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계층

코로나19는 나이, 성별에 관계없이 누구나 감염될 수 있는 질병이지만, 그중 감염에 특히 더 취약한 계층이 있다. 코로나19 감염 시, 사망 위험이 더 큰 취약 계층에 관해 알아보자.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계층

마지막 업데이트: 25 5월, 2020

전 세계적으로 자가 격리와 외출 금지가 시행되는 이 시점에 코로나19에 특히 취약한 계층은 누구일까? 코로나19는 중국의 우한에서 처음 시작되어, 전 세계적으로 확산하며 많은 이들의 목숨을 앗아가고 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현재 유행 중인 코로나바이러스는 우한에서 처음 퍼진 코로나바이러스의 변종인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전파되는 경로에는 변동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비말을 통한 감염이 주 감염 경로이며, 코로나바이러스를 감싸고 있는 단백질층은 사람과 사람 사이의 감염 가능성을 높이고 폐포(허파꽈리)를 손상하는 데 큰 역할을 한다.

그러나 모두가 코로나19에 취약한 것은 아니다.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계층에 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계층

노인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노인이다. 그중에서도 만 65세가 넘어가는 노인이 특히 더 취약한데, 이들이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사망률이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 수집된 데이터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으로 사망한 이들 중 4%가 80세 이상이며, 이는 80세 이상 노인의 코로나 감염 시 치사율이 15% 육박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매년 유행하는 계절성 감기와 마찬가지로, 코로나19도 호흡 세포의 기능이 저하된, 면역력이 약한 이들에게 특히 위험하다. 또한 노인 중에는 당뇨, 고혈압, 암 등 기저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가 많아 그 위험성은 더 커진다.

코로나 19에 가장 취약한 계층을 알아보자 01
만 65세 이상의 노인들은 코로나19에 특히나 취약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저질환 환자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또 다른 계층은 바로 아래의 기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다. 

기저질환 환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되면 평소 복용하던 약의 부작용 등이 발현할 가능성이 커진다.

예를 들어 혈액 응고 방지제를 복용하는 환자가 폐렴에 걸리게 되면, 파열된 혈관들의 회복은 더욱더 더디게 진행된다.

어느 한 연구가 심혈관계 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들이 코로나19에 감염된 경우에 일반인보다 치사율이 높아진다고 밝혀낸 바 있다.

코로나 19에 가장 취약한 계층을 알아보자 02
코로나19에 감염된 심혈관계 질환 환자는 회복이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기타 취약 계층

그 외에도 코로나19에 더욱 민감히 반응할 가능성이 있는 계층은 바로 임신부다. 안타깝게도, 코로나19의 위험 인자에 관한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여 최대한 외출을 피하는 것만이 감염을 피하는 방법으로 권고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바에 따르면, 임신부는 비 취약 계층에 속하는데, 지난 2009년 유행했던 신종플루는 임신부에 특히 치명적이었던 것과 비교된다.

또한, 바이러스의 수직전파에 관해서는 아직 밝혀진 바가 없다. 즉, 코로나19 바이러스가 태반을 통해 태아에게 전파되는 가능성은 아직 불분명하다.

한 과학 연구는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혈액형이 있으며, O형보다 A형이 감염에 훨씬 취약하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오직 한정된 인원만이 연구에 참여하였기에 결과의 신뢰도는 높지 않다는 것을 알아두자.

유의 사항

위에서 알아본 코로나19에 가장 취약한 계층은 감염 시 합병증이 발현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모두가 위생에 신경 쓰고, 사회적 거리 두기 및 자가 격리를 철저히 하여 바이러스의 확산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 현재, 넘쳐나는 코로나19 감염 환자들로 인해 전 세계 모든 병원이 몸살을 앓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도 모두의 확산 방지 노력이 중요해졌다.

이 글은 어떤가요?
노인들은 코로나19를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
건강을 위한 발걸음
읽어보세요 건강을 위한 발걸음
노인들은 코로나19를 어떻게 예방해야 할까

코로나19가 전 세계적으로 빠르게 퍼져감에 따라, 많은 이들이 큰 위험에 빠지게 되었다. 특히 면역력이 약한 노인은 코로나19에 감염되는 경우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감염 예방에 힘써야 한다. 노인들은 코로나19를 어떻게 예방해야 할지 알아보자.



  • Lu, Roujian, et al. “Genomic characterisation and epidemiology of 2019 novel coronavirus: implications for virus origins and receptor binding.” The Lancet 395.10224 (2020): 565-574.
  • Zhang, Haibo, et al.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2 (ACE2) as a SARS-CoV-2 receptor: molecular mechanisms and potential therapeutic target.” Intensive Care Medicine (2020): 1-5.
  • Zheng, Ying-Ying, et al. “COVID-19 and the cardiovascular system.” Nature Reviews Cardiology (2020): 1-2.
  • Dominguez, Adrian Naranjo, and Alexander ValdÃ. “COVID-19. Punto de vista del cardiólogo.” Revista Cubana de CardiologÃa y CirugÃa Cardiovascular 26.1 (2020): 951.

본 콘텐츠는 오직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어떠한 경우든 전문가의 진단, 치료 또는 권고를 대신할 수 없습니다. 의문 가는 점이 있거나 구체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반드시 가까운 병원에 내원하거나 전문가의 상담을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