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강 » 약물

찻잎에서 추출한 나노 입자가 폐암 세포를 죽인다

찻잎에서 추출된 나노 입자가 암 치료에 활용될 가능성이 밝혀졌다. 암을 정복하는 날이 머지않은 것일까?

찻잎추출물이 폐암 세포를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이 발견되었다.

찻잎에서 추출한 나노 입자가 폐암 세포를 죽일 수 있다는 사실이 인도와 영국 스완지 대학교 과학자들 사이에서 진행된 연구를 통해 확인되었다. 역사적으로 많은 과학적 발견들이 그랬듯, 이번 연구 결과 또한 우연히 발견된 성과이다. 아직 좀 더 자세한 연구가 필요한 단계지만, 가히 최고의 발견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에서 사용된 미세 입자들은 “양자점”이라는 나노 입자의 한 종류로, 사람의 모발보다 4천 배 더 작다.

이렇게 양자점은 엄청나게 작기 때문에 암세포를 쉽게 뚫고 들어가며, 세포독성 효과를 통해 암세포의 80%까지 파괴할 수 있다.

더 읽어보기: 폐암 환자의 항암 치료 부작용을 완화하는 새로운 약

암이란 무엇일까?

이란 무분별한 세포 분열이나, 조직이 다른 조직 위에 비정상적으로 퍼져나가는 현상과 관련된 여러 가지 질환을 통틀어 가리키는 단어이다.

또한 암은 완전히 독자적으로 신체 조직을 잠식하여 치명적인 결과를 일으키는 침입자를 의미하기도 한다.

암이란 어떤 현상을 가리키는 것일까?

찻잎에서 추출한 나노 입자가 가져다주는 복합적인 효능

나노 입자의 활용에 관해서는 여러 분야에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거듭되어 왔다. 텔레비전 영상의 색감과 화질을 높이는 나노기술이 한 예이다.

찻잎 추출물로부터 얻은 양자점에 관한 연구가 계속해서 성과를 보인다면, 빛 에너지 흡수 시 형광 방출 현상을 나타내는 나노 입자의 성질을 이용하여 종양을 발견하고 파악하는 일에 적용될 수 있다.

기존의 양자점 제조 방법은 매우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며, 화학 물질을 사용하기 때문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는 것이 단점이다.

한편, 영국 스완지대와 인도 연구팀은 나무의 잎으로부터 독성이 없는 양자점을 쉽게 만드는 방법을 고안해 낸 것이다.

차나무의 학명은 카멜리아 시넨시스이며, 녹차와 홍차 등을 만드는 데 쓰인다. 중국과 동남아시아 일대로부터 유래하여 지금은 세계 곳곳에서 재배되고 있다.

한때 차나무는 뛰어난 항산화 효과 때문에 50가지가 넘는 종류의 한약의 주재료로 쓰이기도 했다.

또한, 차나무는 당뇨를 예방하고 피로를 해소하며, 방광 관련 증상들을 다스리는 데 유용하다. 차나무에 들어있는 타닌 성분은 카페인과 철, 단백질의 원천이기도 하다.

이렇게 차나무 잎으로부터 추출한 무독성의 나노 입자가 암세포를 죽일 수 있다는 결과가 이번 기회에 발견된 것이다.

더 읽어보기: 사소한 증상이 있을 때 마시면 좋은 최고의 차 13가지

연구의 시작과 진행 상황

이번 연구를 책임진 수다가르 피차이무투 박사는 나노 입자 활용에 관한 연구를 통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은 물리학자이다. 그는 현재 세포 합성을 통해 광전 효과를 만들어 내는 과정에 대해 집중적으로 연구 중이다.

찻잎에서 추출한 나노 입자가 폐암 세포를 죽인다

피차이무투 박사는 “어느 순간 나노 입자들에 의해 암세포가 성장을 멈추었다.”고 설명한다. 놀라운 발견이 우연히 포착되는 순간이었다.

단, 이러한 발견만으로 단순히 차를 많이 마신다고 해서 암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고 말할 수는 없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암의 발생에는 이보다 훨씬 복합적인 요인들이 관여하기 때문이다.

어찌 되었든, 피차이무투 박사는 BBC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앞으로 2년 안에 찻잎에서 추출한 양자점을 인체에 실험할 예정이며, 10년 안으로 암 치료에 통용될 가능성을 확신한다고 밝혔다.

또한 박사는 협력자들의 도움에 힘입어 다음 단계에서는 좀 더 규모가 큰 실험을 통해 양자점이 암세포에 미치는 기능을 본격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어서 박사는 찻잎에서 추출한 나노 입자의 무궁무진한 기능과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는 새로운 길을 모색하고자, 양자점을 이용한 사업을 시작하고 싶다고 덧붙였다.

참고 문헌

모든 인용된 출처는 품질, 신뢰성, 관련성 및 유효성을 보장하기 위해 저희 팀이 철저히 검토했습니다. 이 글의 참고 문헌은 신뢰할 수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 정확성을 갖춘 것으로 간주되었습니다.

  • Graham, H. N. (1992). Green tea composition, consumption, and polyphenol chemistry. Preventive Medicine. https://doi.org/10.1016/0091-7435(92)90041-F
  • Yang, C. S., Wang, X., Lu, G., & Picinich, S. C. (2009). Cancer prevention by tea: Animal studies, molecular mechanisms and human relevance. Nature Reviews Cancer. https://doi.org/10.1038/nrc2641
  • Oh, J., Jo, H., Cho, A. R., Kim, S. J., & Han, J. (2013).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of various leafy herbal teas. Food Control. https://doi.org/10.1016/j.foodcont.2012.10.021
  • Mukhtar, H., & Ahmad, N. (2000). Tea polyphenols: Prevention of cancer and optimizing health. In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https://doi.org/10.1021/es902577y
위로 스크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