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살초(Gymnema Sylvestre)는 협죽도과에 속하는 덩굴성 관목이다. 인도, 아프리카, 호주의 열대 우림에서 자생하며, 잎은 아유르베다 의학에서 잘 알려져 있다. 실제로 힌디어로는 ‘설탕 파괴자’를 뜻하는 ‘구르마(gurmar)’라고 한다. 당살초의 특성과 금기 사항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려면 계속해서 읽어 보자!
<Journal of Clinical Biochemistry and Nutrition> 학술지의 간행물에 따르면, 당살초에는 항당뇨 작용을 하는 김네마산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심장 질환의 위험을 낮추고 건강한 체중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당살초의 특성
당살초 보충제는 전 세계적으로 인기가 많은 제품이다. 서양 의학에서도 성분으로 인해 당살초를 크게 주목하고 있다.
실제로 당살초는 많은 연구에서 다룬 주제이기도 했다. 1차 치료제는 아니지만, 일부 건강상 문제에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은 인정되었다.
<Frontier in Pharmacology>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서는 당살초에 높은 치료 능력이 있는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그중 일부로는 스티그마스테롤과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이 있다. 이러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은 작용을 한다.
- 항당뇨 작용
- 혈당 저하 작용
- 항산화 작용
- 항종양 작용
- 항진균 작용
- 간보호 작용
당살초의 이점
당살초의 주된 생리 활성 화합물은 바로 김네마산이다. 당살초에는 김네마산 외에도 페놀성 화합물, 사포닌, 안트라퀴논이 포함되어 있어, 다양한 긍정적인 건강상 효과를 선사한다.
단 음식에 대한 욕구를 줄인다
당살초는 단 음식에 대한 욕구를 줄이는 능력이 있다. <Physiology & Behavior>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에 따르면, 김네마산은 미뢰의 단맛 수용체를 차단하여 단맛을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로 인해, 당살초는 끊임없이 단 음식을 찾는 사람들에게 훌륭하다. 단 음식을 먹기 전에 당살초 추출물을 먹으면 섭취량을 제한할 수 있다. 또한 식사 중이나 식사 후에 당분을 많이 섭취하지 않도록 한다.
더 읽어보기: 5가지 식품으로 단 음식을 끊어 보자
인슐린 조절에 도움이 된다
당살초에 관해 가장 많이 연구된 주제 중 하나는 당뇨병이나 대사 증후군과 같은 질환에 미치는 영향이다.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학술지의 연구에 따르면, 당살초는 췌장에서 인슐린 생성을 자극하는 데 도움이 된다.
특히 당살초 추출물은 인슐린 생성을 담당하는 섬 세포의 재생을 촉진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포도당 수치가 낮아지고 전반적인 건강이 개선될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발견을 확증하고자 전문가들이 여전히 더 많은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포도당 수치를 조절한다
앞서 언급한 특성 외에, 항당뇨 작용을 한다는 점도 중점적으로 알아둘 필요가 있다. 당살초를 섭취하면 혈중 내 높은 당 수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사람들은 효과를 높이고자 약물과 함께 복용한다.
당살초는 인슐린 생성을 자극하는 것 외에, 장내 수용체 차단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되면 포도당 흡수를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Current Pharmaceutical Design> 학술지의 연구에 따르면, 장내 당 흡수를 줄이려면 200~400mg의 김네마산을 섭취해야 한다.
당 수치를 낮추는 약을 먹고 있다면 보충제를 섭취하기 전에 먼저 의사와 상담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잊지 말자. 현재로서, 전문가들은 당살초의 효과를 평가하고 복용량과 효능 수준을 파악하려면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말한다.
항염증 작용을 한다
당살초 잎의 타닌과 사포닌은 훌륭한 항염증 작용을 한다. 따라서 사람들은 당뇨병, 심장 질환, 자가 면역 질환과 같은 염증성 질환에 당살초 추출물을 사용한다.
체중 감량: 당살초의 특성 중 하나
하룻밤 만에 기적과도 같이 살이 빠지는 것은 아니지만, 당살초 추출물을 섭취하면 체질량 지수를 낮추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학술지에서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당살초 보충제를 섭취하는 사람은 체중이 5% 정도 감소했다.
중등도 비만 환자의 경우, 식사량이 줄었을 뿐 아니라 혈중 지질 수치도 더 잘 조절되었다.
심혈관 건강을 개선한다
당살초 추출물은 심혈관 건강에 긍정적인 효과를 선사한다. 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지질 조절에 도움이 된다.
