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에 갔다 왔는데 돌아서서 또 화장실에 많이 가게 되는 날, 아마 누구나 이런 일을 가끔 경험할 것이다. 방광을 비우고 돌아섰는데 또 화장실에 가고 싶어지는 것, 도대체 이유가 뭘까? 또 다른 건강상의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닌지 알아봐야 하는 것이 아닐까? 이 글에서는 과민성 방광 증후군은 왜 발병하며, 치료법은 무엇인지 알아보자.
소변을 자주 보는 것, 그 원인은 무엇일까
과민성 방광 증후군은 흔한 질병으로 여성들이 더 많이 경험하는 질병이다. 보통 평소보다 뭔가를 많이 마시면 소변을 더 자주 본다. 이것은 지극히 정상적인 반응인데, 신장은 독소를 배출시키는 기능을 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특별히 많이 마시지도 않았는데 계속 화장실에 갈 때가 있다.
잠을 자다 소변 때문에 자주 깨는 것을 야간 빈뇨라고 한다. 이것은 여성들보다 남성들이 더 자주 경험한다. 특히 어떤 나이가 되어 전립선에 문제가 생기기 시작할 때 그렇다. 여성의 경우, 과민성 방광 증후군은 다음의 원인으로 발병한다.
더 읽어보기: 소변 색은 건강 상태를 알려준다
1. 에너지 음료
의외라고 느낄 수도 있겠지만 커피나 소다, 에너지 음료 같은 카페인이 함유된 음료가 그 원인일 수도 있다. 이런 음료를 많이 마시는 것은 건강한 것이 아니다. 소변량은 신체의 전해액의 균형에 따라 달라진다. 오랫동안 에너지 음료를 많이 마신다면 신장에 불균형이 생길 수 있다. 음료를 많이 마시지 않는 것으로 질병의 위험을 피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이다.
2. 당뇨병
당뇨병에 걸리면 여러 가지 증상이 나타나는데 소변을 자주 보는 것도 그중 하나이다. 탈수될 수 있고 칼륨 수치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다. 또 당뇨병은 갑자기 살이 빠진다거나 만성 피로, 졸림, 기절 등의 증상과도 연관이 있다. 소변을 자주 보는 것은 인슐린 생성이 잘 안 되어 그런 것이고, 혈당이 초과하게 되면 소변으로 나가는 것이다. 이런 것들로 인해 목이 마르는 증상이 생기고 이것이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원인이 된다.
3. 특정한 약 복용
가끔 어떤 약으로 인해 방광에 변화가 생길 수 있고 소변을 더 자주 보는 것으로 나타난다. 로라제팜 같은 약이 해당한다. 어떤 약을 먹을 때 부작용을 꼭 읽어보고 치료받는 동안 몸에 어떤 변화가 있는지 잘 경험해보자.
4. 스트레스
살아가면서 불안과 스트레스를 피할 수는 없고, 이로 인해 위장 문제, 장 문제, 신경과민, 현기증 설사 등의 증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과민성 방광 증후군은 불안을 느끼는 시기에 생기는 것도 일반적인 사실이다. 이럴 때 의사와 상담하고 늘 물을 가지고 다닌다. 소변을 보러 화장실을 다녀오면 물을 마셔 탈수되지 않게 한다.
5. 감염
요로 감염도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일반적인 원인이다. 요도나 방광, 신장 세포나 외음부, 질 감염으로 이런 불편한 상황을 경험해야 할 수도 있다. 호르몬 변화나 박테리아, 면역력이 낮은 것도 원인이 된다. 이런 것들이 제일 일반적인 주범이다. 의사에게 어떤 것을 경험하는지 자세히 설명해서 의사가 어떤 원인인지 확인한 후 그에 맞는 처방을 할 수 있도록 하자. 하지만 집에서 할 수 있는 방법도 있으니 아래의 글을 읽어보자.
더 읽어보기: 신장과 방광을 보호하는 식품 7가지
과민성 방광 증후군 치료
자주 소변보는 것은 어떤 질병이나 다른 건강 문제로 인한 것일 수 있음을 꼭 기억하자. 제일 먼저, 무엇이 원인인지 알아봐야 한다. 스트레스? 아니면 감염? 의사의 처방에 따르는 것이 제일 좋고, 다음의 간단한 방법들도 참고해보자.
1. 식단을 바꾼다: 식초, 강한 향신료, 커피, 고추, 육류, 초콜릿, 우유, 정제 밀가루나 설탕 섭취를 자제한다. 대신 채소를 많이 먹는다.
2. 아침에 쇠뜨기 차를 마시거나 레몬주스를 마신다.
3. 매일 밤 마늘 한 쪽을 따뜻한 물 한 잔과 함께 먹는다. 이것 자체로 좋은 항생제가 된다.
4. 생강차는 항염증제로 역할을 하며 확실히 효과가 있을 것이다.
5. 물을 많이 마신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Feldman, A. S., & Bauer, S. B. (2006).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ysfunctional voiding. Current Opinion in Pediatrics. https://doi.org/10.1097/01.mop.0000193289.64151.49
- Miyazato, M., Yoshimura, N., & Chancellor, M. B. (2013). The Other Bladder Syndrome: Underactive Bladder. Rev Urol. https://doi.org/10.3909/riu0558
- Possover, M., & Forman, A. (2012). Voiding Dysfunction Associated with Pudendal Nerve Entrapment. Current Bladder Dysfunction Reports. https://doi.org/10.1007/s11884-012-0156-5
- Martinez Lopez, R. La infección de orina o cistit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