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마비의 유형

대부분 국가에서 조절되어 온 소아마비는 거의 과거의 일이 된 바이러스성 질환이다. 그렇기는 해도 소아마비의 유형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소아마비의 유형

마지막 업데이트: 06 11월, 2020

소아마비의 다양한 유형은 주로 사람의 신경계에 영향을 미치는 전염성 질환이다. 세계보건기구와 같은 국제적인 출처에 따르면, RNA와 단백질 캡시드로 구성된 바이러스성 물질인 폴리오 바이러스가 이 질환을 일으킨다.

다양한 연구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3가지의 (다른 종류) 혈청형을 구별했다. 이들은 1999년 인도에서 혈청형 PV-2의 마지막 사례를 발견했다. 따라서 이 질환을 완전히 퇴치했다고 생각한다. 그렇기는 하지만, 혈청형 PV-1 및 PV-3는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람들 사이로 퍼지고 있다. 둘 다 전염성이 매우 높고 마비성 소아마비를 유발한다.

소아마비와 분포

세계보건기구는 사람들이 전 세계 폴로 바이러스의 상황에 대해 이해할 수 있도록 수치를 보고했다. 그중 일부는 다음과 같다.

  • 소아마비 퇴치 캠페인이 시작된 198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35만 명 이상의 환자가 발견되었다.
  • 격리 및 백신 접종의 노력으로 인해, 2018년에는 전 세계적으로 18명의 환자만 보고되었다. 즉, 99%의 감소 수치이다.
  • 소아마비는 주로 만 5세 미만의 아동에게 영향을 미친다.

보다시피, 소아마비는 기본적으로 과거의 질환이다. 그렇기는 하더라도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전문가들은 바이러스가 마지막 근거지에서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10년 이내에 20만 명 이상의 새로운 환자가 발생할 수 있다고 추정한다.

소아마비의 유형

소아마비 백신은 기본적으로 바이러스를 퇴치했으므로 성공적이었다.

소아마비의 유형

임상 연구는 다음과 같은 4가지의 주된 소아마비 유형이 있다고 강조한다.

  1. 무증상 또는 잠재성 소아마비: 전 세계 사례의 약 90%를 차지한다.
  2. 경미한 비중추신경계 질환: 사례의 최대 9%를 차지한다. 발열, 전신 권태감, 메스꺼움, 구토, 설사, 변비를 유발한다.
  3. 비마비성 무균 수막염: 사례의 1~2%를 차지한다.
  4. 마비성 소아마비: 사례의 1% 미만이다.

처음 소개한 두 유형은 발달 과정에서 양성이므로, 오늘은 비마비성 무균 수막염과 마비성 소아마비를 집중적으로 알아보려고 한다. 아래에서 두 병리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것을 설명한다.

비마비성 무균 수막염

과학 연구에 따르면, 무균 수막염은 중추 신경계의 수막에 영향을 미쳐 부어오르게 하는 감염성 과정이다. 다음과 같은 증상을 유발한다.

  • 발열
  • 두통 및 뻣뻣한 목
  • 전신 권태감
  • 근육통
  • 식욕 감퇴 및 구토

다른 서지 자료에 따르면, 바이러스성 무균 수막염(예를 들면 폴리오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질환)은 좋은 예후를 보인다. 폴리오 바이러스만이 원인인 것은 아니다. 실제로 장내 바이러스, 헤르페스 바이러스 또는 HIV도 원인이 될 수 있다.

바이러스성 무균 수막염은 양성 질환이지만, 입원과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다. ‘항생제’가 필요한 이유는 비록 바이러스로 인한 질환이지만, 의료 전문가는 가장 큰 영향을 받은 환자에게 훨씬 더 위험한 세균성 수막염에 대한 예방 조치로 즉시 치료를 시작하기 때문이다.

마비성 소아마비

소아마비의 가장 심각한 징후이다. 앞서 인용한 자료에 따르면, 200명의 환자 중 1명꼴로 되돌릴 수 없는 마비를 앓게 되며 그중 최대 10%가 근육 호흡기 질환으로 사망한다.

