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 폐쇄 수면무호흡증
폐쇄 수면무호흡증은 심각한 장애로, 어린이가 수면무호흡증 증상을 겪는다면 크게 걱정해야 할 문제다. 오늘 이 글에서는 소아 폐쇄 수면무호흡증의 증상 발견 그리고 최대한 빠른 치료를 위한 다양한 방법에 대해 소개한다.
폐쇄 수면무호흡증은 일반적인 장애로 인식되지 않지만, 전체 아이들 중 최대 3%가 이 질환을 겪는다.
더 읽어보기: 놀라운 수면 단계에 관해서 알아보자
폐쇄 수면무호흡증이란?
수면무호흡증은 수면 중 호흡의 중단을 유발해 수면을 방해하는 장애다.
이 종류의 무호흡증은 아이의 수면 중 기도의 일부 또는 전부가 막혀 발생한다. 자는 도중 호흡이 멈춘다는 뜻이다. 호흡 중단이 발생하면 아이가 잠에서 깨어나기 때문에 만성 피로와 낮 중 졸림을 유발할 수 있다.
아래에, 아이가 이 호흡 장애를 겪는 이유에 대해 소개한다. 자는 도중에 아이가 이 증상을 겪는지 주의깊게 지켜보아야 한다.
소아 수면무호흡증의 원인
- 인두 편도(아데노이드) 비대증: 이 경우, 인두편도샘(목구멍 위에 위치한 조직)이 비대해져 공기가 흘러갈 공간이 감소되기 때문이다.
- 비만: 과도한 비만으로 인해 기도 주변에 연조직이 쌓여 기도를 좁게 만들며 무호흡증을 유발한다.
- 신경근육 질환: 기도와 인후 주변의 근력이 부족해 소아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한다.
- 안면 질환: 안면 기형이 기도에 영향을 끼쳐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여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한다.
더 읽어보기: 청소년기에 생길 수 있는 수면 장애를 예방하는 팁
소아 수면무호흡증 징후 및 증상
소아 수면무호흡증을 유발하는 원인들을 알았으니, 초기에 이 질환의 징후와 증상을 발견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선 우리가 간과하고 지나칠 수 있는 증상들을 소아과 의사에게 알리는 것이 가장 좋다.
우선, 코골이가 증상 중 하나일 수 있다. 아이들은 아무 이유 없이 밤 중에 땀을 흘리거나 몽유병, 야경증 등을 겪기도 한다. 이 증상들은 주로 과잉 행동, 두통, 낮 중 집중력 부족을 유발한다.
아이가 수면무호흡증을 겪고 있다면 만성 피로와 더불어 수면 장애인 몽유병이나 야경증 증세를 함께 보일 가능성이 크다.
아이가 잠을 자다 숨을 쉬지 못해 깼다거나 이것 때문에 무서워서 잠을 못자겠다고 말한다면, 수면무호흡증을 의심하자. 아이의 소아과 의사와 증상을 상담하고, 심혈관계 질환 등의 합병증을 피하려면 최대한 빨리 치료를 시작해야 한다.
폐쇄 수면무호흡증 치료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에 따라, 의사가 적절한 치료법을 결정할 것이다.
만약 폐쇄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이 비만이라면, 아이는 체중 감량을 위한 특정 식단을 따라야 한다. 아이의 체중이 감량되지 않거나, 수면무호흡증이 경감되지 않을 경우 의사는 다른 치료법들을 고려해야 한다.
- 지속양압호흡기(CPAP,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이 호흡기는 수면 중 기도가 막히는 것을 예방한다. 아이가 이 호흡기 마스크를 쓰고 잠이 들면 기계가 일정한 양압을 계속 기도에 주입시킨다.
- 마우스 가드: 마우스 가드를 입에 물고 턱을 앞으로 당겨 유지하면 코골이를 예방할 수 있다.
- 수술: 자주 시행되는 방법은 아니지만 증상이 심할 경우에 턱이나 목 수술 또는 인두편도샘의 조직 제거술을 고려할 수 있다.
이 모든 치료법들은 위에 언급한 폐쇄 수면무호흡증 증상을 경감하여 아이가 편안한 수면을 취할 수 있게 돕는다.
수면무호흡증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급사를 유발할 수 있는 질환임을 기억하자. 그러니, 합병증을 예방하려면 조기의 적절한 치료가 꼭 필요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Aguilar Cordero, M. J., Sánchez López, A. M., Mur Villar, N., García García, I., & Guisado Barrilao, R.. (2013). Síndrome de apneas-hipoapneas del sueño y factores de riesgo en el niño y el adolescente: revisión sistemática. Nutrición Hospitalaria, 28(6), 1781-1791. https://dx.doi.org/10.3305/nh.2013.28.6.6939
- Carlos Villafranca, Félix de, Cobo Plana, Juan, Macías Escalada, Emilio, & Díaz Esnal, Belén. (2002). Tratamiento de la apnea obstructiva del sueño con posicionadores mandibulares. RCOE, 7(4), 379-386. Recuperado en 18 de abril de 2019, de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8-123X2002000500004&lng=es&tlng=es.
- Eguía, V. M., & Cascante, J. A.. (2007). Síndrome de apnea-hipopnea del sueño: Concepto, diagnóstico y tratamiento médico. Anales del Sistema Sanitario de Navarra, 30(Supl. 1), 53-74. Recuperado en 18 de abril de 2019, de http://scielo.isciii.es/scielo.php?script=sci_arttext&pid=S1137-66272007000200005&lng=es&tlng=es.
- Rodrigo, B. A., De Los Ángeles, F. T. M., & Marcelo, M. M. (2013). Anormalidades craneofaciales y patologías del sueño.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24(3), 413-421.
- Apnea obstructiva del sueño en los niños – Diagnóstico y tratamiento – Mayo Clinic. (2019). Retrieved 28 June 2020, from https://www.mayoclinic.org/es-es/diseases-conditions/pediatric-sleep-apnea/diagnosis-treatment/drc-20376199
-
BROCKMANN, P., & ZENTENO, D. (2013). Consecuencias del síndrome de apnea obstructiva del sueño. Revista chilena de pediatría, 84(2), 128-137.
-
Zamarrón Sanz, C., González Barcala, J., Salgueiro Rodríguez, M., & Rodríguez Suárez, J. R. (2001, May). Síndrome de apnea del sueño y enfermedades cardiovaculares. In Anales de Medicina Interna (Vol. 18, No. 5, pp. 54-59). Arán Ediciones, S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