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료적 정맥 절개술 또는 치료적 채혈술은 환자의 임상 상태를 개선하기 위해 상당량의 혈액을 채취하는 시술이다. ‘사혈’이라고도 하는 이 기술은 고대에서 자주 시행되었다. 다양한 적응증의 효과적인 치료보다 당시의 믿음을 반영했던 치료라고 볼 수 있다.
고대의 치료적 정맥 절개술은 득보다 실이 더 많았다. 과학이 발전하며 병태생리학적 현상을 좀 더 명확히 이해하면서 사혈은 점차 사용되지 않게 되었고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기 위한 치료법으로 대체되었다. 그러나 현재도 일부 치료에서는 정맥 절개술을 유용하게 적용한다.
치료적 정맥 절개술
정맥 절개술 절차는 바늘이 500ml 채혈 주머니에 연결된 추출 장치로 보통 팔뚝의 말초 정맥을 천자한다.
추출된 양은 치료 목적, 환자 나이와 임상 상태에 따라 다르다. 헌혈 저울 덕분에 실시간으로 채혈량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시술 시간은 총 20~40분 정도 소요되며 환자가 반쯤 앉은 자세로 진행한다. 한편 채혈 주머니 위치는 중력에 의해 혈액을 추출할 수 있도록 팔 높이 아래에 있어야 한다.
중요한 고려 사항
치료적 정맥 절개술을 받을 환자는 그전에 활력 징후 기록을 재고 절차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듣는다. 시술 후에는 충분한 수분과 영양분을 섭취하고 급격한 체위 변화를 피한다.
더 읽어보기: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종양을 감지하는 갈레리 혈액 검사
치료적 정맥 절개술 적응증
수 세기 동안 사혈은 다양한 상태를 치료하는 일반적인 절차였다. 기술은 단순하지만 그 목적은 질병 원인을 제거할 만한 혈액을 채취하는 것이었다.
이전의 남용에도 불구하고 정맥 절개술은 오늘날 치료의 한 형태로 활용된다. 하지만 그 관행에 관해 꾸준히 논란이 있다.
유전성 혈색소침착증
유전성 혈색소침착증(Hereditary hemochromatosis, HH)은 상염색체 열성 유전을 가진 선천성 장애로 가장 흔한 대사 유전 장애다.
유전성 혈색소침착증 환자는 철분 섭취량이 증가하여 체내에 점진적으로 축적된다. 증상은 환자에 따라 매우 다양하며 무증상인 경우도 있다.
과도하게 축적된 철분은 다양한 인체 기관, 특히 간, 심장과 췌장을 손상하기 때문에 치료는 체내 철분 축적량의 점진적 감소와 그에 따른 적절한 수치 유지를 기반으로 다.
이것이 치료적 정맥절개술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유효한 이유다. 실제로 조기 치료는 간경화로의 진행을 예방하고 생존율을 향상한다.
초기 단계에서 출혈 빈도는 환자 상태와 기술에 대한 내성에 따라 1주~2주 사이로 다양하다. 마찬가지로 치료 기간은 6개월~2년까지 다양하다.
정상 수치에 도달한 후 주기적으로 사례를 추적하고 시간상으로 정맥 절개술을 시행하는 유지 치료 지침이 필요한지 평가한다.
더 읽어보기: 종양학적 혈액 검사 효과 및 유용성
유전성 혈색소침착증 환자의 출혈에 대한 금기 사항
정맥 절제술이 맞지 않는 환자는 적혈구 채혈술을 시도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치료법을 실행할 수 없는 경우 철 킬레이트제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좋은 효과를 나타내지 못했다. 치료적 정맥 절개술은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금기다.
- 관상 동맥 심장 질환
- 울혈성 심부전증
- 빈혈
- 고령
만발성 피부 포르피린증의 치료적 정맥 절개술
체내 철분 축적과 관련될 수 있는 또 다른 상태는 만발성 피부 포르피린증이다. 이 장애에서는 포르피린 분해를 담당하는 간 효소가 영향을 받는다.
주요 임상 증상은 피부 노출 부위 병변(광과민성)과 다양한 정도의 간 기능 장애를 포함한다.
이러한 환자들은 체내 철분 수치를 낮추기 위해 반복하여 정맥 절개술을 한다. 과도한 체내 철분 축적이 장기 손상을 유발하고 간 효소 억제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체내 축적된 철분 수치를 낮추면 효소가 방출되고 결과적으로 포르피린이 감소한다.
만발성피부포르피린증의 치료 지침
정맥 절개술의 적응증은 혈구계측 지수의 주기적인 조절을 통해 개별화돼야 한다. 일반적으로 허용 가능한 값에 도달할 때까지 시간 간격을 두고 수행한다.
그러나 재발하는 경향이 있어 유지 요법의 필요성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 정맥 절개술과 병용하여 항말라리아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아이젠멩거 증후군
다양한 선천성 심장 질환은 폐혈관 저항을 증가시켜 폐고혈압을 유발하며 가장 심한 경우 아이젠멩거 증후군이 발생한다.
