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안에서 계속 쓴맛이 나는 미각 장애

미각 장애는 입안에서 계속 쓴맛을 느끼는 질환으로 단순한 불편함 이상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번 글에서 자세히 알아보자.
입안에서 계속 쓴맛이 나는 미각 장애
Diego Pereira

작성 및 확인 의사 Diego Pereira.

마지막 업데이트: 29 11월, 2023

입안에서 계속 쓴맛이 나는 증상은 의학 용어 미각 장애로 알려져 있다. 미각에 영향을 미쳐 좋은 식사나 음료를 즐기는 것을 방해하는 미각 장애 증상과 원인을 이야기해보겠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불쾌한 감각은 익숙하지 않은 약물이나 음식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평소에는 물론 단것을 먹을 때도 쓴맛이 난다면 무언가 문제라는 신호다.

미각 장애란?

미각은 여러 요소를 포함하는 복잡한 감각이다. 입안에는 약 10,000개의 미뢰가 있으며 각 미뢰에는 100~150개의 미각 수용체가 있다. 맛을 내는 화학적 자극은 안면 신경, 설인두 신경, 미주 신경을 통해 전달된다. 부분적으로 미각은 미뢰와 후각의 상호 작용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미각 장애는 미각 이상이라고도 불린다. 연구에 따르면 미각에 대한 불쾌한 인식을 설명하는 문제로 먹지 않을 때도 입안에서 계속 쓴맛이 난다.

대부분 이 현상은 과소 평가될 수 있지만 미각 장애는 먹는 즐거움 부족, 음식 혐오와 영양실조로 이어진다는 연구도 있다. 결과적으로 삶의 질 저하와 근육 소모도 발생한다.

미각 장애 증상

입안의 쓴맛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증상과 함께 발생할 수 있다. 의학적 진단을 용이하게 하므로 다음과 같은 징후를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 위염 환자라면 식후 가슴이 타는 듯한 느낌이 난다.
  • 편도선염이나 인두염에서 흔히 볼 수 있듯이 몇 입을 가득 삼키기 어렵다.
  • 타액 생성 감소로 구강 건조증이 생긴다. 이 증상은 미각 이상증 결과이거나 유발 요인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한다.
  • 치주 질환과 관련된 출혈 및 부은 잇몸 증상이 생긴다.
  • 구취 때문에 입에서 쓴맛이 느껴지기도 한다.
  • 음식에 대한 불쾌한 인식과 관련된 식욕 부진이 발생한다.
  • 후각 기능 저하 또는 상실이 미각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미각 장애 미뢰
미뢰는 냄새와 결합하여 음식을 인지할 수 있게 한다.

미각 장애 원인 7가지

연구에 따르면 미각 장애는 국소, 전신 또는 양쪽 모두의 문제가 있을 수 있다. 미각 장애는 일부 질병, 약물 복용, 음식, 습관 및 생활 방식과도 관련이 있다.

감염

일부 감염성 질환은 입안에 쓴맛을 유발할 수 있다. 실제로 최근 연구에서는 미각 장애가 COVID-19 환자의 초기 증상이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신경 경로 때문에 미뢰와 후각에 문제를 일으킨다.

유사하게 인플루엔자, 편도선염, 부비동염 같은 다른 감염성 질환과의 상관관계가 있다.

2. 위식도 역류질환

이 병리학에서는 위 상부 괄약근이 영향을 받아 산이 식도에 도달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자극적이면서 인후, 가슴, 복부에 타는 듯한 느낌을 주고 입안에 쓴맛을 유발한다.

3. 구강 칸디다증

진균 칸디다 알비칸스에 의해 생성되는 감염이다. 면역 결핍증이 있는 사람들에게 자주 나타나며 혀, 볼 안쪽, 목구멍에 희끄무레한 병변을 일으킨다. 연구에 따르면 위막성 칸디다증에서 일부 환자는 미각 이상증과 입안의 작열감으로 고통받기도 한다.

4. 신경학적 장애

이미 언급했듯이 맛에는 미뢰에서 뇌로 가는 신경 연결이 있다. 따라서 신경계의 다양한 병변과 장애가 미각 지각을 변화할 수 있다. 연구에 따르면 뇌종양, 벨 마비, 두부 외상, 뇌 수술, 뇌졸중, 간질 환자에게서 관찰된다.

5. 쇼그렌 증후군

입과 눈이 마르는 자가면역질환이다. 일부 연구에 따르면 타액 생성 감소는 입안의 화끈거림, 씹기 어려움, 삼킬 때 통증, 미각 지각의 변화로 이어진다.

