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경련을 멈추게 하는 법

근육 경련을 멈추게 하는 법

로즈마리 추출물은 염증에 좋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킨다. 집에 구비해두었다가 근육 경련을 경험할 때 로즈마리 추출물을 이용해서 마사지를 해주면 좋다.

근육 경련은 통증이 매우 심하다. 통증을 멈추려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알아보자. 그 방법을 알아두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오늘 이 글에서는 근육 경련을 멈추게 하는 법을 소개한다.

근육 경련

사실 이 증상은 생각하는 것보다 더 흔한 증상으로 60세 이상인 경우 2명에 1명꼴로 이 경련을 종종 경험한다. 60세 이하라고 해서 근육 경련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아니다.

신경이 건드려졌을 때 근육 경련이 생긴다. 다시 말해서 근육이 수축된 것이다. 이 상태는 짧게는 몇 초, 길게는 몇 분까지 지속될 수 있다.

근육 경련을 멈추게 하는 법

근육 경련은 신체 부위 어디에나 나타날 수 있지만 보통은 허벅지, 발, 손, 종아리에 많이 생긴다.

근육 경련이 만성적으로 생긴다면 다음과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 미네랄 결핍– 특히 마그네슘, 철분, 칼슘, 칼륨
  • 비타민 E 결핍
  • 체액이 너무 부족하거나 탈진 상태 (땀을 너무 많이 흘렸거나 설사를 한 것 등)
  • 스트레스
  • 관절염, 동맥 경화증, 섬유 근육통
  • 이뇨 작용을 하는 약을 복용한 경우

그에 반해 근육 경련이 가끔 생기는 경우, 다음의 같은 원인이 있을 수 있다. 

  • 운동 전후로 스트레칭을 충분하게 하지 않은 것
  • 평소와 다르게, 뭔가 잘못 움직인 것
  • 추위에 오래 노출된 것

이 글도 읽어보자: 근육을 위한 6가지 스트레칭 운동

스트레칭하기

발가락 근육 경련을 경험할 때는 손으로 발가락을 잡아 스트레칭을 해보자.

근육 경련을 멈추게 하는 법

마사지하기

식물성 오일(올리브, 코코넛, 아몬드, 해바라기, 참깨)로 경련이 생긴 부위를 약간 눌러 마사지해보자. 마사지를 할 때는 통증의 방향과 반대로 해야 한다.

따뜻하게 해야 회복이 빠르다는 점 또한 중요하다.

핫팩 사용하기

핫팩으로 경련이 생긴 부위를 따뜻하게 할 수도 있다. 따뜻하게 해주고 근육을 최대한 스트레칭해보자. 몸이 따뜻해진 후에 마사지를 해야 한다.

핫팩 대신 뜨거운 물 병을 사용하는 사람도 있다. 핫팩이 없으면 다른 걸 사용해도 된다.

로즈마리 추출물 사용하기

근육 경련을 멈추게 하는 법

오일 마사지에서 로즈마리 추출물을 빼놓을 순 없다. 염증에 좋고 혈액 순환을 촉진시키기 때문에 근육 경련이 생겼을 때 사용하면 정말 효과적이다.

시중에서 구입해도 되고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만들 수도 있다.

  • 뚜껑이 있는 유리병을 준비한다.
  • 신선한 로즈마리 줄기를 넣는다. 꽃이 피는 시기의 로즈마리가 제일 좋다.
  • 로즈마리가 잠길 만큼 알콜을 붓는다.
  • 뚜껑을 잘 닫고 시원하고 어두운 곳에서 15일간 보관한다.
  • 매일 조금씩 흔들어준다.
  • 15일 후 액체만 따라 어두운 색깔의 병에 담고, 뚜껑을 잘 닫아놓는다.

이 글도 읽어보자: 혈액순환 개선을 위한 로즈마리 치료제

근육 경련 예방법

일주일에 한 번 이상 경련이 생긴다면 미리 예방을 해야 한다. 다음에서 소개하는 방법을 참고해보자. 또 신체의 다른 어딘가의 불균형으로 인해 경련이 생기는 것일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자.

  • 마그네슘과 칼륨이 풍부한 음식을 더 많이 먹자. 마그네슘과 칼륨은 토마토나 바나나 같은 과일에 많이 함유되어 있다. 코코아도 경련에 좋은 음식이다.
  • 견과류와 발아씨를 곁들인 샐러드를 매일 먹자. 비타민과 미네랄을 충분히 섭취할 수 있다.
  • 경련이 계속되면 마그네슘 보충제를 섭취한다.
  • 다리에 경련이 생기면, 샤워할 때 차가운 물을 다리에 끼얹어보자.
  • 불두화 추출물도 경련을 예방하는데 매우 효과적인 재료다.

2012 세계여자 아이스하키 팀닥터 이현삼 한의사에 따르면 사소한 생활 중의 근육 경련이라도 몸 전체의 상태를 반영할 수 있고 관절에 무리를 주는 동작에 대해 몸이 적신호를 보내는 것일 수도 있다고 한다. 또한 일상생활에서나 운동할 때 근육의 떨림을 주의하여 살펴보는 것도 건강관리의 작은 실천이라고 할 수 있다고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Maquirriain, J., & Merello, M. (2007). The athlete with muscular cramps: Clinical approach.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aedic Surgeons. https://doi.org/10.5435/00124635-200707000-00007
  • Hallett, M. (2006). Pathophysiology of writer’s cramp. Human Movement Science. https://doi.org/10.1016/j.humov.2006.05.004
  • Bertolasi, L., De Grandis, D., Bongiovanni, L. G., Zanette, G. P., & Gasperini, M. (1993). The influence of muscular lengthening on cramps. Annals of Neurology. https://doi.org/10.1002/ana.410330207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