때로 온종일 피곤한 경우는 흔하기 때문에 걱정할 이유가 없다. 그러나 약물치료를 받고 있다면 이 증상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일부 약물은 졸음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대부분 건강 전문가가 환자에게 이러한 부작용에 대해 경고하지만, 치료를 시작할 때는 새로운 약물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잘 알고 있으면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과도한 졸음을 일으키는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약물 중 일부는 벤조다이아제핀이다. 이 약물을 복용하는 데 그 부작용을 인식하지 못하는 환자들의 경우 이는 산업 및 교통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이러한 부작용이 무엇인지 잘 알아야 한다.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의 일반적인 특성
졸음에 휩싸인 사람들은 직장에서의 사고나 교통사고가 더 쉽게 날 수 있다. 또한, 그들은 일상 활동을 수행하기가 어렵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졸음은 약물을 복용할 때 자주 나타나는 증상이며, 실제로 선진국 성인의 약 20%에게 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성인기의 교통사고, 작업 사고 또는 기타 건강 문제와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의 학교 성적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다음은 주간 졸음의 주요 원인 중 일부다.
- 수면 부족: 이는 졸음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연구에 따르면 14일 동안 6시간만 잘 경우 신경 생물학적 기능이 크게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약물: 졸음은 약물치료의 가장 흔한 부작용 중 하나이며 중추 신경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 불법 물질
- 폐쇄 수면무호흡
다음으로 졸음을 유발하는 약물을 살펴보도록 하자. 만약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의료 전문가와 상의해 보면 된다.
알파 차단제
이는 고혈압 치료뿐만 아니라 전립선 비대증 및 레이노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이다. 알파 차단제는 야간 수면, 졸음 및 주간 수면 감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올란자핀은 어떤 약물일까?
벤조다이아제핀
현재 항불안제, 최면제 및 근육 이완제로 시판되는 약 30가지 화합물의 90개 이상의 등록된 다양한 브랜드가 있다. 베조디아제핀 계열에 속하는 약물은 브로마제팜, 클로나제팜, 클로라제페이트, 미다졸람 또는 로라제팜이다.
이 약물은 불안을 줄이고 GABA로 알려진 물질의 효과를 향상해 중추 신경계의 활성화를 억제한다. 따라서 이러한 약물은 위에서 언급한 효과로 인해 과도한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모든 주의를 필요로 하는 활동을 하고 또 이러한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라면 조심해야 한다.
1세대 H1 항히스타민
이 약물은 H1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한다. 따라서 히스타민이 H1 구조에 결합하는 것을 막고 물질의 일반적인 영향을 유발한다.
히스타민은 알레르기와 관련한 화학 물질이다. 따라서 큰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하는 물질과 접촉하는 사람의 히스타민 수치가 높으면 그러한 반응의 잘 알려진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나 디펜히드라민과 같은 약물은 중추 신경계를 억제하고 심한 졸음을 유발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음식 속의 아황산염: 알레르기와 민감성
항우울제
항우울제는 졸음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사실, 의사는 때때로 사람들이 잠들도록 유도하기 위해 이들 중 일부를 처방한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진정성 항우울제는 불면증이 있는 우울증 환자의 수면 패턴을 개선한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지난 수년간 불면증이 있었지만, 임상적 우울증이 없는 환자에게서 최면제와 같은 저용량 진정제 항우울제의 사용이 많이 증가했을 수 있다. 트라조돈과 미르타자핀은 이러한 졸음을 유발하는 항우울제 중 하나다.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다른 약물
많은 약물이 위에서 언급한 것 외에도 이러한 부작용을 유발한다. 다음으로는 졸음을 유발하는 다른 의약품을 간략하게 소개해 보려고 한다. 그러나 이 글에서 소개하는 의약품 외에도 더 많은 의약품이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자.
- 제토제
- 비타민 A의 과도한 섭취
- 근육 이완제
- 항간질제
- 수면 촉진제
결론
반드시 과도한 졸음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이러한 부작용을 모르면 사고를 당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항상 의사나 약사와 상의해 보도록 하자.
그러나 무엇보다도 의사의 조언 없이 자가 치료를 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MJ. Barbanoja, RM. Antonijoana, C. García-Geaa, S. Closa, E. Grasaa, S. Giméneza, Fármacos que pueden producir somnolencia excesiva, Elsevier, https://www.elsevier.es/es-revista-vigilia-sueno-270-articulo-farmacos-que-pueden-producir-somnolencia-13109171
- F. Cañellasa, Uso de los antidepresivos en el tratamiento del insomnio, Elsevier, https://www.elsevier.es/es-revista-vigilia-sueno-270-articulo-uso-los-antidepresivos-el-tratamiento-13062068
- Benjamín Valente-Acosta, Paul David Uribe Jaimes, Fármacos inductores del sueño,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11675265_Farmacos_inductores_del_sueno
- Goel N, Rao H, Durmer JS, Dinges DF. Neurocognitive consequences of sleep deprivation. Semin Neurol. 2009;29(4):320–339. doi:10.1055/s-0029-1237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