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질환

아기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증상 및 치료

아데노이드 편도염은 신생아와 소아에게 흔한 병리로 조직에 염증이 있을 때 발생하며, 일반적으로 성인기에 사라진다. 이 질환의 가장 흔한 원인은 세균 감염이다.

아기 편도염의 증상 및 치료

아데노이드 편도염은 아기 인두 편도 크기(콧구멍 근처 림프 조직의 덩어리)의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질병이다. 그리고 다른 합병증 중에서도 특히 비강 폐쇄를 유발한다. 소아과 자료에 따르면 이 문제의 주요 원인은 전염성 에피소드다.

아데노이드 편도염은 특징적인 증상이 있으며 아기에게 비교적 흔하다. 그렇지만 이 상태가 의심될 때에는 가능한 치료를 위해 언제 의사와 상담해야 하는지를 아는 게 중요하다. 자세히 알고 싶다면 이 글을 계속 읽어보자.

누가 아데노이드 편도염에 걸리기 쉬울까?

주제로 들어가기 전에 이 상태로 고통받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인구 집단에 관해 이야기해보자. 다양한 건강 검진은 다음과 같은 데이터를 제공한다.

  • 아기 아데노이드 편도염 유병률은 일반적으로 부비강염과 같은 다른 임상상과 관련이 있음으로 정량화하기가 어렵다.
  • 과학 연구에 따르면 가장 높은 질병 감염률(질병에 걸릴 확률)은 만 1~9세 사이이다.
  • 아데노이드 조직은 만 6세와 7세부터 위축되기 시작하고 사춘기 동안 계속해서 크기가 감소한다. 이것이 바로 아데노이드 편도염이 영유아에게 특징적인 질병인 이유다. 

보다시피 이는 사람의 나이에 편향된 병리다. 아데노이드 편도염은 성인에게 코막힘이 나타나는 주요 원인 중 하나가 아니다.

누가 편도염에 걸리기 쉬울까?

호흡기 감염은 소아 연령에서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주요 원인이다.

더 읽어보기: 후두염의 원인 및 증상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특징

위에서 말했듯이, 이 병리는 림프계의 일부인 코 바로 뒤에 있는 아데노이드 조직의 부종으로 나타난다. 이 구조는 세균과 박테리아를 포획함으로써 감염이 상부 호흡기로 진행되지 않도록 해준다. 

아데노이드는 영유아에게서도 기능하지만, 위에서 언급한 출처에 따르면 7세에 최대 성장에 도달한다. 그 이후로, 아이가 성인이 될 때면 거의 사라질 정도로 감소하기 시작한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새로운 면역 메커니즘이 발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념이 모든 문헌 출처에서 표준화된 건 아니지만, 급성 및 만성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차이를 반드시 강조해야 한다. 아데노이드 조직은 예상되는 감염성 에피소드 동안 염증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아데노이드가 감염되면 임상상이 만성화될 수 있다.

미국 국립 의학 도서관(The U.S National Library of Medicine)은 감염이 급성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보고한다. 알레르기 과정이나 위산증으로 인한 자극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지만 말이다. 이 임상상과 가장 관련이 있는 박테리아는 다음과 같다.

  • 헤모필루스 인플루엔자
  • 폐렴사슬알균
  • 화농연쇄구균
  • 황색포도구균

마지막으로, 반복되는 아데노이드 편도염은 림프선 비대를 유발한다. 이 경우 감염 후에도 조직의 크기가 줄어들지 않음으로 조직을 외과적으로 제거해야 할 수 있다.

아기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증상

키스헬스(Kidshealth)와 같은 소아 포털은 영유아 모두에게서 이 질병이 유발하는 증상 목록을 나열하고 있다. 그중 가장 일반적인 증상은 다음과 같다.

