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투렛 증후군의 치료

투렛 증후군은 비자발적이고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소리를 유발하는 복잡한 병리이다. 비록 확실한 치료법은 없지만, 오늘은 투렛 증후군의 치료에 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한다.

투렛 증후군의 치료

신경 장애인 투렛 증후군은 전 세계적으로 100명 중 1명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므로, 투렛 증후군의 치료는 일반적인 문제가 아니다. 투렛 증후군은 반복적인 움직임이나 원치 않는 소리로 진화하는 틱(강박적 비자발적 장애)이 나타나는 게 특징이다.

이 질병은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에 큰 영향을 미치며 사회 및 노동 측면 모두에 영향을 미친다. 그리고 불행히도 현재로서는 치료법이 없다. 하지만 상항을 개선할 수 있는 다양한 접근 방식은 있다.

투렛 증후군이란?

방금 언급했듯이 투렛 증후군은 통제할 수 없는 비자발적인 움직임이나 소리의 출현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경우 이 병리는 15세 이전의 어린 시절이나 청소년기에 나타나기 시작한다.

이 문제의 원인은 알려지지 않지만, 전문가들은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모두 여기에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사실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에게서 더 자주 발생하지만 말이다. 그리고 여성보다는 남성에게서 더 많이 나타난다.

틱은 움직임 또는 갑작스럽고 짧은소리이며 단순하거나 복잡한 두 가지 범주로 나뉜다. 첫 번째는 눈 깜빡임과 같은 작은 근육 그룹을 포함하는 것이다. 반면 복잡한 틱에는 더 많은 근육 그룹이 포함된다.

많은 사람이 투렛 증후군을 부적절하고 통제할 수 없는 욕설이나 모욕을 유발하는 병리로 식별한다. 하지만 그 증상은 크게 다를 수 있으며 반드시 이 증상을 포함하는 건 아니다.

투렛 증후군이란 무엇일까?

틱의 비자발적인 움직임은 투렛 증후군의 전형적인 징후이다.

더 읽어보기: 정형적 운동장애는 무엇일까

투렛 증후군의 의학적 치료

많은 사람이 이 병리에 대해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어떤 경우에는 증상이 약하고 일상생활에 영향을 미치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또한 이 병리는 일상생활을 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는데, 이것이 바로 틱을 완화하는 다양한 형태가 존재하는 이유다. 그리고 그중 하나는 의약품이다.

<미국 국립신경질환뇌졸중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에 게재된 한 리뷰 기사에 따르면 도파민과 같은 특정 신경 전달 물질이 이 병리의 발달에 관여한다고 한다. 따라서 투렛 증후군의 의학적 치료에는 도파민을 차단하거나 감소시키는 약물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의사는 할로페리돌과 리스페리돈을 처방할 수 있다. 이러한 약물은 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것 같다. 하지만 체중 증가와 같은 이차 효과의 위험이 높다.

또 다른 옵션은 틱을 생성하는 근육에 보톡스를 주입하는 것이다. 현재 토피라메이트와 같은 항경련제 사용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동시에 투렛 증후군은 일반적으로 다른 병리와 함께 존재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게 중요하다. 이들 중 일부는 불안, 우울증, 강박 장애를 포함한다. 따라서 의사는 이러한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항우울제 및 불안 완화제를 자주 처방한다.

더 읽어보기: 불안 장애 증상 완화에 좋은 음식

투렛 증후군에 대한 행동 치료

행동 치료는 환자가 틱을 조절하는 방법을 배우도록 재교육하는 일종의 심리 치료다. 이 아이디어는 환자가 비자발적 제스처 앞에 나타나는 징후를 식별할 때 이에 대응하는 또 다른 반응을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유형의 치료는 다양한 전략으로 구성된다. 단 틱의 횟수와 심각성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건 확실하지만, 투렛 증후군에 대한 확실한 치료법은 아니다. 또한, 모든 사람에게 효과적이지는 않다.

