음과 같은 2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 고위험군: 환자가 저혈압이거나 쇼크를 경험하는 상황이며, 조기 사망률이 최소 15% 이상이다.
- 정상 혈압군: 환자의 혈압에는 문제가 없다. 정상 혈압군은 다음과 같은 2가지 그룹으로 나눌 수 있다.
- 상태가 위험하지 않아 통원 치료를 받는 환자
- 합병증의 위험 증가로 응급 치료와 입원이 필요한 환자
더 읽어보기: 세계 고혈압의 날, 혈압 수치를 확인하자
폐 색전증의 원인
폐 색전증은 대부분 위험 요인과 관련된 이차 질환이므로, 근본적인 건강상 문제가 있음을 의미한다.
폐 색전증의 주된 위험 요인은 다음과 같다.
- 다리 부상
- 척추 손상
- 심각한 외상
- 큰 수술
암은 폐 색전증을 유발할 수 있는 또 다른 요인이다. 폐암, 췌장암, 중추 신경계 암은 혈전증과 관련된 합병증을 일으킬 가능성이 크다. 위 종양과 혈액 종양도 마찬가지다.
유전은 결정적인 요인이 아니지만, 발병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폐 색전증은 경구 피임약을 먹는 여성에게 더 흔히 발생한다. 또한 임신 후기와 출산 후 최대 6주간 폐 색전증의 발병 위험이 커질 수 있다.
끝으로 인공 수정을 시도한 사람이나 호르몬 대체 약물치료를 받은 폐경 후 여성도 위험성이 큰 편이다. 한편 호르몬 대체 약물치료의 경우, 사용 중인 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호르몬 피임약의 부작용
폐 색전증의 증상
호흡 곤란과 가슴 통증은 폐 색전증의 주된 증상이다.
특히 갑자기 심한 가슴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가 많다. 마치 심근 경색처럼 흉골 뒤쪽에서 통증이 느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통증은 숨을 들이마시거나 기침을 할 때 더 심해지고 자세를 바꿔도 큰 변화가 없다.
폐 색전증 환자는 다음과 같은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 의식 상실
- 마른기침 또는 젖은기침
- 객혈 (폐 경색의 증상)
- 빠른 호흡
- 심장 박동 수 증가
- 창백한 안색, 청색증, 어지럼증, 발열, 땀, 방향 감각 상실 등
치료
폐 색전증은 임상적 추정, 영상 검사, 디다이머 혈액 검사를 통해 진단할 수 있다. 또한 환자가 경험하는 증상은 폐 색전증을 추정하는 데 도움이 된다. 그 외에도 흉부 엑스레이, 심전도, 혈액가스 검사 등을 진행할 수 있다.
폐 색전증의 대표적인 치료제는 항응고제다. 먼저 정맥, 근육, 피부밑(피하)과 같은 비경구 방식으로 약을 투여한 후 먹는 약을 처방한다.
늦지 않게 제대로 된 치료를 받은 환자는 예후가 좋은 편이다. 폐 색전증의 만성 문제가 될 확률은 3.8%에 불과하다.
최근 몇 년간 폐 색전증으로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사망 수가 상당히 줄어들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Konstantinides, S., Torbicki, A., Agnelli, G., Danchin, N., Fitzmaurice, D., Galiè, N., … & Kucher, N. (2015). Guía de práctica clínica de la ESC 2014 sobre el diagnóstico y el tratamiento de la embolia pulmonar aguda. Revista Española de Cardiología, 68(1), 64-e1.
- Golin, V., & Bedrikow, R. (2000). Embolia pulmonar. Revista Brasileira de Medicina.
- Gabriel, F., Labiós, M., Ferreres, J., & Ibáñez, L. (2013). Clasificación y tratamiento de la embolia pulmonar aguda. Angiología. https://doi.org/10.1016/j.angio.2012.1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