매우 공격적인 증상이 나타나므로, 이처럼 심각한 변이를 알아보기란 어렵지 않다. 서지 자료는 감염 5일 후 극심한 근육통과 제한적인 근육 경련과 같은 과정이 발생한다고 보고한다. 이러한 문제는 결국 만성 사지 쇠약으로 이어진다. 마비는 일반적으로 감염 1주 이내에 최정점에 달한다.

급성기의 사망률은 5~20%이다. 무엇보다 나쁜 점은 문제가 생기고 나면 이를 낫게 할 치료법이 없다는 것이다. 그렇기는 해도 이러한 고비 단계를 지나고 나면 마비가 대개 수년에 걸쳐 호전된다.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남아 있는 뉴런의 신경 재분포 과정이 있기 때문이다.

문제가 생긴 부위에 따라, 다음과 같은 3가지 유형의 마비성 소아마비가 있다.

  • 척추
  • 구척추
  • 구형

이처럼 심각한 문제에서 살아남은 환자의 50%는 평생 신체 쇠약을 경험하며, 어릴 때 소아마비의 병력이 있는 환자의 20~85%는 소아마비후증후군을 앓게 될 수 있다. 이는 기능적 능력을 제한하는 점진적 근육 위축을 유발한다.

소아마비의 유형

마비는 소아마비의 심각한 결과이며, 뉴런의 신경 재분포 과정으로 인해 환자가 미래에 회복할 수 있다.

기억해야 할 점

지금까지 설명했듯이, 소아마비는 전 세계 대부분의 지역에서 조절되는 질환이다. 또한 사례의 90%가 무증상이므로, 현재 임상 양상이 폴리오 바이러스와 관련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

한편 매우 효과적인 경구 투약 및 정맥 주사를 통한 소아마비 백신이 있으며, 3회 투여 후 99%의 효과를 보인다. 따라서 이를 퇴치하려는 전 세계적인 노력이 계속된다면 소아마비는 머지않아 완전한 역사 속으로 사라질 것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Poliomielitis, WHO. Recogido a 31 de julio en https://www.who.int/topics/poliomyelitis/virus-vaccines/es/
  • Troy, S. B., Ferreyra-Reyes, L., Huang, C., Sarnquist, C., Canizales-Quintero, S., Nelson, C., … & Maldonado, Y. A. (2014). Community circulation patterns of oral polio vaccine serotypes 1, 2, and 3 after Mexican national immunization weeks. The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209(11), 1693-1699.
  • Poliomielitis (epidemiología), WHO. Recogido a 31 de julio en https://www.who.int/es/news-room/fact-sheets/detail/poliomielitis
  • Razavi, S. M., Mardani, M., & Salamati, P. (2016). Eradication of Polio in the World; Iran is at Risk for Reemerging of Polio: A Review of the Literature. Archives of Clinical Infectious Diseases11(4), e36867.
  • Oteo, J. A. (2012). Meningitis aséptica aguda muchas causas a considerar. Enfermedades Infecciosas y Microbiología Clínica30(7), 359-360.
  • Florén-Zabala, L., Chamizo-López, F. J., Eisman-Maraver, A., Pérez-González, C., de Ory-Marchón, F., Trallero-Maso, G., … & Pena-López, M. J. (2012). Meningitis aséptica en la población adulta. Etiología y utilidad de las técnicas moleculares en el manejo clínico del paciente. Enfermedades Infecciosas y Microbiología Clínica30(7), 361-366.
  • Esteban, J. (2013). Poliomielitis paralítica. Nuevos problemas: el síndrome postpolio. Revista Española de Salud Pública87, 517-522.
  • Manzanares, MD García, et al. “Tratamiento rehabilitador en el adulto con secuelas de poliomielitis.” Rehabilitación 39.1 (2005): 8-12.
  • Sánchez, Juan Antonio Rodríguez, and Inés Guerra Santos. “La” rara” secuela de una epidemia: el caso del síndrome Post-Polio.” Enfermedades raras: Contribuciones a la investigación social y biomédica. CEASGA, 2019.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