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두드러기의 유형 및 특징

만성 두드러기는 6주 이상 나타나는 두드러기와 가려움증이 특징인 병리이다. 원인을 알아내려는 노력에도 불구하고,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만성 두드러기의 유형 및 특징

마지막 업데이트: 06 11월, 2020

지금부터 만성 두드러기의 유형과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만성 두드러기는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 피부 병변의 출현이 특징인 피부 질환이다. 문제가 생긴 부위에는 일반적으로 발진과 심한 가려움증이 발생한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20%가 살면서 한 번쯤 이 문제를 경험한 적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두드러기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려면 그 원인을 잘 알아두는 것이 필수적이다. 이는 주로 높은 유병률과 임상 양상, 유형, 역학의 불편함 때문이다. 오늘의 글에서는 두드러기의 만성 유형을 중점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질병의 맥락과 빈도

질병의 특이성을 다루기 전에 먼저 시간이 지나면서 나타나는 발현 역학을 알아야 한다. 실제로 이는 치료 및 격리를 계획하는 데 필요한 첫 번째 단계 중 하나이다.

<Revista Médica de Buenos Aires> 학술지의 논문은 두드러기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을 제공한다.

  • 추정에 따르면 전 세계 인구의 15~20%가 살면서 한 번쯤 두드러기를 앓는다.
  • 만성 두드러기의 유병률은 약 1%이다. 즉, 모든 인구 핵에서 100명당 1명꼴로 이 문제를 경험한다.
  • 45%의 사례가 독립된 사례로 나타나며, 나머지 55%는 피부가 부어오르는 혈관 부종을 동반한다.

이 시점에서 두드러기의 유형에 두 가지 차이가 있다는 점에 유의하자. 증상이 6주까지 이어지면 급성 두드러기이며, 6주 이상이면 만성 두드러기이다. 이상하게 보일 수 있지만, 80% 사례의 원인에 관해서는 정보가 많지 않다.

만성 두드러기의 유형 및 특징

만성 두드러기는 6주를 넘어 평생 이어진다.

만성 두드러기의 유형

두드러기는 표면적인 특성으로 인해, 신체에 무해한 질환으로 보일 수 있다. 하지만 다양한 유형의 만성 두드러기가 환자의 삶의 질을 크게 떨어뜨릴 수 있다. 임상 연구는 만성 두드러기의 영향을 일부 심장 질환과 동일시한다.

<Asociación de Afectados por la Urticaria Crónica (AAUC)>에 따르면, 다양한 원인은 주로 다음과 같은 과정과 관련이 있다.

  • 자가 면역 반응
  • 일부 약에 대한 불내증 및 과민증
  • 전염성 과정
  • 음식 알레르기

만성 두드러기의 범주나 유형에 대한 공식적인 분류는 없으며, 국제 의료 기관에서 이를 확인했다. 하지만 원인 인자에 따라 분류할 수 있으며, 가장 일반적인 원인 3가지는 다음과 같다.

자가 면역 반응

피부과 연구에서는 이를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강조한다. 추정에 따르면, 사례의 45%가 자가 면역 반응으로 인해 발생하기 때문이다. 신체 자체가 피부 세포를 활성화하여 히스타민(면역계에 관여하는 화합물)을 방출하면서 두드러기가 발생한다.

그렇기는 해도, 다른 의학 보고서는 이 메커니즘의 전반적인 무지를 강조한다. 면역계의 매개 항체를 활성화하는 유발 요인이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사례의 약 15%는 자가 면역성 갑상샘염과 같은 갑상샘과 관련된 질환이 있다.

감염으로 인한 만성 두드러기

일부 전염성 과정과 바이러스 인자, 박테리아 및 균은 만성 두드러기의 발병을 촉진할 수 있다.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A형 간염 바이러스 및 B형 간염 바이러스
  • 연쇄상 구균 침입
  • 결핵균 (전 세계 대부분의 결핵 사례를 유발하는 박테리아)
  • 단순 포진 바이러스

인간의 위장 상피에 서식하는 균인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 사례를 특별히 언급해 보려고 한다.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감염은 이러한 병리 과정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Allergologia et Immunopathologia> 학술지의 연구에 따르면, 연구에 참여한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71%가 소화계에서 헬리코박터 파일로리를 발견했다.

