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아우식증: 충치의 원인은 무엇일까?
치아우식증은 본질적으로 충치이다. 다양한 여러 가지 요인이 충치의 발병 원인이 된다. 그렇지만 주로 식단, 박테리아 및 타액 성분과 관련이 있다. 치아우식증이 생기면, 먼저 치아의 표면층인 에나멜이 손상된다. 그런 다음 치아의 가장 안쪽에 있는 치수에 도달할 때까지 서서히 진행된다.
충치의 원인은 대부분 주로 스트렙토코쿠스 무탄스와 같은 박테리아다. 이 박테리아는 치아의 에나멜에서 미네랄을 제거하여 충치를 유발할 수 있다.
충치의 원인
박테리아가 이 질병을 초래하는 유일한 원인은 아니다. 기타 위험 요소는 다음과 같다.
- 탄산음료 또는 산성 식품 등 섭취로 인한 낮은 구강 pH
- 설탕과 끈적한 음식이 많이 들어간 식단
- 부실한 구강 위생
- 낮은 타액 생성
- 양치를 어렵게 만드는 치아 밀집
- 형성 저하증과 같은 에나멜 이상 (얇고 손상된 에나멜)
- 치주 질환
더 읽어보기: 탄산음료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충치는 에나멜이 얇아지고 약해져 치아에 생기는 석회질 질감의 흰 반점으로 나타나기 시작한다. 미네랄이 계속해서 없어지면 상태가 악화되어 짙고 거무스름한 황색의 충치가 나타난다.
충치가 계속해서 악화되면서 치아가 갈라질 수도 있다. 충치가 상아질에 도달하면 치아는 차거나 뜨겁거나 단 음식에 매우 민감해진다. 이렇게 되면 치과에 가서 충전재를 넣어야 할 때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제때 치료를 받지 않으면 충치가 계속해서 진행되며 치아의 치수에 도달하면 극심한 통증이 발생한다. 이렇게 되면 안타깝게도 감염 또는 치성 농양이 치근에 형성될 수 있다. 충치가 이 단계에 도달하면 치근관 치료가 유일한 치료법이다.
충치 예방법
충치를 예방하는 가장 간단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플라크를 제거하는 제대로 된 구강 위생
적어도 하루에 2번씩 양치질을 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충치 예방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기계적인 칫솔질은 치아에 축적되어 나쁜 박테리아의 온상의 역할을 하는 플라크와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한다.
더 읽어보기: 치석, 자연적으로 없애는 방법
치과의사는 칫솔질을 제대로 하는 방법을 가르쳐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 환자의 개인적인 요구에 적합한 칫솔과 치약을 권장해 줄 수 있다.
2. 불소가 들어간 치약과 구강 세정제를 사용하자
불소가 첨가된 구강 세정제와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제품은 치아가 손실된 미네랄을 되찾고 에나멜을 강화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구강 세정제와 치약은 치아가 에나멜에 있는 미네랄을 부식시키는 박테리아에 더 잘 견딜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양치와 치실 사용을 더 자주하는 것 외에도, 충치 예방에 도움이 되는 다음과 같은 추가 조치를 취할 수 있다.
- 식단을 바꾸자: 설탕과 설탕이 들어간 음식 섭취를 줄이자.
- 적어도 일 년에 2회씩 치과에 방문하자.
- 어린이의 경우에는 치아 실란트를 사용하자.
충치가 있다고 생각되면 문제를 해결하고 더 이상 악화되는 것을 막기 위해 치과에 방문할 것을 적극 권장한다.
이 글에서 언급한 예방 조치가 일반적인 칫솔질을 대체해서는 절대 안 된다는 점을 명심해 두자. 칫솔질, 치실 사용 및 불소가 들어간 구강 세정제 사용은 충치 예방에 필수적인 습관이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Lamont, R. J., & Egland, P. G. (2014). Dental Caries. In Molecular Medical Microbiology: Second Edition. https://doi.org/10.1016/B978-0-12-397169-2.00052-4
- Lee, Y. (2013). Diagnosis and Prevention Strategies for Dental Caries. Journal of Lifestyle Medicine.
- Moynihan, P., & Petersen, P. E. (2004). Diet, nutrition and the prevention of dental diseases. Public Health Nutrition. https://doi.org/10.1079/phn20035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