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인체

총단백 검사의 진행 방식

총단백 검사는 간, 신장, 면역계 문제를 확인하는 첫 번째 접근 방식이다. 또한 검사 결과를 보면 영양 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총단백 검사의 진행 방식

혈청 총단백 검사라고도 할 수 있는 총단백 검사는 간 또는 신장 이상, 자가 면역 질환, 영양실조가 의심되는 사람에게 권장하는 방법이다. 지금부터 총단백 검사의 진행 방식을 알아보자.

총단백 검사는 기본 대사 패널에 포함된 정기 검진의 일부로 진행할 수도 있다. 또한 원인을 알 수 없는 피로감, 부종 또는 위장 문제와 골수 장애를 의미하는 증상을 보일 때도 도움이 된다.

총단백 검사는 혈액 내 단백질의 양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대부분 실험실에서는 총단백질 값, 알부민과 글로불린으로 분획된 단백질,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을 확인한다.

측정되는 단백질

단백질은 신체 기능에 매우 중요한 구조로, 모든 세포, 기관, 조직의 일부다. 단백질은 효소, 물질 운반체,보체, 항체 또는 면역 글로불린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발견된다.

혈장 단백질은 주로 간에서 합성되지만, 면역 글로불린은 결절, 골수, 비장 림프 세포에 의해 합성된다.

혈장에는 알부민과 글로불린이라는 두 종류의 단백질이 순환한다.

알부민은 전체 단백질의 약 60%를 차지하며, 간에서 생성된다. 이는 콜로이드 삼투압을 유지하여 혈관에서 간질로 체액이 흘러 들어가는 것을 막아 준다. 또한 호르몬, 비타민, 칼슘과 같은 미네랄을 운반하는 역할을 한다.

글로불린은 혈액 내 전체 단백질의 나머지 40%를 구성하고 있다. 일부는 간에서 생성되지만, 다른 일부는 림프샘, 비장, 골수를 포함한 면역계에서 생성된다. 글로불린은 물질을 운반하고 감염을 퇴치하는 역할을 한다.

더 읽어보기: 애쉬튼 커쳐의 시력과 청력에 영향을 미친 혈관염

총단백 검사의 진행 방식

총단백 검사의 진행 방식

총단백 검사를 위해서는 정맥혈을 채취해야 한다. 또한 다른 혈액 검사가 필요하지 않다면 사전에 금식과 같은 특별한 준비 단계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단백질은 소변, 흉수, 뇌척수액과 같은 다른 체액을 통해서도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총단백 검사에서는 알부민과 글로불린을 측정한다. 만약 결과에 이상이 있으면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면역 고정 검사) 및 정량적 면역 글로불린과 같은 추가 검사가 필요할 수 있다.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은 다양한 글로불린 그룹을 측정한다. 이동 방법에 따라 그룹화하며, 알파, 감마, 베타로 분류할 수 있다.

검사 결과 해석

검사 결과는 나이에 따라 다를 수 있다. 3세 이상이라면 다음과 같은 수치를 정상으로 간주한다.

  • 총단백질: 데시리터당 6~8g
  • 알부민: 데시리터당 3.5~5.2g
  • 글로불린: 데시리터당 2~4g

낮은 단백질 수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와 관련이 있다.

  • 영양실조
  • 면역 억제
  • 백혈병과 같은 혈액학적 질환
  • 셀리악병 및 염증성 장 질환과 같은 장 흡수 장애
  • 신장 질환: 사구체신염이나 신증후군이 있으면 소변에 단백질이 섞여 나올 수 있다.
  • 심각한 간 질환: 간경변이나 간부전 환자는 단백질을 제대로 생성하지 못한다.
  • 울혈성 심부전: 혈장 부피가 증가하여 희석에 의해 단백질 농도가 줄어든다.

한편 높은 단백질 수치와 관련된 요인은 다음과 같다.

  • 탈수증: 부족한 수분 섭취량, 구토, 설사로 인해 혈장 단백 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 루푸스, 류머티즘 관절염, 바이러스 간염과 같은 만성 염증성 질환
  • 다른 신체 기관과 조직에 단백질이 비정상적으로 쌓이는 아밀로이드증
  • 육아종병

총단백질 수치 외에, 알부민과 글로불린의 비율도 평가할 수 있다. 다발성 골수종에서 발견되는 낮은 수치는 글로불린 생성 증가와 관련이 있다. 한편 백혈병 환자의 높은 수치는 글로불린 생성 감소가 원인이다.

결과가 비정상적으로 나오면 특정 단백질 수치가 이상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추가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더 읽어보기: 소변 검사의 종류 및 진단

총단백 검사의 진행 방식

총단백 검사의 진행 방식: 고려해야 할 점

총단백 검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 격한 운동
  • 스트레스
  • 임신
  • 약물. 스테로이드, 에스트로겐, 경구 피임약은 단백질 수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

단백질 수치 저하는 심각한 영양실조의 징후일 수 있지만, 고단백 식단을 유지한다고 해서 혈중 총단백질 수치가 높아지는 것은 아니다.

검사를 위한 채혈은 5분 안에 끝나며, 위험도가 낮다. 하지만 지혈대를 지나치게 오래 사용하면 알부민 수치가 높아질 수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Brandan N, Llanos C, Barrios M, Escalante A, Ruíz D. Proteínas Plasmáticas. Universidad Nacional de Nordeste 2008. Disponible en http://med.unne.edu.ar/sitio/multimedia/imagenes/ckfinder/files/files/Carrera-Medicina/BIOQUIMICA/proteinas.pdf.
  • García J, Caicedo M. Proteinograma sérico en personas de 23 – 42 años en la ciudad de Cuenca–Ecuador 2009-2010. Universidad de Cuenca Facultad de Ciencias Médicas. Escuela de tecnología médica. ECUADOR 2010. Disponible en http://dspace.ucuenca.edu.ec/bistream/123456789/3819/1/TECL13.pdf.
  • Haldeman C, Foley M, Tuley R. Total Protein and A/G Ratio. University of Rochester Medical Center. Disponible en https://www.urmc.rochester.edu/encyclopedia/content.aspx?contenttypeid=167&contentid=total_protein_ag_ratio.
  • Killingsworth L. Plasma proteins in health and disease. Crit Rev Clin Lab Sci. 1979;11.
  • Quero A, Ángel I, Castillo F, Rafael, Gallegos R, Gómez J, Francisco J. Estudio de la albúmina sérica y del índice de masa corporal como marcadores nutricionales en pacientes en hemodiálisis. Nutrición Hospitalaria 2015;31(3). Disponible en https://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212-16112015000300043.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