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에서는 일과성 열감증에 도움이 되는 자연요법 5가지를 소개한다. 열감증은 심한 발한, 피부 발진, 및 심계항진을 동반하며 열이 나는 느낌이 특징이다. 폐경기에 들어선 여성들이 경험하는 호르몬의 변화와도 관련이 있지만 기후적인 요인과 질병이 원인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열감은 갑자기 발생하며 수 초에서 수 분간 지속되는데 수면을 방해하므로 일상생활에도 불편을 끼친다.
일과성 열감증에 의해 고통받는 사람들은 주기적 또는 산발적으로 증상을 경험한다. 다행스럽게도 이 증상을 통제하고 삶의 질을 향상하는 자연요법이 몇 가지 있다.
이제부터 일과성 열감증에 도움이 되는 자연요법 5가지를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일과성 열감증에 도움이 되는 자연요법 5가지
1. 린든꽃 차
린든 꽃잎은 한밤중의 열감증을 조절해주는 훌륭한 약재다. 린든 꽃잎에는 휴식을 취하게 하는 진정 성분이 있어서 열과 땀에 의한 수면 방해를 막아준다.
재료
- 마른 린든 꽃잎 1작은술(5g)
- 물 1잔(250mL)
만드는 방법
- 린든 꽃잎을 끓는 물에 넣는다.
- 뚜껑을 덮고 10분간 우려낸다.
마시는 방법
- 잠자리에 들기 전에 차를 한 잔 마신다.
2. 일과성 열감증에 좋은 쐐기풀과 세이지 차
쐐기풀과 세이지 차 조합은 갑작스러운 호르몬 변화로 인한 열감을 줄이는 데 적절하다. 두 재료의 활성 화합물은 호르몬 활성을 조절하고 수면 중 체온 상승의 가능성을 줄여준다.
재료
- 마른 쐐기풀 1작은술(5g)
- 세이지 1작은술(5g)
- 물 2컵(500mL)
만드는 방법
- 모든 재료를 물에 넣고 끓인다.
- 물이 끓으면 불을 끄고 상온에 놔둔다.
- 마실 만큼 충분히 식으면 따라낸다.
마시는 방법
- 아침에 한잔을 마시고 오후에 한잔 더 마신다.
*주의: 고혈압이나 신부전 환자라면 이 치료법은 피하도록 하자.
3. 알팔파 씨와 레몬 차
알팔파 씨에는 여성의 에스트로겐 수치 감소를 완화하는 활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열감을 예방하는 보조제로 사용될 수 있다.
재료
- 알팔파 씨앗 2큰술(30g)
- 물 1잔(250mL)
- 레몬즙 1작은술(5mL)
만드는 방법
- 알팔파 씨앗을 물 한 컵에 넣고 끓인다.
- 끓기 시작하면 15분 동안 우려낸다.
- 물을 따라내고 레몬즙을 넣는다.
마시는 방법
- 이 차를 오후 또는 저녁 식사 후에 마신다.
4. 일과성 열감증에 좋은 다미아나 차
다미아나는 활력을 공급하는 약용 식물로 인기가 있으며 폐경의 주요 증상에 대한 효과적인 치료제이기도 하다.
다미아나 차는 밤에 발생하는 열감의 빈도를 감소하여 수면의 질을 향상한다.
재료
- 마른 다미아나 1큰술(15g)
- 물 1잔(250mL)
만드는 방법
- 끓는 물 한잔에 다미아나 1큰술을 넣는다.
- 뚜껑을 덮고 10분간 우려낸 후 따라낸다.
마시는 방법
- 이 차를 열감이 멈출 때까지 매일 밤 한잔씩 마신다.
*주의:이 치료는 신경 불균형, 신장 또는 심혈관 문제가 있는 사람들에게는 해롭다. 약을 먹고 있다면 의사와 상담하는 것이 가장 좋다.
더 읽어보기: 폐경이 심장 건강에 미치는 영향
5. 카밀러, 야로우, 등자 차
이 식물들의 조합은 우선 호르몬 변화 부작용을 완화하는 데 적당하며 신경계 활동 등을 진정하게 하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재료
- 물 2잔(500mL)
- 카밀러 1/2큰술(7g)
- 야로우 1작은술(5g)
- 등자 1작은술(5g)
만드는 방법
- 물을 데운다.
- 물이 끓으면 불을 끄고 식물들을 넣는다.
- 뚜껑을 덮고 10분 동안 우려낸 후 물을 따라낸다.
마시는 방법
- 이 차를 오후에 한잔, 잠자리에 들기 전에 한 잔 마신다.
또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유지하고 편안한 옷을 입는 것이 증상을 조절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당신이 느끼기에 가장 적당한 치료법을 선택하고 그 성분을 잘 활용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Freeman, E. W., Sammel, M. D., Lin, H., Gracia, C. R., Kapoor, S., & Ferdousi, T. (2005). The role of anxiety and hormonal changes in menopausal hot flashes. Menopause. https://doi.org/10.1097/01.GME.0000142440.49698.B7
- Ee, C., Xue, C., Chondros, P., Myers, S. P., French, S. D., Teede, H., & Pirotta, M. (2016). Acupuncture for menopausal hot flashes. Annals of Internal Medicine. https://doi.org/10.7326/M15-1380
- Hanisch, L. J., Hantsoo, L., Freeman, E. W., Sullivan, G. M., & Coyne, J. C. (2008). Hot Flashes and Panic Attacks: A Comparison of Symptomatology, Neurobiology, Treatment, and a Role for Cognition. Psychological Bulletin. https://doi.org/10.1037/0033-2909.134.2.247
- Imai, A., Matsunami, K., Takagi, H., & Ichigo, S. (2013). New generation nonhormonal management for hot flashes. Gynecological Endocrinology. https://doi.org/10.3109/09513590.2012.705380
- Lee, Hye Won PhDa; Choi, Jiae MBAb; Lee, YoungJoo PhDc; Kil, Ki-Jung KMD, PhDd; Lee, Myeong Soo PhDb,e,* Ginseng for managing menopausal woman’s health, Medicine: September 2016 – Volume 95 – Issue 38 – p e4914 doi: 10.1097/MD.0000000000004914
- Mirabi, P., & Mojab, F. (2013). The effects of valerian root on hot flashes in menopausal women. Iran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 IJPR, 12(1), 217–222.
-
De Leo V, Lanzetta D, Cazzavacca R, Morgante G. Trattamento dei disturbi neurovegetativi della donna in menopausa con un preparato fitoterapico [Treatment of neurovegetative menopausal symptoms with a phytotherapeutic agent]. Minerva Ginecol. 1998;50(5):207-211.
- Nahidi, F., Zare, E., Mojab, F., & Alavi-Majd, H. (2012). Effects of licorice on relief and recurrence of menopausal hot flashes. Iranian journal of pharmaceutical research : IJPR, 11(2), 541–5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