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물의 안정성에 변화를 일으키는 요인은 다양하다. 그중 감광성 약물은 자연광이나 인공 빛이 닿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많은 성분이 변하고 약의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
제약업계에서는 빛이 투과하지 않도록 감광성 약을 불투명한 포장지에 담아 판매한다. 예를 들어 주사로 맞을 수 있는 감광성 약물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황색 유리병의 형태로 구할 수 있다.
감광성 약물은 사용할 때까지 기존의 약통에 보관하는 것이 중요하다. 기존의 약통에서 꺼내야 한다면 빛이 투과되지 않는 알루미늄 포일이나 불투명한 종이로 감싸야 한다.
감광성 약물에 대한 연구
감광성 약물에 관해서는 병원에서 내부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먼저 실험실에서 약물에 관한 감광성 연구를 수행하고 기술 자료에 연구 결과를 기록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렇게 하면 믿을 만한 정보를 쉽게 찾을 수 있다. 감광성 약물에 대한 모든 정보를 파악하는 것은 약품 안정성에 중요한 부분이므로, 법률 체계에서 이를 요구해야 한다.
감광성 약물은 어떻게 빛으로부터 보호해야 할까?
약의 종류에 따라 빛 보호 조치가 다를 수 있다.
흡입, 국소, 눈, 귀로 투여하는 약물이나 액상 약물과 같이 비경구적으로 사용하는 약품은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 빛에 민감하지 않거나 감광성 활성 성분이 들어 있지 않거나 감광성 자료가 없는 약. 이러한 약물은 빛을 차단하는 기본 포장지로 보호한다.
- 기본 포장지로 보호되지 않는 감광성 활성 성분을 포함한 약.
- 자료 부족으로 PL 필터나 ND 필터가 필요한 약. 이러한 약은 감광성에 관한 자료가 충분하지 않으며, 포장지로 보호되지 않는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한편 경구용 고체 알약에 대한 빛 보호 조치는 다음과 같이 분류할 수 있다.
- 빛 보호가 필요하지 않은 약.
- 불투명 소재(PLR)로 재포장하여 빛으로부터 보호해야 하는 약. 이러한 약물은 감광성 활성 성분을 포함하고 있거나, 감광성에 대한 정보가 없다. 기본 포장지로 빛을 완전히 차단하지 못하는 약도 마찬가지다.
더 읽어보기: 일부 약물이 두통을 유발하는 이유
감광성 약물과 광민감성 약물의 차이점
감광성 약물은 자연광이나 인공광이든 빛과 접촉하면 성질이 변할 수 있는 약이다.
감광성 약물과 광민감성 약물을 구별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광민감성 약물은 자외선과 결합하면 피부에 부작용을 일으키는 새로운 분자를 형성하는 약이다.
정상적인 조건에서 햇볕을 쬐면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지만, 광민감성 약물을 먹고 나서 자외선에 노출되면 피부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전문가가 아니라면 이러한 부작용을 잘 모를 수 있으니, 의사와 약사가 환자에게 적절한 사용법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모유 수유를 할 때 복용 가능한 약물
마무리: 감광성 약물은 어떤 약일까?
아직 관련 정보가 충분한 것이 아니므로, 감광성에 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무엇보다 약을 제대로 보관하면 일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끝으로 감광성 약물과 광민감성 약물이 같은 약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자. 감광성 약은 빛에 의해 성질이 변하는 약이지만, 광민감성 약은 자외선에 반응하여 피부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Sánchez, I., Nájera, M. D., Espuny, A., & Titos, J. C. (2011). Revisión de la estabilidad de los medicamentos fotosensibles. Farmacia Hospitalaria. https://doi.org/10.1016/j.farma.2010.05.005
- Elcuaz, S. (2012). Medicamentos Fotosensibles. Alcázar de San Juan.
- Photosensibility reaction with vandetanib. (2010).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Dermatology. https://doi.org/10.1016/j.jaad.2009.11.4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