6. 약물

연구에 따르면 미각 장애를 유발하는 다양한 약물이 있다. 쓴맛이나 금속성 맛과 타액과 접촉하는 화합물이 이러한 감각을 생성한다. 입안에서 쓴맛을 유발할 수 있는 약물은 다음과 같다.

  • 항생제: 테트라사이클린, 암피실린 및 메트로니다졸
  • 심부전과 고혈압 치료제: 캅토프릴과 리시노프릴 같은 항부정맥제. 마찬가지로 스타틴과 이뇨제
  • 리튬 기반 약물: 양극성 장애 치료제
  • 향정신성 약물: 항정신병약, 항우울제와 항불안제
  • 신경 장애용 약물: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또는 편두통에 사용되는 약물 등
  • 기관지 확장제: 천식 및 만성 폐쇄성 폐 질환(COPD) 치료에 사용
  • 통증 완화에 사용되는 이부프로펜 같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 경구 혈당 강하제 : 펜포르민 및 글리피지드

마찬가지로 화학 요법과 방사선 요법 노출도 불쾌한 맛을 느낄 수 있다. 2017년 연구에서는 암 진단을 받은 환자 239명을 평가한 결과 이들 중 64%가 화학 요법 도중 및 이후에 미각 장애가 발생한다고 한다.

7. 기타 원인

연구에 따르면 아연 결핍은 미각 장애의 가장 흔한 원인이다. 이 결핍은 식단에 아연이 부족하거나 셀리악병, 크론병, 당뇨병 또는 췌장염과 같은 질병으로 인한 흡수 장애로 발생할 수 있다. 아연 보충제를 먹으면 이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임신과 폐경기에는 호르몬 변화로 입안에서 쓴맛이 날 수 있는데 에스트로겐이 미뢰 기능을 바꿀 수 있기 때문이다.

열악한 구강 위생, 충치, 치은염과 치과 수술로 인한 치아 문제는 미각 장애를 유발한다. 또한 높은 수준의 스트레스 및 납 오염과 같은 다른 원인 요인도 있다.

미각 장애 치료

미각 장애는 의학적 개입 없이 저절로 해결되기도 하지만 의학적 치료를 받는다면 원인을 식별하고 해결하는 데 달려 있다.

약물이라면 복용을 중단하거나 다른 약물로 대체한다. 또한 먹는 시간을 변경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미각 장애가 치아 문제나 치아 위생과 관련이 있다면 전문가를 찾아가자.

미각 장애 위산 역류
위산 역류는 미각 이상증 원인이며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여 치료한다.

미각 장애 완화를 위한 권장 사항

입안의 쓴맛을 완화하기 위해 집에서 할 수 있는 몇 가지 방법이 있다. 우선, 적절한 수분 공급과 껌(가급적 무설탕)을 씹어서 타액 생성을 증가하는 것이다.

둘째, 올바른 치아 위생 습관을 지킨다. 치실로 매일 2~3회, 2분 동안 부드럽게 양치하기부터 치과 의사가 권장하는 경우 항균 린스까지 치아 위생 관리에 신경 쓰자.

과도한 알코올, 카페인, 맵거나 지방이 많은 특정 음식은 피한다. 무엇보다 담배 타르가 미뢰를 막고 기능을 변화하니 금연이 중요하다.

입안의 쓴맛은 거의 항상 치료할 수 있다

입안의 쓴맛은 종종 흔한 문제이며 그 원인은 치료할 수 있다. 대부분은 영구적 영향 없이 미뢰가 정상화된다.