하지만 추적 관찰된 21명의 환자 중 3명만이 박테리아가 위장관에서 제거되었을 때 상당한 호전을 보였다. 따라서 두 요인 간의 분명한 상관관계는 여전히 의문점으로 남아 있다.

약물 관련

과학계의 다양한 분석 연구에서는 약물 사용과 만성 두드러기 발병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다. 만성 두드러기는 아스피린 및 기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NSAID)와 같은 약 복용으로 심해질 수 있다.

다양한 만성 두드러기의 치료

2015년 <ScienceDirect>에 게재된 보고서에는 만성 두드러기에 가장 효과적인 일부 치료법이 포함되어 있다. 그중 가장 관련성이 높은 치료는 다음과 같다.

  • 디펜히드라민과 같은 1세대 항히스타민제
  • 아크리바스틴
  • 세티리진 및 로라타딘 (졸음과 관련된 부작용이 적은 2세대 의약품)
  • 다양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짧거나 긴 시간 동안 체내에 남아 있는 반감기가 짧거나 긴 약을 선택할 수 있다)

이러한 약은 대부분 면역계의 반응을 조절하여 염증 반응을 줄인다. 확인하기 어려운 질병의 근본 원인에 따라, 한 번에 한 가지 이상의 약이 필요할 수도 있다.

만성 두드러기의 유형 및 특징

만성 두드러기는 가장 성가신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항히스타민제로 치료할 수 있다.

유의 사항

보다시피, 만성 두드러기는 오늘날까지 알려지지 않은 많은 열린 전선이 있는 병리이다. 정확한 원인과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아직 과학계에 의해 밝혀지지 않았다.

어쨌든 6주 이상 이어지는 피부 발진은 만성 두드러기의 임상 증상이라는 점을 알아 두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례에서 필수적인 치료를 시작하기 위해 지체 없이 의사와 상담을 해야 한다. 의사와 같은 전문가는 성가신 징후를 완화하기 위한 전반적인 조치를 권고하고 약을 처방할 수 있어야 한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Galassi, N., Riera, N., Rey, G., Bracco, M. M. E., & Malbran, A. (2003). Urticaria crónica: Evolución clínica, prueba del suero autologo, recuento y activación de basofilos. Medicina (Buenos Aires)63(1), 15-20.
  • Kaplan, A. P. (1979). Urticaria and angioedema. In Cellular, Molecular, and Clinical Aspects of Allergic Disorders (pp. 291-320). Springer, Boston, MA.
  • Aguilar-Hinojosa, N. K., Segura-Méndez, N. H., & Lugo-Reyes, S. O. (2012). Correlación de la gravedad de urticaria crónica y calidad de vida. Revista Alergia México59(4), 180-186.
  • Tipos de urticaria, AAUC. Recogido a 17 de julio en https://www.urticariacronica.org/la-urticaria-cronica/tipos-de-urticaria/.
  • Sánchez-Saldaña, L. (2012). Urticaria crónica. Dermatol Peru [Internet]23(2), 79.
  • Hinojosa, N. A., Méndez, N. S., & Hernández, L. D. R. (2011). Urticaria crónica autoinmune. Alergia, Asma e Inmunología Pediátricas20(2), 82-87.
  • Moreira, A., Rodrigues, J., Delgado, L., Fonseca, J., & Vaz, M. (2003). Is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ssociated with chronic idiopathic urticaria?. Allergologia et Immunopathologia31(4), 209-214.
  • Curto-Barredo, L., Silvestre, J. F., & Giménez-Arnau, A. M. (2014). Actualización en el tratamiento de la urticaria crónica. Actas Dermo-Sifiliográficas105(5), 469-482.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