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아 개념의 구성 요소
자아 개념이 무엇인지 알아 두면 자존감을 개선하고 살면서 더 적극적으로 결정을 내리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자아 개념이란 자기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의미한다. 이 글에서 자아 개념의 구성 요소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자.
물론 이러한 이미지는 저절로 생기는 것이 아니라, 인생을 통해 발전한 가장 중요한 상호 작용으로 인해 자리 잡는다.
또한 자아 개념은 자신의 능력에 대한 인식을 포함하므로, 시간이 지날수록 더 조직적으로 구성된다.
사회 심리학에서 자아 개념이라는 용어는 인본주의 심리학자들에게 매우 중요하다. 실제로 이 분야의 전문가들은 자아 개념이 성격 발달의 결정적인 개념이라고 언급한다.
마찬가지로 긍정적인 자아 개념은 우리가 좋은 사회적, 직업적, 개인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자아 개념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은가?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할 예정이니, 끝까지 읽어 보자.
자아 개념이란?
자아 개념은 자기 자신에 대한 일련의 감정, 이미지, 생각이다. 따라서 우리는 평가적 요소인 감정과 인지적 요소인 생각을 구분한다.
생각은 자기 자신을 헤아리고 판단하는 것을 의미하며, 신체상, 가치, 사회적 정체성, 기술 또는 자신에게 있다고 생각하는 다른 특성을 포함한다.
때로는 평가 요소를 자존감이라고 할 수도 있다. 이는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자기 자신에 대해 경험하는 종합적인 감정이다.
자기 자신에 대한 이미지를 뜻하는 자아 개념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주요 학파
다른 용어와 마찬가지로, 많은 학파에서 자아 개념이라는 생각에 접근하려고 시도했다. 예를 들면 폴란드 심리학자인 헨리 타이펠이 있다. 그의 사회적 정체성 이론에 따르면, 자아 개념은 개인적 및 사회적 정체성으로 구성된다.
그가 말하는 사회적 정체성은 종교, 가족, 대학 등과 같이 우리가 속한 집단을 의미한다.
한편 개인적 정체성은 남들과는 다르고 자신만이 가진 성격적 특성이다. 일부 저자는 자아 개념의 문제를 다룬 여러 학파에 대한 역사적 고찰을 통해 이를 다음과 같이 분류했다.
- 상징적 상호작용 주의: 사회적 관점, 즉, 개개인이 타인과의 관계를 바탕으로 가진 인상을 우선으로 생각한다.
- 사회적 학습: 관찰 가능한 행동을 강조하여 자기 강화를 중시한다.
- 행동주의: 환경과 관찰 가능한 행동을 더 중요하게 생각한다.
- 인지주의: 자아 개념을 개인이 목표와 목적을 달성하도록 하는 구조의 일부로 생각한다.
- 정신 분석: 자아, 초자아, 원초아의 개념을 중심으로 자아 개념을 연구한다.
- 현상학: 인식의 과정과 각 주체가 내면화하는 것을 연구한다.
이러한 학파 외에, 다른 방식으로 자아 개념 연구에 접근할 수도 있다. 현재로서는, 자아 개념이라는 용어가 여러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내면의 힘을 발견하면 그 무엇도 우리를 막을 수 없다
자아 개념의 요소
자아 개념의 요소는 학파나 저자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인본주의 심리학자인 칼 로저스의 의견에 비추어 볼 때, 자아 개념은 다음과 같은 3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1. 자아상
자아상은 일반적으로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답이다. 그 답은 사회적 역할이나 개인적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친구, 또래, 부모 또는 다른 또래 집단의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대중 매체도 역할을 할 수 있다.
자신에 대한 이미지가 항상 현실과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자아상이 높고 자신이 남들보다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하지만 이 경우 부정적인 자아상을 갖게 되는 경향이 있어, 자신의 약점이나 결점이 과장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어린이에게 꼭 필요한 습관
자신에 대한 심상은 환경, 가족, 친구, 대중매체에 따라 큰 영향을 받는다.
2. 자존감
자존감은 평가의 정도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자기 자신에게 얼마나 큰 가치를 부여하는지 알 수 있다. 그 결과는 긍정적일 수도 있고, 부정적일 수도 있다. 자존감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 중에서 아가일은 다음과 같은 4가지를 언급했다.
- 타인의 반응
- 타인과의 비교
- 사회적 역할
- 신분
3. 이상적 자아
이상적 자아는 자신이 되고 싶은 모습을 나타낸다. 자기 자신을 바라보는 방식과 자신을 바라보고자 하는 방식이 같지 않을 때가 있다.
자아 개념은 시간이 지나면서 유지될 수 있거나 안정적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절대 바꿀 수 없다는 뜻은 아니다. 실제로 자아 개념은 바꿀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에 따르면, 자아 개념과 자존감은 관련이 있다. 자아 개념을 개선하려고 노력하면 자존감을 높일 수 있다. 어쨌든 자존감이 낮다면 심리학자와 상담을 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Céspedes, P. (2014). “Yo, autoestima, Autoconcepto.” Iryo To Shakai. https://doi.org/10.4091/iken1991.7.3_99
- Esnaola, I., Goñi, A., & Madariaga, J. M. (2008). El autoconcepto: Perspectivas de investigación. Revista de Psicodidactica.
- Fuentes, M. C., García, J. F., Gracia, E., & Lila, M. (2011). Autoconcepto y ajuste psicosocial en la adolescencia. Psicothema.
- Musitu, G., & Orma, A. U. F. (2014). Autoconcepto. Tea Madrid.
-
Scandroglio, B., Martínez, J. S. L., & Sebastián, M. C. S. J. (2008). La Teoría de la Identidad Social: una síntesis crítica de sus fundamentos, evidencias y controversias. Psicothema, 20(1), 80-89.
-
Goñi Palacios, E. (2009). El autoconcepto personal: estructura interna, medida y variabilidad. Servicio Editorial de la Universidad del País Vasco/Euskal Herriko Unibertsitatearen Argitalpen Zerbitzua.
-
González, L. A., & Risotto, M. A. (2017). El autoconcepto en alumnos de educación infantil (3-6 años) según el género. Etic@ net, 17(2), 401-4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