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소금의 놀라운 이점 8가지

바다 소금은 정제 소금보다 훨씬 더 건강에 유익하다. 바다 소금의 놀라운 이점을 알아보고 식단에 추가해 보자!
바다 소금의 놀라운 이점 8가지

마지막 업데이트: 15 2월, 2019

요리를 할 때 어떤 소금을 사용하는가? 가공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은 아닐까? 오늘은 바다 소금의 몇 가지 이점을 소개한다.  

가공 단계에서는 미네랄, 마그네슘 및 요오드가 제거되는 동시에 표백제와 요오드산 칼륨이 첨가된다. 하지만 바다 소금은 신체에 매우 유익하고 다양한 이점을 선사한다. 

지금부터 자세하게 살펴보자.

바다 소금이란?

바다 소금의 놀라운 이점 8가지
  • 바다 소금의 경우에는 햇볕에 말리기만 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미네랄, 요오드 및 마그네슘과 같은 성분이 제거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신체에 유익한 기타 영양분이 첨가된다.
  • 위에서 언급한 표백제가 함유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인 제품만큼 하얗지 않다.
  • 정제 소금보다 촉촉하고 강한 맛을 내기 때문에 적은 양만으로도 충분하다.

바다 소금의 이점

1. 면역계를 강화한다

바다 소금의 미네랄은 신체의 자연적인 방어력을 개선한다.

따라서 감기, 독감 및 바이러스를 자주 경험하는 초가을에 바다 소금을 자주 섭취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하면 날씨 또는 온도 변화의 영향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된다.

2. 우울증을 퇴치한다

우울증이 생기면 스트레스를 조절하는 충분한 양의 세로토닌과 멜라토닌이 생성되지 않는다. 하지만 바다 소금은 이러한 수치에 긍정적인 변화를 선사할 수 있다.

3. 혈액 순환이 개선된다

바다 소금의 놀라운 이점 8가지

바다 소금은 전신의 혈액 흐름을 촉진한다. 알다시피 혈액은 신체가 제대로 된 기능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4. 체중 감량

바다 소금은 알칼리성 식품이다. 즉, 위장이 지방과 같은 해로운 요소를 제거하는 물질을 생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소화의 속도를 높이는 데 효과적이다.

5. 천식 발작을 줄인다

바다 소금은 강력한 함염증제이므로 천식에 도움을 준다. 그 효과는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일부 의사들은 천식 발작이 오면 흡입기를 사용하는 대신 혀에 약간의 바다 소금을 올려 둘 것을 권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요법을 사용하기 전에는 먼저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한다. 

6. 골다공증을 완화하고 예방한다

뼈는 칼슘 그 이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골격계는 우리가 섭취하는 소금의 1/4을 저장한다. 다시 말해서, 뼈에 문제가 생겼을 때 소금을 섭취하는 것이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뜻이다.

게다가 바다 소금의 미네랄은 뼈 문제를 치료하는 데 탁월하다. 

7. 경련을 사라지게 만든다

테니스 선수가 경기 중 바나나를 섭취한 것을 본 적이 있는가? 이는 근육에 주된 영양분인 다량의 칼륨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바다 소금의 이점 중 하나는 칼륨과 비슷한 방식으로 작용한다는 점이다.

또한 근육이 다른 음식에서 발견되는 칼륨을 더 잘 사용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바다 소금의 놀라운 이점 8가지

8. 혈당 수치의 균형을 맞춘다

바다 소금은 혈당 수치를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기 때문에 당뇨병 환자들에게 가장 적합하다. 만약 혈당에 문제가 있다면 식단에 바다 소금을 추가하는 것을 고려해 보자. 마치 천연 인슐린과 비슷한 역할을 한다. 

보다시피 바다 소금이 신체에 제공하는 이점은 셀 수 없을 정도로 많다! 그러니 어서 식단에 추가해 보자.

이 글은 어떤가요?
핑크 히말라야 소금의 10가지 효능
건강을 위한 발걸음
읽어보세요 건강을 위한 발걸음
핑크 히말라야 소금의 10가지 효능

오늘은 핑크 히말라야 소금의 10가지 주요한 효능을 알아보자. 핑크 히말라야 소금은 파키스탄의 산, 특히 케라 소금광산(Khewra mine)에서 나오는 무기질다. 이 소금에는 몸에 좋은 84가지 건강한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다양한 효능을 경험할 수 있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Salt craving: The psychobiology of pathogenic sodium intake. Physiology & Behavior. Morris, M.J.; Na, E.S.; Johnson, A.K.  (2008): 709-721 DOI: 10.1016/j.physbeh.2008.04.008

본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거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