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소아 부비동염의 증상 및 치료

소아 부비동염은 콧물, 구취, 두통을 유발한다. 감염은 겨울철과 학교에 다닐 때 더 흔히 발생한다.

소아 부비동염의 증상 및 치료

소아 부비동염은 감기와 같은 호흡기 질환의 상당히 흔한 합병증이다. 실제로 추정치에 따르면, 감기에 걸린 아동의 약 10%가 어느 시점에서 부비동염을 앓을 수 있다. 소아 부비동염은 심하지 않은 문제로, 대부분 쉽게 치료할 수 있다. 그렇다면 소아 부비동염의 증상과 치료는 무엇일까? 이 글에서 함께 알아보자.

부비동은 코에 가까운 두개골의 공기 구멍으로, 점막으로 감싸져 있으며 구멍은 공기로 채워져 있다. 바로 이 점막이 감염으로 인해 염증을 일으키면 부비동염이 발생한다.

대부분 부비동염은 저절로 문제가 사라져 진단조차 받지 못할 때가 많지만, 치료가 필요한 사람들도 있다. 지금부터 소아 부비동염에 대해 알아야 할 모든 점을 살펴보자.

소아 부비동염의 증상

소아 부비동염은 급성 또는 만성으로 나타날 수 있다. 만성의 경우, 주된 특징은 증상이 3개월 이상 이어진다는 것이다. 대부분 감기에 걸리고 나서 5~7일 정도가 지나면 부비동염이 발생한다.

부비동염은 일반적으로 발열과 함께 나타나며, 증상은 감기와 별반 다르지 않다. 예를 들면 코가 꽉 막히고 콧물이 나거나 밤에 기침이 더 심해지는 증상이 있을 수 있다.

두통은 부비동염의 또 다른 특징적인 증상이다. 실제로 어떤 아이들은 눈 뒤쪽이 눌리는 듯한 느낌을 받거나, 치통을 경험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통증은 부비동 내부의 힘, 염증 및 점액 때문이다. 또한 구취, 후각 상실 또는 심지어 얼굴의 민감도 변화로도 나타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소아 폐렴의 증상

소아 부비동염의 증상 및 치료

아동은 일반적으로 인두염이 진행되거나 감기에 걸리고 난 후 부비동염을 경험한다.

소아 부비동염의 원인은 무엇일까?

부비동염은 성인보다 아동에게 더 자주 발생한다. 부비동과 분비물이 배출되는 구멍이 더 작아 이 문제를 흔히 경험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부비동이 더 쉽게 막혀 점액이 정상적으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박테리아가 더 쉽게 증식하며 점액이 부비동 안에 갇히면서 감염이 발생한다. 부비동이 막힌 이유는 비중격 이탈 또는 구멍 끝부분에 생긴 폴립 때문일 수 있다.

차례로 부비동염의 위험을 높이는 여러 요인이 있다. 예를 들면 알레르기 비염이 있거나 면역계가 약한 아동도 위험군에 속한다. 마찬가지로 어린이집에서는 감염 위험이 커진다.

소아 부비동염의 증상 및 치료

어린이집과 학교에서는 호흡기 질환이 쉽게 퍼질 수 있다.

소아 부비동염의 치료

우선 소아 부비동염을 예방하는 방법이 있다는 점을 잊지 말자. 겨울철에는 집에서 가습기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공기가 너무 건조하면 점막이 쉽게 자극받을 수 있다.

또한 부비동염 자체는 전염성이 없지만, 이 문제를 유발한 감기에 옮을 수 있다. 따라서 감기에 걸린 아동과는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바이러스성 부비동염은 항생제가 필요하지 않다. 그 대신 통증을 완화하는 비스테로이드 항염증제막힌 코를 뚫어 주는 식염수가 있어야 한다. 소아 세균성 부비동염에는 항생제가 필요하다.

더 읽어보기: 감기와 독감의 큰 차이점

부비동염은 거의 양성이지만 몇 가지 예방 조치를 따르는 것도 나쁘지 않다

자녀에게 부비동염의 징후가 있으면 의사와 상담을 하자. 부모는 아이의 상태를 잘 지켜보다가 증상을 보이는 것 같으면 바로 그에 따라 행동해야 한다.

호흡기 증상은 겨울철과 학교에 다닐 때 더 자주 발생한다. 학교에서는 감기, 협심증, 중이염, 부비동염과 같은 질환에 쉽게 옮을 수 있다. 따라서 세균의 확산을 막고 다른 아이를 감염시키지 않으려면 의사의 지침을 고려하여 아이가 집에서 쉴 수 있도록 하자.

Bibliography

All the sources cited were thoroughly reviewed by our team to ensure their quality, reliability, relevance, and validity. The bibliography of this article was considered reliable and of academic or scientific accuracy.

  • Enrique, Azuara Pliego. “Sinusitis. Sus complicaciones en los niños.” (2019).
  • Sinusitis infantiles | Anales de Pediatría. (n.d.). Retrieved June 9, 2020, from https://www.analesdepediatria.org/es-sinusitis-infantiles-articulo-13054784
  • Badilla García, Jenny. “Sinusitis en Pediatría.” Medicina Legal de Costa Rica 35.2 (2018): 62-70.
  • Zhigui, Jimenez, and Carlos Alberto. “Manejo integral de la sinusitis aguda desde el punto de vista etiológico, clínico y terapéutico en adolescentes y adultos.” (2017).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