  • 구강 건조 및 구취
  • 부르튼 입술
  • 코 분비물
  • 귀 문제
  • 격한 호흡
  • 재발성 코 또는 부비동 감염

이 모든 증상은 신생아가 제대로 숨을 쉴 수 없기 때문이다. 부어오른 조직은 공기가 상기도로 흐르게 하여 아기는 입을 통해 숨쉬기 시작한다.

아기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치료

아기 아데노이드 편도염 치료의 핵심은 기다리면서 상황을 지켜보는 것이다.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 신생아에게 항생제를 투여하는 건 의미가 없다. 환자를 직접 진단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소용이 없다. 따라서 소아과 의사와 상담해야 하며 전문가는 다양한 조처를 할 수 있다.

  • 바이러스 감염은 일반적으로 치료가 필요하지 않다. 사실 이러한 유형의 상부 호흡기 병리학은 적어도 일부 과학적 출처에 따르면 대개 5~7일 후에 해결된다.
  • 일부 세균 감염에는 항생제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아목시실린은 가장 많이 사용되는 약물 중 하나이며 일반적으로 약 48~72시간 이내에 호전된다.
  • 알레르기 반응이 의심되는 경우 비강 스테로이드 스프레이 또는 항히스타민제를 사용하는 게 좋다.
  • 유아의 식단 변경과 소아 영양사의 조언으로 속쓰림 및 위산 역류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

다시 말하지만, 환자가 치료에 반응하지 않고 삶의 질을 저하하는 호흡기 문제가 계속되면 아데노이드 절제술(아데노이드 제가)이 필요할 수 있다. 이 수술 과정은 대부분 유아에게 위험이 없다.

아기 아데노이드 편도염의 치료

이 병리학은 흔하며 수술은 만 7~9세까지 적용될 수 있는 옵션이다.

더 읽어보기: 소아 대상포진의 증상 및 치료

아기 아데노이드 편도염과 소아과 의사의 역할

아데노이드 편도염은 종종 상부 호흡기의 다른 병리학적 과정과 관련된 일반적인 질병이다. 따라서 아기에게 호흡 곤란, 구취, 구강 건조, 울음 및 지속적인 불편함이 있는 경우 소아과 의사와 상담해야 한다.

또한, 세균 감염으로 인한 에피소드도 불쾌감과 발열로 나타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이러한 증상 중 하나라도 발견될 경우 의사와 상담해야 하는 이유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Richardson, M. A. (1999). Sore throat, tonsillitis, and adenoiditis. Medical Clinics of North America83(1), 75-83.
  • Bowers, I., & Shermetaro, C. (2019). Adenoiditis. In StatPearls [Internet]. StatPearls Publishing.
  • Reyes Concepción, D., & Gómez Martínez, M. (2014). Caracterización clínico-epidemiológica de la adenoiditis crónica en la infancia. MediSur12(2), 383-389.
  • Adenoides, Kidshealth.org. Recogido a 19 de septiembre en https://kidshealth.org/es/kids/adenoids-esp.html
  •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ubcommittee on Management of Sinusitis and Committee on Quality Improvement. Clinical practice guideline: management of sinusitis. Pediatrics. 2001 Sep;108(3):798-808.
  • Reyes Concepción, Daniel, and Margarita Gómez Martínez. “Caracterización clínico-epidemiológica de la adenoiditis crónica en la infancia.” MediSur 12.2 (2014): 383-389.
  • Sjogren, Phayvanh P., et al. “Comparison of pediatric adenoidectomy techniques.” The Laryngoscope 128.3 (2018): 745-749.
  • Jacomino, Ángel Luis, Rosa Caridad Truffin Hernández, and Anisela Expósito Pérez. “Infecciones rinofaríngeas en la infancia.” Revista Cubana de Otorrinolaringología y Cirugía de Cabeza y Cuello 3.1 (2019).
  • Jaime, M. Francisca, and M. Francisca. “Relación del reflujo gastroesofágico y manifestaciones respiratorias, desde el punto de vista de la gastroenterología pediátrica.” NEUMOLOGIA PEDIÁTRICA (2019): 126.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