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울증 환자와 함께 생활하기

조울증 환자와 함께 사는 게 어떤 건지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 이 환자들을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고 싶다면 이 글을 계속 읽어 보자.
조울증 환자와 함께 생활하기
Isbelia Esther Farías López

작성 및 확인 철학자 Isbelia Esther Farías López.

마지막 업데이트: 09 8월, 2022

조울증 환자와 함께 산다는 건 놀라운 도전이다. 이 환자와 함께 사는 사람들은 그 끊임 없이 변화하는 감정을 고려하여 마치 산을 오르는 것으로 이 도전을 정의한다. 당연히 갑작스러운 기복은 매우 지치는 일일 수 있다.

“보통” 사람들과의 관계도 사실 충분히 복잡하다. 그런데 여기에 더해 기분이 끊임없이 변하는 사람과 매일 상호작용 해야 한다고 상상해 보자.

주변 사람들이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긴 하지만, 조울증 환자의 기분 변화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많은 요인이 있다.

조울증이란?

조울증 환자와 함께 생활하기 위한 팁

조울증이 있는 사람은 끊임없이 변한다. 때때로 그들은 조증이 되고, 다른 때에는 우울증에 빠진다. 

기분 변화는 조울증을 특징짓는 증상이며, 우울증 또는 혼합된 감정 뒤에 따르는 한바탕 조증은 이들에게 매우 흔하다.

조울증을 앓는 사람들은 갑자기 기분이 변한다. 몇 가지 하위 유형이 있기는 하지만, 그 증상은 조증 그리고 우울증 사이에 있다.

이러한 변화는 매년 발생할 수 있으며 2~3주기가 있을 수 있다. 다른 경우에는 하나의 에피소드 뒤에 다른 에피소드가 이어질 수 있으며, 며칠 동안 지속할 수 있다. 

조증 에피소드

사람이 조증 에피소드를 겪을 때는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난다.

  • 큰 기쁨, 낙관, 힘 격려를 표현한다.
  • 불안, 긴장감 또는 이상함을 느낀다.
  • 중단 없이 빠르게 말하고 한 주제에서 다른 주제로 넘어간다.
  • 자신이 멀티 태스킹을 하고 많은 걸 성취할 수 있다고 느낀다.
  • 자신이 창의적이라고 느끼고 많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다.
  • 덜 자고 더 피곤해한다.
  • 요구가 충족되지 않거나 자신이 필요로하는 걸 얻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짜증을 낸다.
  • 프로젝트 위험을 감수하고 과도하게 물건을 사거나 불필요하게 돈을 지출한다.
  • 성적으로 흥분한다.

우울증 에피소드

  • 매우 슬퍼할 수 있다.
  • 너무 걱정하고 포기한 느낌이 들 수 있다.
  • 이전에 흥분했던 활동에 대한 관심을 잃을 수 있다.
  • 집중하지 못한다.
  • 피로감을 느끼고 냉담해진다.

보다시피 조울증 환자는 아주 기분이 좋았다가 또 세상에서 완전히 버려졌다고 느낄 수 있다. 이는 조증에서 우울증 에피소드로의 빠른 변화로 인해 발생한다.

조울증 환자와 함께 산다는 것

조울증 환자와 함께 생활하기 위한 팁

조울증 환자와 함께 산다는 건 매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가족과 파트너의 지원은 이들의 행복에 있어 결정적이다.

조울증을 앓는 사람과 함께 사는 건 쉽지 않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도 확인되었다. 많은 경우 주변 사람들은 기분이 상하거나 다른 사람이 자신의 공간을 침범한 것처럼 느낄 수 있다.

주변 사람들의 감도는 특히 성적인 요구에 의해 다칠 수 있다. 그러나 연구에 따르면 지원이 중요하다고 한다.

조울증 환자와 함께 사는 사람은 자신이 행동을 바꾸려고 노력해도 아무런 변화가 없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일부 사람들, 특히 관계를 맺은 사람들은 종종 배우자의 습관과 외모를 관찰하고 이 환자가 화를 내거나 우울해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특정 행동을 억제하려고 한다. 그러나 그 조치는 조울증 환자의 극단적인 반응을 막을 수 없다.

조울증 환자와 함께 생활하는 팁

  • 우리와 조울증을 앓는 사람, 그리고 다른 주변 사람들을 위해 전문적인 도움을 받자.
  • 파트너가 진단을 받지 않았다면 치료 후 상황이 더 원활해질 수 있도록 도움을 받아야 함을 피력하자.
  • 사랑과 이해를 보여주자. 판단을 내리거나 꾸짖는 대신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조울증을 앓는 사람이 우리가 그들에게 관심을 두고 그들의 행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음을 이해하도록 하는 것이다.
  • 두 사람 모두 정신 장애에 관해 갖고 있는 낙인을 떨쳐버려야 한다. 그리고 심리학자나 정신과 의사와 상담하는 게 좋다. 이러한 전문가들은 우리의 삶을 바꾸고 향상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 조울증을 앓는 사람이 특히 우울하다고 느낄 때는 신체 활동에 참여하도록 장려하자. 활동하면 기분이 좋아지고 혼자가 아니라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따라서 비활동적이 되는 것을 피해야 한다.
  • 그들을 희생자라고 생각하지 말고 일어나고 있는 일에 대한 책임을 지려고 하지 말자. 원한다면 심리 치료에 참여하여 그들을 지원해 줄 수 있다.

기타 고려 사항

  • 첫째로, 스스로 지치지 않도록 자신의 정신 건강도 돌봐야 한다.
  • 신체 건강을 돌보고 운동하며 적절한 식이 요법을 따르면서 보람된 생활을 하자.

지금까지 설명한 지침을 따르면 기분이 좀 나아질 것이다. 이러한 지침은 조울증 환자와 함께 생활하면서 어려움을 겪는 누구에게나 도움이 된다.

이 상태를 가진 사람들은 우리를 다치게 할 수 있지만, 의도적으로 그렇게 하지는 않으며 조울증을 잘 다루기 위해 전문적인 도움을 받는 게 중요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Gutiérrez-Rojas, L., Martínez-Ortega, J. M., & Rodríguez-Martín, F. D. (2013). La sobrecarga del cuidador en el trastorno bipolar. Anales de Psicologia. https://doi.org/10.6018/analesps.29.2.124061
  • Herrero Villanueva, J. A., & Serrano Parra, M. D. (2006). Planes de cuidados al paciente con depresión y trastorno bipolar. Oferta Terapéutica En Enfermería de Salud Mental.
  • María, D., Lic, P., Perinot, L., & Gagliesi, P. (2015). Trastorno Bipolar Guía para pacientes, Familiares y allegados. Fundación Foro.
  • Suárez, M. Z., Montes, M. G., Jarabo, D. S., & Forteza, G. L. (2015). Trastorno bipolar. Medicine (Spain). https://doi.org/10.1016/j.med.2015.08.003
  • Trastorno bipolar – Síntomas y causas – Mayo Clinic. (2018). Retrieved 16 September 2020, from https://www.mayoclinic.org/es-es/diseases-conditions/bipolar-disorder/symptoms-causes/syc-20355955
  • Goossens, P. J., Van Wijngaarden, B., Knoppert-Van Der Klein, E. A., & Van Achterberg, T. (2008). Family caregiving in bipolar disorder: caregiver consequences, caregiver coping styles, and caregiver distres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54(4), 303-316.
  • Boyers, G. B., & Simpson Rowe, L. (2018). Social support and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bipolar disorder.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32(4), 538.

이 텍스트는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제공되며 전문가와의 상담을 대체하지 않습니다. 의심이 들면 전문가와 상의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