습관 전환 요법

행동 요법의 기술 중 하나는 습관 전환이다. 미겔 에르난데스 대학(University of Miguel Hernández)에서 발표한 한 연구에 따르면 약물 없이도 투렛 증후군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이 방법은 여러 단계로 구성되며 이를 식별하기 위해 틱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것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개인은 틱과 양립할 수 없는 반응을 만드는 법을 배운다.

예를 들어, 틱이 머리를 손으로 만지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해 보자. 따라서 첫 번째 단계는 이 움직임이 언제 일어날지 인식하는 것이다. 그런 다음 새로운 동작은 그 제스처를 피하고자 무릎과 같은 다른 곳에 손을 놓는 것이다.

습관 전환 요법 

심리적 지원은 가능한 한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목표로 하는 치료의 한 형태다.

틱을 위한 전체론적 개입(CBIT)

투렛 증후군 치료를 위한 또 다른 유형의 행동 요법은 CBIT이다. 이 경우에는 습관 전환, 이완 및 자신의 틱에 대한 교육을 포함하여 이 문제의 증상을 완화한다.

이러한 유형의 전략은 환자를 다룰 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 있는 다른 사람들을 포함하여 개선을 촉진한다. 예를 들어, 학교에 다니는 소년이라면 그 소년의 교사도 치료에 참여한다.

유의 사항

투렛 증후군의 치료는 복잡하며 이 질병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큰 영향을 미친다. 물론 이 병리에 대한 치료법은 없지만, 증상을 개선하기 위한 다양한 전략은 있다.

행동 치료는 약물 없이도 이러한 사람들의 삶의 질을 향상할 수 있는 유망한 방법이다. 이 병리에 대처할 때 심리적 지원이 필수적임을 강조하는 게 매우 중요하다.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Qué es el síndrome de Tourette? – Tourette Association of America. (n.d.). Retrieved August 29, 2020, from https://tourette.org/about-tourette/overview/espanol/medicos/que-es-el-sindrome-de-tourette/
  • Tratamientos | Síndrome de Tourette (ST) | NCBDDD | CDC. (n.d.). Retrieved August 29, 2020, from https://www.cdc.gov/ncbddd/spanish/tourette/treatments.html
  • Síndrome de Tourette :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NINDS). (n.d.). Retrieved August 29, 2020, from https://espanol.ninds.nih.gov/trastornos/sindrome_de_tourette.htm
  • Síndrome de Gilles de la Tourette: espectro clínico y tratamiento – Dialnet. (n.d.). Retrieved August 29, 2020, from https://dialnet.unirioja.es/servlet/articulo?codigo=326433
  • Gonzálvez, M. T. (2016). Tratamiento cognitivo-conductual de un niño con Síndrome de Tourette. Revista de Psicología Clínica con Niños y Adolescentes (Vol. 3). Retrieved from www.revistapcna.com
  • Yang, C. S., Zhang, L. L., Zeng, L. N., Huang, L., & Liu, Y. T. (2013). Topiramate for Tourette’s syndrome in children: A meta-analysis. Pediatric Neurology, 49(5), 344–350. https://doi.org/10.1016/j.pediatrneurol.2013.05.002
  • Valdés King, Mónica, and Omoruyi Ayodeji Uwagboe. “Síndrome de Gilles de la Tourette.” Revista Cubana de Medicina General Integral 34.1 (2018): 63-70.
  • Ríos-Flórez, Jorge Alexander, and Claudia Rocío López-Gutiérrez. “Enfoque clínico y neurofuncional del Síndrome Gilles de la Tourette.” Psicoespacios 10.17 (2016): 155-167.
  • García-Acero, Mary, and Eugenia Espinosa. “Síndrome De Tourette Familiar: Reporte De Caso Y Revisión De La Literatura.” Revista Ecuatoriana de Neurología 27.2 (2018): 87-91.
  • García, D. Macías. “Otros trastornos del movimiento: tics y síndrome de Tourette, temblor, mioclonías y síndrome de piernas inquietas.” Medicine-Programa de Formación Médica Continuada Acreditado 12.73 (2019): 4285-4299.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