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샘 생검 또는 조직 검사는 언제 수행될까?
샘은 인체에 필수적인 물질의 생산과 분비를 전문으로 하는 기관이다. 샘의 해부학과 기능에 관한 연구는 특정 질병의 진단에 유용하다. 샘 중 침샘 생검 또는 조직 검사가 언제 시행되는지 이번 글에서 이야기해보겠다.
침샘은 입과 소화관 상부에 위치하며 소화를 위한 침의 생성이 본질적인 기능이다. 연구에 따르면 혈관 형성과 해부학적 구조로 여러 염증 및 침윤성 상태에 걸리기 쉬우며 기능 장애는 특정 장애를 의심할 수 있는 경고 신호다.
침샘 생검이란?
해부학적, 기능적 관점에서 침샘은 크게 주샘과 소샘 또는 부속 샘으로 나뉜니다. 주샘은 깨물근에 위치한 이하선에 의해 형성되며 혀 아래에 혀밑샘과 구강저에 위치한 턱밑샘이 있다.
침샘 생검은 후속 조직병리학적 연구를 위해 조직의 작은 조각 또는 전체 침샘의 통제된 추출로 구성한다. 이 검사는 숙련된 전문가만 수행할 수 있으며 특정 경우에 표시된다.
침샘 생검 시기
침샘 생검은 대부분 임상적으로 종양이 의심되거나 조직의 침윤 과정이 있을 때 시행된다. 연구에 따르면 침샘 종양은 두경부 종양의 최대 5%를 차지하며 대부분 양성이다.
이러한 의미에서 침샘 생검은 병변 유형을 결정하고 이 결과에 기초하여 필요한 의학적 조치를 확립하게 한다. 유사하게, 이 검사는 일반적으로 의사가 샘 배액의 폐색 과정을 의심할 때 권장된다.
일부 학자들은 침샘 생검이 쇼그렌 증후군 진단의 주요 기준 중 하나라고 주장한다. 쇼그렌 증후군은 샘에 의한 침과 눈물 분비 기능 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만성 자가 면역 질환이다.
더 읽어보기: 자가 면역 질환에 대해 알아두어야 할 5가지
침샘 생검 준비
천자를 이용한 침샘 생검은 특별한 준비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검사 전 6~8시간 동안은 음식이나 음료를 섭취하지 않는 것이 좋다.
또한 전문가는 환자가 약물을 복용하는 경우 검사 며칠 전에 항응고제를 일시적으로 중단할 수 있다.
침샘 생검 절차
샘 생검은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수행하며 선택 기술은 미세 바늘 흡인 생검이다.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고 작은 침샘 샘플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검체를 채취하려면 접근할 부위를 먼저 세척하고 이소프로필알코올로 소독해야 한다. 그 후 해당 부위의 통증을 마비시키기 위해 국소마취제를 사용한다.
마취가 되면 의사는 침샘에 도달할 때까지 생검 바늘을 삽입한다. 1~2분 동안 약간의 압력이나 불편함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샘 조직의 작은 부분을 흡인하여 제거하고 슬라이드에 올려 실험실로 보낸다.
쇼그렌 증후군에 관한 침샘 생검은 추가 마취제 투여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으며 다른 침샘에서 여러 조직 시료를 채취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접근 부위를 몇 바늘 꿰매기도 한다. 해당 부위는 시술 후 며칠 동안 압통이 있고 붉어질 수 있다.
더 알아보기: 끈적한 타액은 왜 생길까
결과 분석
침샘 생검 결과는 전문 병리학 실험실에서 보고된다. 일반적으로 샘 조직은 온전하고 비정상적인 성장 이나 종양 병변의 증거가 없다.
그러나 침샘 생검은 염증 과정, 감염, 침윤 및 암세포 증식에 관해 양성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세포 기능 장애와 조직 위축은 쇼그렌 증후군 징후다. 확인할 수 있는 또 다른 병리학은 유육종증이다.
침샘 생검의 위험
침샘 생검은 부작용이 적은 비교적 안전한 절차지만 관련된 일부 위험은 다음과 같다.
- 전염병
- 출혈
- 마취에 대한 알레르기
- 삼차신경 또는 안면신경손상
- 입술이나 얼굴 피부 마비
또한 일부 환자는 검사 후 며칠 동안 경미한 통증과 불편함을 경험하지만 일반 진통제로 완화될 수 있다. 한편,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나면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한다.
- 발열
- 출혈
- 가라앉지 않는 부기와 통증
- 호흡 곤란 및 삼킴 곤란
- 천자 부위에서 유체 누출
생검 후 따라야 할 단계
침샘 생검은 침샘 조직의 해부학적 구조와 현미경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한 진단 절차다. 이러한 방식으로 종양 질환과 쇼그렌 증후군 같은 기타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러한 시술 후에는 엄격한 의학적 후속 조치가 필수다.
인용된 모든 출처는 우리 팀에 의해 집요하게 검토되어 질의의 질, 신뢰성, 시대에 맞음 및 타당성을 보장하기 위해 처리되었습니다. 이 문서의 참고 문헌은 신뢰성이 있으며 학문적 또는 과학적으로 정확합니다.
- León JA, Lorenty LW, Martínez FH. Biopsia de glándula salival menor en el diagnóstico confirmatorio del Síndrome de Sjögren y Amiloidosis. Cambios rev. méd. 2018; 17(2):89-94
- Nazar G, Vial G, Ibarra A, Cabezas L. Tumores de cabeza y cuello. Revista Médica Clínica Las Condes. 2007; 18(4): 408-418.
- Parra R, Polo J, Rojas A. Interpretación de la biopsia de glándula salival menor en el síndrome de Sjögren. Correlación clínico-patológica. Revista Colombiana de Reumatología. 2020; 27(52): 82-89.
- Sánchez A, Martínez R. Enfermedades sistémicas que afectan a las glándulas salivares. Seminarios de la Fundación Española de Reumatología. 2010; 11(3): 94-99.
- Santiago M, Seisdedos M, García N, Secco A. Frecuencia de complicaciones y rédito de la biopsia de glándula salival menor. 2012; 8(5): 255-258.