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이뇨 호르몬 또는 ADH라고 알려진 바소프레신(vasopressin)은 시상하부의 대세포 핵에서 나온다. 거기에서 바소프레신은 신경 하수체로 전달된 다음 마침내 혈액 조직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신장이 배설하는 물의 양을 조절하여 체내 수분량을 조절하는 데 도움을 준다. 오늘은 바소프레신의 다양한 특성과 영향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자.
바소프레신은 9개의 아미노산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올리고 펩티드다. 이 호르몬을 구성하는 아미노산은 시스테인, 타이로신, 글루타민, 프롤린, 아미노기, 페닐알라닌, 아르기닌, 아스파라긴 그리고 카르복시기다.
바소프레신의 기능
비록 바소프레신의 주요 기능은 신장 활동 조절이지만, 이 호르몬은 특히 심혈관계 및 중추신경계에도 일부 영향을 미친다.
이 호르몬은 체액의 과밀도에 반응하여 나온다. 신장이 물을 재흡수하는 것을 도와 네프론의 세관에서 혈액으로 물을 돌려보내 체액의 긴장성을 정상화한다.
그리고 신장 수분 재흡수의 결과로 소변은 더 농축되고 양이 줄어든다. 따라서 바소프레신이 고농도로 나오게 되면 그건 보통의 혈관 수축을 유발하여 혈압을 높일 수 있다.
바소프레신의 영향
신장에 미치는 영향
바소프레신이 신장에 미치는 영향은 소변을 농축하는 일련의 과정을 개선한다. 이러한 농도를 촉진함으로써, 바소프레신은 세포외액에 자유수의 순 재흡수가 일어나게 한다.
바소프레신은 신장에 작용하여 3가지 주요 효과를 발생시킨다.
- 초기 및 피질 집합 세관의 투수성을 증가시킨다. 또한, 신장의 외부 및 내부 골수 공간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물이 재흡수되고 더 농축된 소변이 배설된다.
- 요산에 대한 수질 집합관 내부 수질 일부의 투과성을 증가시킨다.
- 마지막으로 헨리 고리의 상핵각을 통해 나트륨 흡수가 증가한다.
더 읽어보기: 옥시토신은 어떤 호르몬일까?
중추신경계
시상 하부 뉴런에서 방출되는 이 항이뇨 호르몬은 혈압 및 온도 조절과 관련이 있다. 이 호르몬이 성별 및 스트레스에 따라 진통 효과가 있을 수 있다는 증거도 있다.
관 영향
바소프레신은 강렬한 혈관 수축제이고 전신 혈관 저항을 많이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 사실이 바로 이 호르몬의 원래 명칭이 왜 “아르기닌 바소프레신”인지를 설명해 준다.
바소프레신의 자기 제어
일반적으로, 바소프레신 방출은 세포외액의 삼투압에 의해 제어된다. 삼투압의 감소는 바소프레신 분비를 감소시키는 반면, 삼투압의 증가는 바소프레신 분비를 증가시킨다.
심장과 큰 혈관의 수용체는 저혈압 또는 혈액량 감소를 감지한다. 이는 출혈이 있거나 탈수 중에 발생한다. 따라서 이러한 상황에서 그들은 바소프레신의 방출을 자극한다.
항이뇨 호르몬 분비는 또한 혈류의 염분 농도가 올라갈 때도 발생한다. 마찬가지로, 염분 농도가 비정상적으로 낮은 수준에 도달하면 사람은 나트륨 과소 혈증에 직면하게 된다.
항이뇨 호르몬은 갈증, 메스꺼움, 구토 및 통증에 의해서도 방출된다. 따라서 스트레스가 가해지거나 다쳤을 때 바소프레신은 혈류의 체액량을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바소프레신이 과다한 경우
이러한 종류의 호르몬이 높은 수준에 다다르면 신장에 의해 신체의 체액 보유가 촉진된다. 실제로 항이뇨호르몬부적절분비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상태가 있다.
이 증후군을 앓고 있는 환자는 필요하지 않을 때도 바소프레신을 과다하게 방출한다. 따라서 과도한 체액 보유로 인해 혈액이 희석되어 특징적으로 낮은 염분 농도를 가지게 된다.
이 항이뇨 호르몬의 과도한 수준은 약물, 그리고 폐, 흉벽, 시상 하부 및 뇌하수체 질환의 부작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뇌하수체 선종은 어떤 병일까?
바소프레신이 거의 없는 경우
항이뇨 호르몬 수치가 낮으면 신장이 과잉 수분을 배출하게 된다. 그래서 소변량이 증가하면서 탈수 및 혈압 감소로 이어지게 된다. 따라서 낮은 수준의 항이뇨 호르몬은 시상 하부 또는 뇌하수체의 손상 또는 원발성다음증을 나타낼 수 있다.
결론
바소프레신은 단독으로 또는 일상적 집중 치료에서 다른 모혈압상승제와 함께 우수한 치료적 대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Teres, J. (1983). VASOPRESINA. Gastroenterologia y Hepatologia.
-
Carrillo, R., Carvajal, R., & Hernandez, C. (2003). Vasopresina: una nueva alternativa terapéutica en el enfermo grave. Revista de La Asociacion Mexicana de Medicina Critica y Terapia Intensiva.
-
González Chon, O., & García López, S. M. del C. (2002). Vasopresina: Usos en la práctica cardiovascular. Archivos de Cardiologia de Mexi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