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금은 요리할 때 빠질 수 없는 재료이다. 가정이나 주방, 심지어 세계적으로 가장 유용한 제품이라고 할 수 있을 듯하다. 소금도 종류가 많은데, 가장 건강한 소금은 어떤 소금인지 알아두면 좋을 듯하다.
소금의 종류
1. 식탁용 소금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되는 소금으로 주 성분은 염화 나트륨이다. 산업적인 화학 공정에서 추출된다. 이 소금이 만들어지는 과정에서 요오드나 불소 같은 무기질, 다른 보존제와 첨가물이 첨가된다. 식탁용 소금은 음식에 간을 하는데 가장 적합한 유형의 소금이다.
더 읽어보기 : 바다 소금으로 셀룰라이트 없애기
2. 정제되지 않은 바다 소금
바닷물이 증발 되면서 얻어지는 소금이다.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얻어진다는 뜻이다. 염소, 나트륨, 요오드, 불소 등으로 구성 된다. 이 소금도 식탁용 소금과 마찬가지로 염화 나트륨이 주 성분이다. 약간 회색 빛을 띠며 일반 식탁용 소금에 비해 조금 더 짜다.
식탁용 소금보다 더 건강한 소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흔하지 않기 때문에 식탁용 소금에 비해 더 비싸다. 식탁용 소금과 정제되지 않은 바다 소금 중 어떤 것이 더 건강한지를 논하는 것보다 요리할 때 얼마만큼 사용하는지가 더 중요하다.
3. 플뢰르 드 셀
플뢰르 드 셀 소금은 소금 광산의 최상층에서 나오는 소금이다. 대서양과 지중해에서 나오며, 특별한 기술이 있어야 얻을 수 있다. 맛이 뛰어나기 때문에 미식가들이 주로 사용한다.
저장성이라 이 소금은 섭취해도 체액 저류가 생기지 않는다. 다른 종류의 소금과 비교했을 때, 나트륨과 염화 나트륨이 각각 15%, 92.9% 낮다. 입안에서 잘 녹으며, 다른 소금에 비해 짜지 않다.
4. 히말라야 소금
히말라야 소금의 원산지는 히말라야가 아니라 파키스탄과 라틴 아메리카가이다. 필수 영양소(84), 미량 원소가 풍부해 수년간 이 소금에 대한 광고가 많이 나왔다. 이 소금은 몸에 좋을 뿐만 아니라 색깔이 분홍색으로 예쁘기 까지 하다.
더 읽어보기 : 히말라야 소금램프의 5가지 효능
가장 건강한 소금은 어떤 소금일까?
모든 유형의 소금은 저마다 건강한 자연 소금 이라는 것을 내세우며 광고를 한다. 소금을 선택할 때 다음을 참고해보자.
- 모든 유형의 소금에는 염화 나트륨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너무 많이 섭취 해서는 안 된다.
- 음식으로 나트륨을 섭취하게 되기 때문에 소금을 추가로 더 챙겨 먹을 필요는 없다.
- 음식을 맛있게 해주지만 건강에는 별로 좋은 점이 없다.
- 가장 영양가가 높은 소금은 암염 및 미네랄 염, 즉 장인의 방법으로 자연에서 바로 얻어지는 소금이다.
- 마케팅 전략으로 인해 소금 가격이 올라간다. 경제적인 이익이 자연계를 분명하게 지배 하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천연 제품이 그만한 경제적 가치가 있는지, 아니면 단순히 마케팅 때문에 비싼 것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다.
소금 섭취 방법
결론적으로 말하면, 소금 그 자체보다는 먹는 양과 방법이 중요하다. 소금은 건강에 위험할 수 있기 때문에 너무 많이 섭취 해서는 안 된다. 너무 많이 섭취하면 심혈관 질환, 신장 기능 부전, 위 질환, 골다공증 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소금의 종류를 알고, 소금을 대체할 수 있는 것들을 알아두는게 좋다. 그러면 어떤 상황에서 가장 적합한 소금이 무엇이고, 위험한 것은 무엇인지 알 수 있다. 소금 대신 향신료와 허브를 사용할 수 있다는 점도 참고하자.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Accurate Measurements of Sodium Intake Confirm Relationship with Mortality. Brigham and Women’s Hospital. 2018
https://www.brighamandwomens.org/about-bwh/newsroom/research-briefs-detail?id=3053 - Errors in estimating usual sodium intake by the Kawasaki formula alter its relationship with mortality: implications for public health. International Journal of Epidemiology DOI: 10.1093/ije/dyy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