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먹지 말아야 할 7가지 식품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더 위험한 식품이 있다는 것을 알고 있는가?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먹지 말아야 할 7가지 식품

마지막 업데이트: 17 12월, 2018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섭취하면 위험한 몇 가지 식품이 있다. 이러한 식품들은 더 쉽게 부패가 되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박테리아 및 독소로 오염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음식을 섭취하기 전에는 먼저 제품의 정보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유통 기한이 지나면 절대 먹지 말아야 할 식품에 대해서도 알고 있어야 한다.

1. 연성 치즈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먹지 말아야 할 7가지 식품

유통 기한이 지나도 오랫동안 보관할 수 있는 경성 치즈(딱딱한 치즈)와 달리 연성 치즈(부드러운 치즈)의 성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치즈는 소화 장애 및 면역계에서 원하지 않는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와 같은 해로운 박테리아의 증식에 취약하다.

2. 다진 육류

육류를 섭취할 때는 엄격한 위생 및 안전 규칙을 유념해야 한다. 하지만 다진 육류는 대장균과 같은 해로운 박테리아의 오염에 더 쉽게 노출된다. 이러한 세균이 성장하는 데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여 증식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육류의 유통 기한이 지나면 다음과 같은 박테리아에 감염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 대장균
  • 살모넬라
  • 리스테리아 모노사이토제니스
  • 황색 포도상 구균

이와 같은 박테리아는 장관에서 위험한 독소를 분비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나면서 소화 과정에 영향을 미친다.

3. 신선한 베리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먹지 말아야 할 7가지 식품

베리가 부패되기 시작하면 원포자충(사이클로스포라)이라는 박테리아가 표면에서 성장하기 때문에, 다 익기 전에 냉동을 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박테리아에 감염이 되면 메스꺼움, 복부 팽창 및 경련과 같은 불편한 증상을 경험할 수 있다.

4. 소시지 및 가공육

가공육에는 화학 물질이 함유되어 있어 시간이 지나도 계속 신선한 상태처럼 보일 수 있다. 하지만 유통 기한이 지나면 부패가 시작되어 리스테리아 및 대장균과 같은 박테리아에 오염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

대개 제품을 개봉한 뒤 일주일 내로 섭취해야 한다.

5. 날달걀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먹지 말아야 할 7가지 식품

유통 기한이 지난 달걀 또는 날달걀을 잘못된 방식으로 사용하면 식중독이나 감염에 쉽게 걸릴 수 있다. 

물론 달걀은 우리가 꼭 섭취해야 하는 식품이지만 제대로 된 방식으로 안전하게 요리를 해야 한다. 또한 항상 유통 기한이 끝나기 전에 섭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달걀이 들어가는 다음과 같은 식품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유통 기한이 지난 달걀을 섭취하면 살모넬라 균으로 인한 장 감염이 나타날 수 있다.

6. 새우

새우는 유통 기한이 지나면 성분에 변화가 생긴다. 시간이 지나면서 해로운 박테리아 및 세균이 매우 쉽게 증식될 수 있다. 따라서 새우는 구매를 한 뒤 가능한 한 빨리 섭취해야 한다.

또한 교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다른 식품과 분리한 뒤 위생적인 환경에서 손질을 해야 한다. 

7. 닭고기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먹지 말아야 할 7가지 식품

닭고기는 신체에 아미노산 및 복합 탄수화물을 공급하는 데 가장 권장되는 육류 중 하나이다. 하지만 조리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박테리아가 없는 위생적인 환경에서 손질을 해야 한다.

제대로 해동을 하지 않거나 유통 기한이 지났을 때 섭취하면 대장균이나 살모넬라로 인한 심각한 장 감염이 생길 수 있다.

되도록 필요한 양만 구매하고 유통 기한이 지나기 전에 모두 먹도록 하자. 또한 해로운 세균에 오염되지 않도록 최적의 상태에서 손질과 보관을 해 보자.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García-Hernández, Ana Ma, et al. “Bacteriemias por Escherichia coli productor de betalactamasas de espectro extendido (BLEE): significación clínica y perspectivas actuales.” Revista española de quimioterapia 24.2 (2011).
  • Parra, Miguel, Johny Durango, and Salim Máttar. “Microbiología, patogénesis, epidemiología, clínica y diagnóstico de las infecciones producidas por Salmonella.” Revista MVZ Córdoba7.2 (2002): 187-200.
  • Rivero, Mariana A., et al. “Escherichia coli enterohemorrágica y síndrome urémico hemolítico en Argentina.” Medicina (Buenos Aires) 64.4 (2004): 352-356.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