입안의 나쁜 맛은 걱정할 필요가 없지만 무언가 잘못되었다는 신호이므로 너무 오래 지속되면 의사와 상담하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Martinucci I, et al. (2014). Esophageal motility abnormalities in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World J Gastrointest Pharmacol Ther. 2014; 5(2): 86-96.
  • Pérez M, Cosetti L, Crestanello J. Candidiasis Bucal. (2004). Actas Odontológicas. 1(1): 53-62.
  • Pisano M, Hilas O., (2016). Zinc and Taste Disturbances in Older Adults: A Review of the Literature. Consult Pharm. 2016; 31(5): 267-70.
  • Rehwaldt M, et al. (2009). Self-care strategies to cope with taste changes after chemotherapy. Oncol Nurs Forum. 2009; 36(2): 47-56.
  • Roohani N, Hurrell R, Kelishadi R, Schulin R. (2013). Zinc and its importance for human health: An integrative review. J Res Med Sci. 2013; 18(2): 144-57.
  • Sapir E, Samuels  S, Feng F, Vineberg K, Eisbruch A., (2016). Predictors of dysgeusia in patients treated with chemoradiation for head and neck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Radiation Oncology, Biology, Physics. 2016; 94(4): doi.org/10.1016/j.ijrobp.2015.12.318.
  • Syed Q, Hendler K, Koncilja K., (2016). The Impact of Aging and Medical Status on Dysgeusia. Amer J Med. 2016;129(7): e1-e753. doi:10.1016/j.amjmed.2016.02.003.
  • Tondo, L. (2014). El tratamiento a largo plazo del trastorno bipolar. Psicodebate. 2014; 14(2): 83-100.
  • Villa A, Connell C, Abati S. (2015). Diagnosis and management of xerostomia and hyposalivation. Ther Clin Risk Manag. 2015; 11: 45-51.
  • Fernández Andrade, F., Escobar Barrios, M., Hernández Rosales, P., Mandujano González, A., Valdelamar Dehesa, A., Taniyama López, O., & Carrillo Esper, R. (2021). Transtornos del olfato y el gusto, de las bases a la práctica clínica. Revista de la Facultad de Medicina (México)64(2), 7-21. .https://doi.org/10.22201/fm.24484865e.2021.64.2.02
  • Jafari, A., Alaee, A., & Ghods, K. (2021). The etiologies and considerations of dysgeusia: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oral biosciences63(4), 319–326. https://pubmed.ncbi.nlm.nih.gov/34487857/
  • Thomas, D. C., Chablani, D., Parekh, S., Pichammal, R. C., Shanmugasundaram, K., & Pitchumani, P. K. (2022). Dysgeusia: A review in the context of COVID-19. Journal of the American Dental Association (1939)153(3), 251–264. https://pubmed.ncbi.nlm.nih.gov/34799014/
  • Mahmoud, M. M., Abuohashish, H. M., Khairy, D. A., Bugshan, A. S., Khan, A. M., & Moothedath, M. M. (2021). Pathogenesis of dysgeusia in COVID-19 patients: a scoping review. European review for medical and pharmacological sciences25(2), 1114–1134. https://pubmed.ncbi.nlm.nih.gov/33577069/
  • Cral, W., Michels, M., Lima, C., & Queluz, D. (2021). Dysgeusia and COVID-19: the Importance of the Dentist in the Diagnostic. International journal of odontostomatology15(1), 2-3. https://www.scielo.cl/scielo.php?pid=S0718-381X2021000100002&script=sci_arttext
  • Agencia para la Investigación y la Calidad de la Atención Sanitaria. (2006). La enfermedad de reflujo gastroesofágico o GERD (por sus siglas en inglés). En: Las Guías Sumarias de los Consumidores. Rockville (MD): Agencia para la Investigación y la Calidad de la Atención Médica (EE. UU.); 2006-. Disponible en: https://www.ncbi.nlm.nih.gov/books/NBK47462/
  • Bengel, W. (2010). Candidiasis orales. Parte 1: Cuadro clínico, epidemiología y etiología. the Quintessence, 23(10), 510-517.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3346418
  • Jafari, A., Alaee, A., & Ghods, K. (2021). The etiologies and considerations of dysgeusia: A review of literature. Journal of Oral Biosciences, 63(4), 319-326. https://www.sciencedirect.com/science/article/abs/pii/S1349007921001018?via%3Dihub
  • Douglass, R., & Heckman, G. (2010). Drug-related taste disturbance: a contributing factor in geriatric syndromes. Canadian family physician Medecin de famille canadien56(11), 1142–1147. https://www.ncbi.nlm.nih.gov/pmc/articles/PMC2980431/
  • Ponticelli, E., Clari, M., Frigerio, S., De Clemente, A., Bergese, I., Scavino, E., Bernardini, A., & Sacerdote, C. (2017). Dysgeusia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cancer patients receiving chemotherapy: A cross-sectional study. European journal of cancer care26(2), 10.1111/ecc.12633. https://pubmed.ncbi.nlm.nih.gov/28101929/
  • Howard, M. (2007). El cinc y los trastornos del gusto. Odovtos, Revista Internacional de Ciencias Dentales, 9, 7-13. https://www.redalyc.org/articulo.oa?id=499551912003
  • Cabrera, D., Ferrer, O., González, L., Cañadilla, L., & Tellería C, A. (2016). Manifestaciones bucales del síndrome de Sjögren. Presentación de un caso. Revista Médica Electrónica38(6), 877-886.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684-18242016000600009&lng=es&tlng=es.
  • Bosch, Á. D. G. (2007). Higiene bucodental: productos utilizados y recomendaciones básicas. Offarm: farmacia y sociedad, 26(10), 64-67.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5324581
  • González, M. (2006). Deshabituación tabáquica. Offarm: farmacia y sociedad, 25(4), 80-84. https://www.elsevier.es/es-revista-offarm-4-articulo-deshabituacion-tabaquica-13086791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