넓게 말해서 척추관절병증은 염증성 관절염과 관련한 질환을 뜻한다. 하지만 척추관절병증의 그룹에 속하는 다른 측면을 확인할 수 있다. 이 질병은 상당히 일반적인 증상을 나타내므로 척추관절병증이라는 개념 범위에서 발견되는 증상들을 그룹화해 볼 수 있다.
척추관절병증이란?
척추관절병증은 염증성 관절염과 관련한 질환을 뜻한다.
“혈청음성 척추관절염의 발병”이라는 글이 설명하듯이 척추관절병증은 염증성 관절염 그룹을 구성한다. 만약 진단 결과가 혈청 반응 음성이면 그것이 말초 및 환추 관절, 그리고 관절외 관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렇다면 척추관절병증 그룹에는 어떤 질환이 포함될까? “척추관절병증. 분류 기준의 유용성”이라는 글은 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어떤 내용인지 살펴보도록 하자.
- 강직 척추염: 만성 류머티즘 질환이다.
- 건선성 관절염: 건선의 존재와 연관된 말초 관절, 척추 및 근육힘줄뼈부착부위의 만성 염증이다.
- 청소년 척추관절병증: 어린 환자에게 영향을 미친다.
- 반응 관절염: 감염으로 인해 발생하는 관절의 염증이다.
- 장병성 관절염: 크론병, 염증성 궤양성 대장염(UC)과 관련이 있다.
척추관절병증 그룹은 또한 구분되지 않는 척추관절염(uSpA)을 포함한다. 이들은 의사가 이 질환을 의심하게 하는 특성을 보이는 환자 그룹을 지칭하지만, 그 진단 접근법은 이전의 그룹으로 분류될 수 없다.
더 읽어보기: 류머티즘 관절염 통증을 극복하는 4가지 치료법
척추관절병증의 종합적 증상
이제 척추관절병증 그룹에 속하는 질환이 무엇인지 알게 되었으니 특징적인 증상에 관해 알아보도록 하자. 이미 설명했듯이 다양한 질환이 관련이 있을 수 있기는 하지만 모든 질환의 경우 보통 다음의 증상이 나타난다.
- 요통: 보통 이 증상은 문제가 있다고 알리는 주요 경고 신호다.
- 통증과 부기: 보통 팔과 다리에 통증과 부기가 생긴다. 그렇게 흔한 증상은 아니다.
- 척추 고정술: 요통을 유발하는 강직 척추염으로 인한 결과다.
척추관절병증과 관련한 여러 질환의 공통점은 요통을 유발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증상들도 있다. 하지만 위에서 설명했듯이 건선이나 크론병도 척추관절병증과 관련하여 나타날 수 있으므로 불편한 부분이 있다면 바로 의사를 찾아가야 한다. 그래야 적절한 검사를 받고 진단을 내릴 수 있다.
진단
- 엑스레이: 의사는 엑스레이를 통해 관절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아주 최근에 일어난 변화라면 눈에 띄지 않을지도 모른다.
- 자기 공명: 자기 공명을 통해 의사는 엑스레이에서 잡히지 않는 척추관절병증의 초기 증상을 확인할 수 있다.
보통 이러한 검사를 받기 전에 의사는 혈액 검사를 먼저 한다. 왜냐하면 HLA-B27 유전자 표지가 혈액에서 발견될 경우 환자가 척추관절병증을 앓고 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를 확인하려면 어쨌든 엑스레이나 MRI 검사를 해야 한다.
더 읽어보기: 폐심장증의 위험, 원인 및 증상
척추관절병증의 치료
증상이 가벼운 경우라면 특정 운동과 항염증제가 상태를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이제 척추관절병증에 대해 알게 되었으니 이 문제를 어떻게 치료하는지 궁금할 것이다. 만약 상태가 심각하다면 당연히 수술을 받아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면 의사는 주로 다음 치료법을 사용한다.
- 관절 유연성과 이동성을 증진하는 운동
- 통증이나 염증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되는 약물
- 심각한 경우 전체 또는 부분 복원 수술
요약하자면, 척추관절병증을 조기에 진단해야 수술 없이 적절한 조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그렇게 하는 것이 항상 쉬운 건 아니다. 예를 들어 나쁜 자세 때문에 통증이 생긴다고 생각할 수 있다.
혼자 추측하지 말고 항상 의사를 만나러 가는 것이 중요하다. 조기 치료는 이 상황에서 여러 문제를 미리 방지하는 데 큰 도움이 된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Ávila, D. G. F., Beltrán, A., Patiño, J. L., Sanmiguel, E. R., Karam, C. M., Moreno, P. S., … & Oñate, R. V. (2009). Diagnóstico de artritis psoriática. Revista Colombiana de Reumatología, 16(4), 342-351.
- García Carballo, M. Mª., Miraflores Carpio, J. L., & García Parejo, Y.. (2001). Artritis reactiva: A propósito de un caso. Medifam, 11(8), 92-94. Recuperado en 18 de abril de 2019, de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1-57682001000800011&lng=es&tlng=es.
- González Cortiñas, Modesto, Faurés Vergara, Lourdes, Rodríguez Viera, Ricardo, & Gómez Arbesú, Jesús. (1997). HLA B27 y las espondilartropatías seronegativas. Revista Cubana de Medicina, 36(1), 24-28. Recuperado en 18 de abril de 2019,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034-75231997000100005&lng=es&tlng=es.
- Kokuina, Elena, Chico, Araceli, Estévez, Miguel, Calzadilla, Flora, & Gutiérrez, Ángela. (2007). Espondilitis anquilosante primaria: patrones clínicos en pacientes cubanos. Revista Cubana de Medicina, 46(1) Recuperado en 18 de abril de 2019, de http://scielo.sld.cu/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0034-75232007000100006&lng=es&tlng=es.
- Sampaio-Barros, PD, Carvalho, MAP, Azevedo, VF, Campos, WR, Carneiro, SCS, Giorgi, RDN, Gonçalves, CR, Hilário, MOE, Keiserman, MW, Leite, NH, Pereira, IA, Vieira, WP, Vilela, EG, Xavier, RM, & Ximenes, AC. (2004). Espondiloartropatias: outras artropatias. Revista Brasileira de Reumatologia, 44(6), 470-475. https://dx.doi.org/10.1590/S0482-50042004000600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