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어난 후 몇 주 사이에 일반적으로 생기는 질병이 몇 가지 있다. 수술이 필요한 질병이지만 신생아는 너무 작고 약해서 수술을 받기 어렵기 때문에 치료가 쉽지 않다.
태아 및 신생아에 대한 케어 방법은 점점 더 긍정적이고 효과적으로 발전해왔으며, 수술이 필요한 질병에 걸린 신생아의 생존율도 기하 급수적으로 증가했다.
수술이 필요한 질병을 갖고 있는 신생아를 위한 의약품 개발은 다음의 점들 덕분에 가능해졌다.
- 조기 진단을 가능하게 하는 효과적인 산전 진단
- 수술 기술 및 기술 향상
- 이 분야의 전문가
- 수술 후, 관리의 향상
- 신생아 수술 개발의 하위 분야에 대한 투자
수술이 필요한 신생아 질병
꼭 수술을 받아야만 하는 신생아 질병이 있다. 이 질병에 대해 간단하게 요약해서 설명해보면 다음과 같다.
젖은 배꼽
배꼽이 젖는 이유는 두 가지 유형의 배아 구조에 있다. 장관막 누공이나 요막관에 있을 수도 있지만 그것보다 더 흔한 것은 부비강에 있다. 수분이 고름이 되면, 신생아는 패혈증에 걸릴 수 있다.
더 읽어보기 : 신생아에게 절대 해서는 안 되는 8가지 행동
탯줄 질량
신생아에게 탯줄 덩어리와 관련해서 가장 흔한 유형의 질병은 육아종이다. 대부분의 경우 국소 치료로 치료할 수 있다. 100%의 경우는 아니지만, 대부분의 경우에는 수술을 하지 않아도 치료할 수 있다.
탯줄이나 배꼽위 탈장
신생아에게 배꼽위 탈장이 생긴 경우,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이로 인해 합병증이 생기는 경우는 극히 드물다. 문제가 작으면 작을수록, 더 빨리 진단 받을수록 자연스럽게 사라질 확률이 높다.
그리고 그 반면, 탈장이 배꼽 위로 나오면 자연적으로 사라지지 않는다. 그리고 보통 크기가 작아도 증상이 나타난다. 이 상태인 경우에는 수술을 받아야만 한다.
더 읽어보기 : 신생아를 목욕시키는 방법
빈음낭
빈음낭은 하나나 두 개의 고환이 음낭에서 발견되지 않는 증상을 말한다. 고환올림근반사로 인해 생기는 경우가 많다.
아니면 고환이 음낭으로 내려가지 않는 경우도 있다. 아마 중간이나 있지 않아야 할 곳에 있을 것이다. 이런 것은 잠복고환이나 고환 위치 이상증이라고 부른다.
음경의 포피도 신생아의 수술 대상이 되는 영역이다. 간질성 및 생리학적 유착이나 감염 위험을 막기 위해서다.
최소한의 외과적 수술
수술을 꼭 해야만 하는 신생아의 경우, 외과적으로 최소한만 절개하는 방법으로 발전되어져 왔다. 최근 수십 년 동안 가장 많은 발전이 생긴 분야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수술로 인한 사망율, 통증 및 흉터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었다. 수술할 때, 절개하는 부분을 감소시킬 수 있었던 덕분이다.
복강경 수술 장비 도입 뿐만 아니라 수술 기술이 발전 됨에 따라 수술할 때, 절개하는 부위를 최소화 시키는 것이 현대 의학에서 가장 진보된 분야 중 하나이다.
의사는 최소한만 절개하는 것으로 인한 이점을 늘리고, 환자의 회복 시간은 단축하였다. 그리고 수술로 인한 통증도 감소시켰다. 뿐만 아니라 신생아에게 가하는 절차 또한 훨씬 더 정확해졌다.
지금 의사는 신생아 복부 및 흉부 질환을 수술할 때, 최소한만 침습한다.
그리고 다행히도 어떤 질병이든 간에, 아기의 건강을 예전보다 훨씬 더 좋은 상태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Thompson, A. M., & Bizzarro, M. J. (2008). Necrotizing enterocolitis in newborns: Pathogenesis, prevention and management. Drugs. http://doi.org/10.2165/00003495-200868090-00004
- Pantoja-Ludueña, M. (2005). Onfalitis. In La neonatología en la atención primaria de salud.
- González, J., & Uriarte, Á. (2012). Hernia Umbilical. In Eventraciones. Otras hernias de pared y cavidad abdominal.
- Grapin-Dagorno, C., Bosset, P.-O., Boubnova, J., & Noche, M.-E. (2012). Criptorquidia. Ectopia testicular. EMC – Urología. https://doi.org/10.1016/S1761-3310(12)63536-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