이 증후군에서는 다양한 병리학적 기전으로 폐 모세혈관의 혈류 장애가 발생하여 산소 교환을 방해하고 저산소혈증을 유발한다.
결과적으로 체내 여러 세포에 산소를 운반하는 역할을 하는 적혈구 생산 증가로 이러한 결핍을 보상하려고 한다. 그러나 혈류를 순환하는 적혈구가 많을수록 혈액 형성 요소(헤마토크리트) 비율이 증가하여 점도가 증가한다.
이 감소된 유동성은 과다 점도 증후군이라는 용어로 분류되는 증상을 유발하며, 이는 치료적 정맥 절개술로 완화될 수 있다.
그러나 혈색소 침착증과 달리 아이젠멩거 증후군에서는 정맥 절개술이 확실한 치료법이 아니다. 더욱이 정맥 절개술로 철분 수치가 떨어질 수 있으니 환자에 맞춰 신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만성 폐렴과 치료적 정맥 절개술
유사하게, 다양한 폐 상태는 만성 저산소증과 적혈구 생산 증가로 이어지며 결과적으로 과다 점도 증후군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정맥 절개술은 증상을 치료하고 환자 상태를 개선하는 옵션으로 간주될 수 있다. 그러나 검토된 연구는 장기적인 후속 조치를 허용하지 않아 기술의 이점을 의심스럽게 만든다.
치료적 정맥 절개술 논란
일부 학자는 많은 국가에서 혈색소침착증 환자의 채취혈을 체계적으로 폐기하는 것을 숙고할 것을 촉구한다. 이들 환자의 혈액 품질은 일반 헌혈 기증자와 동등하거나 그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맥 절개술은 대개 주기적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혈색소침착증 환자의 혈액을 폐기하는 것은 귀중한 낭비라고 한다.
또 혈색소침착증 환자의 헌혈은 어차피 치료적 정맥 절개술을 받기 때문에 이타적 기부가 아니라는 주장도 있다.
그러나 헌혈은 자격이 된다면 모두 이타적 행위이므로 이를 평가할 필요는 없다. 또 유전성 혈색소침착증은 유전 장애이니 수혈로 전염되지 않는다고 강조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Domarus, A.; Farreras, P.; Rozman, C.; Cardelach, F.; Nicolás, J; Cervera, R.; Farreras Rozman. Medicina Interna; 19na Edición; Elsevier; 2020.
- Ortiz, I.; Paredes, J.; López, A.; Moreno, E.; Hemocromatosis: Etiopatogenia, Diagnóstico y Estrategia Terapéutica; Medicine: 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Elsevier; 19 (19): 1153 – 1561; 2012.
- Tapias, M.; Idrovo, V.; Hemocromatosis Hereditaria; Asociaciones Colombianas de Gastroenterología, Endoscopia Digestiva, Coloproctología y Hepatología; Revistra Colombiana de Gatroenterología; 21 (4): 278 – 285; 2006.
- Adams, P.; Altes, A.; Brissot, P.; Butzeck; B.; Cabantchik, I.; Cançado, R.; Distante, S.; Evans, P.; Evans, R.; Ganz, T.; Girelli, D.; Hultcrantz, R.; McLaren, G.; Marris, B.; Milman, N.; Nemeth, E.; Nielsen, P.; Pineau, B.; Piperno, A.; Porto, G.; Prince, D.; Ryan, J.; Sanchez, M.; Santos, P.; Swinkles, D.; Teixera, E.; Toska, K.; Vanclooster, A.; White, D.; Recomendaciones Terapéuticas en Hemocromatosis con el Genotipo Homocigoto HFE p.Cys282Tyr (C282Y/C282Y); Haemochromatosis International; 2018.
- Hernández, A.; Hemocromatosis, Donación de Sangre y Altruismo; Bioètica & Debat: Tribuna Abierta del Institut Borja de Bioètica; 42: 8 – 11; 2005.
- Romero, M.; La Hemocromatosis como Polémica Fuente de Donación de Sangre; Medicina Clínica; 128 (13): 515; 2007.
- Sandoval, J.; Síndrome de Eisenmenger: Avances en la Patobiología y Tratamiento; Archivos de Cardiología de México; 72 (Suplemento 1): S207 – S211; 2002.
- Toloza, L.; Flebotomía Terapéutica en Pacientes con Neumopatía Crónica: Estudio Observacional de un Grupo de Pacientes Atendidos en un Banco de Sangre a 2600 m.s.n.m.; Trabajo de Grado; Universidad Nacional de Colombia; Facultad de Medicina; Departamento de Medicina Interna; 2015.
- Calderón, J.; Sandoval, J.; Beltrán, M.; Hipertensión Pulmonar y Cardiopatía Congénita Asociado a Síndrome de Eisenmenger; Archivos de Cardiología de México; 85 (1): 32 – 49; 2015.
- Góngora, R.; La Sangre en la Historia de la Humanidad; Revista Biomédica; 16: 281 – 288; 2005.
- Parker, D.; Deel, P.; Arner, S.; Los Detalles de la Flebotomía Terapéutica; Nursing, 22 (10): 40 – 41;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