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신 홍반 루푸스(Systematic Lupus Erythematosus)를 치료할 수 있는 결정적인 원인을 해결하는 치료법은 없다. 그렇지만 증상 완화에 중점을 둔 치료제는 많이 있다.
어떠한 경우에도 의사는 각 환자의 특정 상황에 맞는 치료제를 조정해야 한다. 또한 환자는 치료제의 이점과 위험을 모두 염두에 둔 채로 이에 대해 동의를 해야 한다. 오늘 우리는 이 과정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루푸스 치료법
가장 먼저 루푸스(‘낭창‘이라고도 함) 치료에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약물에 대해 살펴보자.
-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 글루코코티코이드
- 항말라리아제
- 면역억제제
- 생물학적 요법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NSAIDs)
이부프로펜 혹은 파라세타몰과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근골격 징후의 증상 치료제로 사용된다. 이러한 약물은 대체적으로 복용시 발생할 수 있는 위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해, 제한된 기간동안 복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이러한 약물이 처방되면, 소화기, 신장 및 심혈관계에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신장 문제가 있거나 발병할 가능성이 있다면 이러한 약물 섭취를 금해야 한다.
글루코코티코이드
글루코코티코이드는 항염증 및 면역 억제 효과로 인해 전신 홍반 루푸스 치료의 기초로 간주되어 왔다. 따라서 이 질환의 급성기의 경우, 글루코코티코이드는 가장 중요하며 가장 효과적인 치료제이다.
불행히도 우리는 이러한 약물을 장기간 복용할 수 없다. 오랫동안 이 약물을 복용하면 신체에 유해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질환을 포함한 부작용을 야기할 수 있기 때문이다.
- 골다공증
- 쿠싱병
- 진성 당뇨병
- 감염 위험의 증가
- 녹내장
이러한 경우 의사는 하루 5mg 의 프레드니손(혹은 그와 동등한 약물)이나 그 이하의 용량을 복용하고 가능한 한 빨리 치료를 중단할 것을 권장한다.
높은 수치의 독성에도 불구하고, 사실상 이 질환으로 인한 모든 합병증은 코르티코이드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치료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녹내장 치료에 좋은 4가지 자연 재료
항말라리아제
클로로퀸은 항말라리아제 중에서도 매우 우수하다. 특히 하이드록시 글로로퀸은 더더욱 그렇다. 이들은 대다수의 전신 홍반 루푸스 환자들이 선택하는 약물이다. 또한, 이들은 전신 홍반 루푸스를 위해 특별히 고안된 유일한 약물이다(추후에 언급할 belimumab의 승인이 있기 전까지).
이러한 약물은 주로 다음과 같은 질환을 퇴치하는 데 도움이 된다.
- 관절염
- 피로
- 피부 손상
- 심낭염
- 일반적인 증상
환자들은 대부분 항말라리아제를 잘 견뎌내며, 이 약물의 주된 문제점은 발생할 수 있는 망막의 독성 효과이다. 이 때문에 의사들은 환자들에게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받을 것을 권장한다.
이러한 약물은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임신 중 처방이 될 수 있다. 또한 전신 홍반 루푸스 환자들에게 유익한 항집합성 작용을 한다.
더 읽어보기: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은 사람들이 저지르는 5가지 실수
면역 억제제
면역 억제제를 이용한 루푸스 치료는 항말라리아 및 글루코코티코이드 치료에 올바르게 반응을 하지 않는 환자들에게 사용되는 치료법이다.
이 질환을 퇴치하게 위해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면역 억제제는 다음과 같다.
- 시클로포스파미드
- 마이코페놀레이트 모페틸
- 아자티오프린
- 메토트렉세이트
생물학적 요법
생물학적 요법은 상당히 새로운 치료법이며, 많은 임상 시험이 여전히 연구중에 있다. 이 치료법은 생물학적 약물 혹은 단일클론 항체를 사용한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Belimumab 및 리툭시맙이다.
Belimumab은 전신 홍반 루푸스의 특정 치료를 위해 승인된 최초의 생물학적 약물이다. 그러나 이는 이 질환에 대한 유일한 약물이 아니다.
이 요법을 실시한 환자의 증상이 6개월이 지나도 호전되지 않는다면, 이 치료법을 중단하는 것에 대해 고려해야 한다. 두 약물 모두 현재는 테스트 중이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Finzel, S., Schaffer, S., Rizzi, M., & Voll, R. E. (2018). Pathogenesis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Zeitschrift Fur Rheumatologie. https://doi.org/10.1007/s00393-018-0541-3
- Kuhn, A., Bonsmann, G., Anders, H. J., Herzer, P., Tenbrock, K., & Schneider, M. (2015).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Deutsches Arzteblatt International. https://doi.org/10.3238/arztebl.2015.0423
- Castrejon, I., Nika, A., Sequeira, W., & Jolly, M. (2017).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 Comorbidity in Rheumatic Diseases. https://doi.org/10.1007/978-3-319-59963-2_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