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기기는 마이크라(Micra)라고 불린다. 그 이름은 이 기기를 이용할 수 있는 수천만명의 사람들의 삶을 빠르게 변화시키는 혁명적인 심박조율기의 놀라운 기술을 설명한다.
최근까지 심박조율기는 섬세한 개심 수술을 통해서만 이식되었다. 환자의 심박수를 조절하는 목적은 동일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기기의 크기는 줄어들었다.
2013년 말 메드트로닉(Medtronic)사에서 새롭고, 약간 정교하며, 의료계에 혁명과도 같은 무언가를 세상에 공개했다.
그것은 세상에서 가장 작은 심박조율기로 수술 없이 몸에 이식할 수 있는 마이크라(Micra)였다.
오늘은 이 마이크라에 대해 함께 알아보자.
생명과 함께 뛰는 마이크라
이 기기는 2013년에 소개되긴 했지만, 새로운 기술이나 약을 승인하고 홍보하고 유통하는 데까지는 당연히 시간이 오래 걸린다.
더 읽어보기: 심장과 간을 위한 레몬차
- 마이크라는 2015년에 CE 승인을 받았으며, 이때 유럽연합 내에서 홍보와 유통이 시작되었다.
- 마이크라는 엄격한 검사를 받은 후 기존의 심박조율기에 비해 엄청난 효율성과 안정성을 증명했다. 이후에 이 혁명적인 기기는 희망과 좋은 결과만을 가져왔다.
- FDA는 2016년 중반에 마이크라를 승인했다. 이제까지 수행된 마이크라 이식은 아주 긍정적이었으며, 이 심박조율기가 대부분의 건강보험에서 적용이 되었다.
마이크라: 세상에서 가장 작은 심박조율기의 특징
마이크라 심박조율기는 24mm 크기로, 1유로 동전과 비슷하다. 이 기기는 2014∼2015년 사이에 전 세계적으로 모든 검사를 통과해 혁신적인 기술을 효과적으로 증명했다.
이 심박조율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전선이나 배터리가 없는 피하 이식 캡슐이다.
- 이식을 위해 수술을 할 필요가 없다.
- 기기가 사타구니의 정맥을 통해 좌심실에 놓일 때까지 카테터 경유 기술로 환자의 심장에 이식된다.
- 이 혁신적인 심박조율기는 작은 톱니나 바늘땀을 이용해 고정되며, 전선이 필요 없다.
- 이후에는 환자의 활동에 맞게 심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전기 충격을 내보내기 시작한다.
- 피부 아래에 수술적 주머니를 삽입할 필요가 없다. 즉,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아무도 환자가 심박조율기를 가졌는지 알아채지 못한다. 캡슐은 심장에 설치된 상태로 잘 고정되어 있다.
- 절개, 수술 흉터, 장기 입원도 더는 필요 없다.
더 읽어보기: 여성들의 심장 마비 예방하기
심장병 환자들을 위한 엄청난 변화
이 신기술은 의학적 진보만이 아니다. 심박조율기를 이식하기 위해 수술을 해야만 하는 환자들에게 있어서의 심리적인 영향에 대해서도 잊어서는 안 된다.
- 이 기기는 어떤 흉터도 남기지 않는 간단한 방식으로 이식할 수 있다. 문제가 있다면, 그저 “재설치”만 하면 된다.
- 전문가들에 따르면 마이크라는 한번 설치가 되면 완전히 안정적이다. 기존의 심박조율기와 달리 이것은 어떤 식으로도 심장 조직을 손상하지 않는다.
- 이것은 의사와 환자에게 간단하면서도 안전한 해결책을 제공하는 심장 질환 치료의 진보라고 할 수 있다.
유념해야 할 부정적인 요인들
마이크라 심박조율기는 현재 의료계와 심장병 환자들에게 있어 완전한 혁명이다. 하지만 의사들은이 기기가 아직 초기 단계라는 점에 대해서는 인정한다.
몇년 안에는 이 기기가 모든 경우에 있어 해결책을 가져다주길 희망하며, 이 기기의 내구성도 시간이 지나면서 더 개선될 것이라는 희망도 있다.
현재는 마이크라가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갖고 있다
- 10년간만 지속하며 이후에는 교체되어야 한다.
- 한 가지 유념할 사항은 이 기기가 비만 환자들에게는 그다지 유용하지 않다는 점이다. 아직 이 기기는 주요한 한계점이 있으며, 좋은 결과를 위해 더 많은 진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 또한 마이크라가 기존의 심박조율기를 이미 가진 환자에게는 장착될 수 없다는 점도 잊어서는 안 된다.
현재 이 기술의 이점을 얻지 못하는 사람들은 심박수를 조절하는 다른 가능한 기기들(똑같이 효과적인)을 계속 이용해야만 한다.
앞으로 과학이 계속 진보해 심장병과 같은 심각한 문제를 위한 간단하고 효과적인 답을 제공할 수 있기를 희망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Salgado-Somoza, A., Zhang, L., Vausort, M., & Devaux, Y. (2017). The circular RNA MICRA for risk stratification after myocardial infarction. IJC Heart and Vasculature. https://doi.org/10.1016/j.ijcha.2017.11.001
- Da Costa, A., Romeyer-Bouchard, C., Guichard, J. B., Gerbay, A., & Isaaz, K. (2016). Is the new Micra-leadless pacemaker entirely safe? International Journal of Cardiology. https://doi.org/10.1016/j.ijcard.2016.03.065
- Ritter, P., Duray, G. Z., Steinwender, C., Soejima, K., Omar, R., Mont, L., … Reynolds, D. (2015). Early performance of a miniaturized leadless cardiac pacemaker: The Micra Transcatheter Pacing Study. European Heart Journal. https://doi.org/10.1093/eurheartj/ehv214
- Kerwin, S. A., Mayotte, M. J., & Gornick, C. C. (2015). Transcatheter pacemaker implantation in a patient with a bioprosthetic tricuspid valve. Journal of interventional cardiac electrophysiology : an international journal of arrhythmias and pacing, 44(1), 8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