섬유근육통은 만성 질환으로 세계 수천명의 사람들이 이 병으로 고생한다. 많은 경우 이 질병이 있는 사람들에게 딱히 이렇다할만 한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 하지만 삶의 질은 급속도로 떨어진다. 섬유근육통에 관해 알아두는게 좋은 이유가 여기있다.
이 질병의 증상은 근육, 관절, 뼈가 아프거나 만성피로가 생기는 것, 소화나 감정적인 문제가 생기는 것이다.
이 병에 관해 제일 걱정스러운 점은 통증이 있어도 겉으로는 멀쩡해보인다는 것이다. 이 병으로 인한 증상임을 알아야 치료법도 알 수 있기 때문에 이 질병에 대해 알아두는게 좋을 듯하다.
이해를 돕기위해 여러가지 관련 자료를 소개하려고 한다.
아래의 글을 읽어보자.
섬유근육통이 있으면 몸에 어떤 일이 일어날까?
이 질병에 걸린 사람들은 처음에 증상이 나타나는 양상 때문에 처음에는 이해하기 어려운 증상들이 생긴다. 사실 겉으로는 멀쩡해보이기 때문에 깨병을 부리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수도 있다.
감각 신경이 뇌로 통증 신호를 보내면서 통증이 생기기 시작한다. 결과적으로 추위와 뜨거운 자극, 스트레스에 의해 통증이 유발된다.
통증이 몸에 바로나타나는게 아니라, 뇌에서 나타나는 것이다.
더 읽어보기 : 섬유근육통 증상을 완화하는 약초들
섬유근육통의 증상
복잡한데다 다른 증상과 비슷해서 섬유근육통이 있는지 진단하는게 어렵다.
하지만 제일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근육, 관절, 뼈 통증
- 피곤한 것
- 결장이 예민해지는 것
- 불안이나 우울증
- 통증에 과민하게 반응하는 것
- 두통과 편두통
- 집중력과 기억력 저하
- 손, 발에 감각이 없어지는 것
섬유근육통의 원인
섬유근육통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하지만 섬유근육통과 관련된 요인들은 있다.
- 유전
- 감정적인 트라우마
- 수면 장애
- 만성적으로 스트레스를 받는 것
- 정제 설탕 같은 것에 함유된 산화제를 과하게 섭취한 것
- 자가면역질환
- 류머티스성 관절염
섬유근육통이 잘 생길수 있는 사람은 누구일까?
성별이나 나이에 관계없이 섬유근육통이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이 병이 제일 많이 걸리는 사람은 여성, 특히 45세 이상의 여성이라는 것은 밝혀진바 있다. 또 난치성 전신질환인 루푸스나 관절염 같은 병이 있다면, 이 병에 걸릴 위험은 커진다.
이 병으로 인식 문제가 생길 수도 있을까?
신체적으로 아픈 것 뿐만 아니라 기억력이나 집중하기 어려워지는 인지 능력에도 문제가 생긴다.
파이브로넥틴으로 알려져 있는데, 환자들이 방향 감각을 잃거나 중요한 것을 잃어버리는 이유가 여기있다.
스트레스를 줄이는게 왜 중요한가?
계속 스트레스를 받으면 섬유근육통에 걸릴 위험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병으로 인한 증상의 강도가 더 심해진다.
스트레스를 받는 환자들은 통증을 더 많이 느끼고, 더 피곤해하며 설명할 수 없는 불편을 경험한다.
더 읽어보기 : 스트레스와 피로를 줄이기 위한 10계명
치료할 수 있을까?
섬유근육통 치료법이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여러가지 질병을 포함하는 만성적인 문제이다.
이 증상은 다른 증상과도 비슷해서 진단이 정확하지 않을 때가 많다. 그리고 보통 약물 요법으로 치료한다.
또 섬유근육통이 있는 사람들은 몸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를 배우기 위해 심리치료를 받는 것도 방법이다.
약은 통증은 완화 시켜준다. 진통제, 진경제, 진정제, 항우울제가 들어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통증은 다시 생기기 마련이다.
이 질병을 치료하기 위해 중요한 것은 무엇일까?
약을 먹으면 통증이 좀 완화되긴 하지만, 환자는 생활 습관을 바꿔야 한다. 균형맞고, 영양분이 풍부한 음식으로 식사해야 뼈, 관절, 근육을 튼튼하게 할 수 있다.
또 무리가 가지 않는 운동을 하는게 좋다. 물리치료사나 코치의 도움을 받자.
마지막으로, 질병의 각 단계를 잘 이겨내기 위해서는 심리적으로 지원받는 것도 중요하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Ayuso, D., et al. “Impacto de la fibromialgia en las actividades de la vida diaria.” Revista asturiana de Terapia Ocupacional 3 (2006): 4-10.
- Rivera, J., et al. “Documento de consenso de la Sociedad Española de Reumatología sobre la fibromialgia.” Reumatología clínica 2 (2006): S55-S66.
- Ubago, M., et al. “Características clínicas y psicosociales de personas con fibromialgia: Repercusión del diagnóstico sobre sus actividades.” Revista Española de Salud Pública 79.6 (2005): 683-6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