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트랄린은 항우울제 계열에 속하는 약물이며 주로 우울증 치료에 사용한다. 이 약물은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에 속한다. 설트랄린의 특성에 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설트랄린은 항우울제 효과 외에도 불안, 강박 장애 및 공포증과 같은 다양한 의학적 상태의 치료에도 효과적이다. 또한, 이 물질의 상업화를 담당했던 연구소는 미국 제약회사인 화이자(Pfizer)였으며 1991년 출시했다.
설트랄린의 장점
다른 최신 항우울제와 설트랄린의 차이는 아주 상당하다. 이 약의 주요 장점 중 하나는 바로 부작용이 적다는 것이다. 여러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약물은 일부 우울증 유형에서 플루옥세틴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연구에 따르면 공황 장애 및 공포증 증상이 나타났을 때 사용할 경우 그 발생률이 감소하고 삶의 질이 향상한다.
우울증이란?
우울증은 이 약물이 사용되는 주요 요인이므로 우리는 우울증이 무엇인지 먼저 설명해 보려고 한다. 우울증이란 지속적인 슬픔과 모든 활동에 대한 상당한 관심 상실을 포함하는 정서 장애를 말한다.
따라서 우울증은 다음에 영향을 미친다.
- 감정
- 생각
- 행동
질병의 기원과 관련하여서 주요 원인은 중추 신경계에서의 신경 전달 물질의 변화다. 하지만 우울증이 파킨슨병과 같은 다른 질병과 관련이 있는 경우는 예외다.
우울증의 발병에 가장 관여하는 신경 전달 물질은 세로토닌이다.
일부 연구자들은 세로토닌이 기분 균형을 유지하는 책임이 있는 화학 물질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세로토닌 결핍은 우울한 상태로 이어진다.
그러나 노르에피네프린 및 도파민과 같은 다른 신경 전달 물질도 있으며, 그 수치의 변화는 기분 장애의 발병을 촉진한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는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 작용한 결과다.
- 위에서 언급한 신경 전달 물질의 생물학적 요인 및 호르몬 변화 또는 변경
- 회사, 개인 생활 등으로부터의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심리 사회적 요인
- 개인적인 요인
더 읽어보기: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는 5가지 위험 요소
설트랄린은 신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알다시피 설트랄린은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다. 또한, 많은 삼환계 항우울제와는 달리 선택성이 높고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적다.
다시 말해, 세로토닌은 다른 신경 전달 물질과 마찬가지로 인접한 뉴런의 막 수용체와 결합하기 위해 뉴런에 의해 분비되어 효과를 유발한다.
그런 다음, 이 수용체에서 방출되고 일부 분자는 이전에 재흡수 과정으로 이를 분비한 뉴런으로 되돌아간다. 따라서 이 과정에서 설트랄린은 그것을 억제함으로써 효과를 발휘한다. 이로 인해 세로토닌은 다시 재흡수되지 않고 한 뉴런과 다른 뉴런 사이의 시냅스 전 공간에서 그 농도를 증가시킨다.
세로토닌이 많을수록 설트랄린은 뉴런 막 수용체를 합류시키면서 더 큰 효과를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보다시피 설트랄린은 노르에피네프린과 같은 다른 유형의 생체 아민 수용체에 대한 친화성이 낮다. 이 사실은 다른 세로토닌 재흡수 저해제보다 설트랄린이 왜 부작용이 적은지를 설명한다.
더 읽어보기: 우울증 치료에 도움이 되는 5가지 건강 간식
이상 반응
일반적으로, 모든 조짐으로 볼 때 설트랄린에 의한 부작용의 성격과 그 발생률은 환자의 나이와 상관없이 비슷하다.
가장 흔한 부작용은 위장관에서 발생하는 부작용인데, 이는 다음 중 하나를 포함한다.
- 메스꺼움과 구토
- 설사
- 신경성 식욕 부진증
- 소화 불량
- 기타
결론
설트랄린은 일반적으로 우울증 치료에 사용된다. 그러나 공황 발작이나 강박 장애와 같은 다른 장애를 치료하는 데 처방될 수도 있다.
어떤 경우든 우리는 항상 의사의 지시를 따르고, 질병 또는 처방된 약물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다면 의사 및 약사와 상담해 보아야 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Fegert, J. M. (2004). Depression treatment with SSRI in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A debacle of research or information? NERVENHEILKUNDE.
- Farmoz. (2011). RCM Sertralina. Journal of Chemical Information and Modeling. https://doi.org/10.1017/CBO9781107415324.004
- Rodríguez-Ramos, P., & Mardomingo Sanz, M. J. (1998). Respuesta a la sertralina en adolescentes con trastorno obsesivo-compulsivo. Actas Espanolas de Psiquiatr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