<Diabetes, Obesity and Metabolism> 학술지의 연구에서는 당살초가 비만 환자의 중성 지방과 나쁜 콜레스테롤(LDL)을 각각 20.2%와 19% 줄이는 데 도움이 되었다고 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이 당살초가 심혈관 질환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고 생각한다.
더 읽어보기: 심혈관 건강을 위한 권장 식품
당살초의 금기 사항
대부분 건강한 성인의 경우, 적당량으로 섭취한다면 안전하다. 하지만 안전성에 대한 증거가 부족하므로,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피해야 한다.
- 임신 중 또는 수유 중
- 영유아와 아동
- 약 복용 중인 당뇨병 환자의 경우, 의사가 승인하지 않았다면 당살초를 피해야 한다.
- 곧 수술 예정인 사람
부작용은 드물지만, 갑자기 혈당이 떨어지면서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당살초의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아래와 같다.
- 두통
- 어지럼증 또는 현기증
- 과민 반응
- 메스꺼움
당살초 복용
현재 당살초는 분말 또는 캡슐 형태의 보충제나 차로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당살초 잎은 차로 끓여도 좋다. 섭취량은 보충제의 유형과 브랜드에 따라 다르다.
하지만 대개 권장량은 다음과 같다.
- 캡슐 100mg: 하루에 3~4회.
- 차 한 잔: 하루에 2회.
- 분말 2g. 부작용이 없으면 4g으로 늘려도 된다.
당살초 유의 사항
아유르베다 의학에서 가장 인정받는 당살초의 특성은 포도당 수치를 조절하고 대사 증후군과 관련된 위험을 줄이는 능력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당뇨병의 1차 치료제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또한 의료 전문가의 감독하에 적당량으로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부 연구에서 당살초의 약효 성분을 뒷받침하기는 하지만, 기존 치료를 대체하는 것은 금해야 한다. 그 대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보충제로만 사용해야 하며, 의사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Kanetkar P, Singhal R, Kamat M. Gymnema sylvestre: A Memoir. J Clin Biochem Nutr. 2007 Sep;41(2):77-81. doi: 10.3164/jcbn.2007010. PMID: 18193099; PMCID: PMC2170951.
- Khan F, Sarker MMR, Ming LC, et al. Comprehensive Review on Phytochemicals,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otentials of Gymnema sylvestre. Front Pharmacol. 2019;10:1223. Published 2019 Oct 29. doi:10.3389/fphar.2019.01223
- Leach MJ. Gymnema sylvestre for diabetes mellitus: a systematic review. J Altern Complement Med. 2007 Nov;13(9):977-83. doi: 10.1089/acm.2006.6387. PMID: 18047444.
- Khan F, Sarker MMR, Ming LC, et al. Comprehensive Review on Phytochemicals, Pharmacological and Clinical Potentials of Gymnema sylvestre. Front Pharmacol. 2019;10:1223. Published 2019 Oct 29. doi:10.3389/fphar.2019.01223
- Tiwari P, Mishra BN, Sangwan N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Gymnema sylvestre: an important medicinal plant. Biomed Res Int. 2014;2014:830285. doi:10.1155/2014/830285
-
Brala PM, Hagen RL. Effects of sweetness perception and caloric value of a preload on short term intake. Physiol Behav. 1983 Jan;30(1):1-9. doi: 10.1016/0031-9384(83)90030-6. PMID: 6836034.
-
Al-Romaiyan A, Liu B, Docherty R, Huang GC, Amiel S, Persaud SJ, Jones PM. Investigation of intracellular signalling cascades mediating stimulatory effect of a Gymnema sylvestre extract on insulin secretion from isolated mouse and human islets of Langerhans. Diabetes Obes Metab. 2012 Dec;14(12):1104-13. doi: 10.1111/j.1463-1326.2012.01660.x. Epub 2012 Aug 1. PMID: 22775778.
- Tiwari P, Ahmad K, Baig MH. Gymnema sylvestre for Diabetes: From Traditional Herb to Future’s Therapeutic. Curr Pharm Des. 2017;23(11):1667-1676. doi: 10.2174/1381612823666161108162048. PMID: 27834124.
- Ota A, Ulrih NP. An Overview of Herbal Products and Secondary Metabolites Used for Management of Type Two Diabetes. Front Pharmacol. 2017;8:436. Published 2017 Jul 6. doi:10.3389/fphar.2017.00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